▲남북은 5월 17일 경의선 문산역과 동해선 금강산역에서 각각 '남북철도연결구간 열차시험운행' 공식 기념행사를 하고 오전 11시30분 북측 개성역과 남측 제진역을 향한 열차를 동시에 운행했다. 사진은 56년만에 경의선이 문산역을 출발하는 모습.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 남소연
비록 시운전이긴 했지만 지난 5월 남과 북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철도를 연결했다. 일본에 있었다면 느낄 수 없는 이 '통일바람'을 일본 언론들은 어떻게 보도했을까. 이번 달에는 남북 종단 열차 시험운행 관련 보도를 살펴보려고 한다. 일본의 주요 신문인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산케이신문>은 특집기사로 이번 사건을 크게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5월 18일 <정기열차 여전히 벽>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역사가 다시 평화에 의해 큰 한 걸음을 내디딘 귀중한 기회", "너무 오랫동안 기다려 가슴이 울렁거리고 감격스럽다"는 노무현 대통령과 이재정 통일부 장관의 발언을 통해 한국 정부가 이번 남북열차 시운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전달했다.
이와 함께 "대륙횡단까지 꿈꾸는" 한국정부에 비해 북한군부가 한번이라는 조건을 달고 열차운행에 합의한 점, 북한 열차의 시설 노후화와 전력부족 등을 이유로 남북간의 열차 연결이 이루어지더라도 꾸준한 운행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케이신문>은 6월 5일자 특집기사 <동상이몽 남북열차운행 한국 "상시" 북한 "한번만">에서 "북한 정부가 열차운행 횟수를 한번으로 제한하는 것을 끝까지 고집했다"며 남북간 열차의 상시 운행까지는 갈 길이 멀다"며 이번 시운전이 "대북 융화정책을 시작한 김대중 전 정권 이래 7년 만의 비원의 실현이고 노무현 정권 대북정책의 성공을 홍보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산케이신문>은 문산역에서 열린 열차 시험운행 기념행사에서 북한 측 인사가 "위대한 장군님(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인도 덕분에 운행이 실행됐다"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며 "(행사가) 북한의 대남선전의 장에 지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산케이신문>은 열차 시험운행과 관련된 사설을 게재하기도 했다. <산케이신문>은 5월 20일 자 사설 '한국 대북정책 핵, 미사일보다 철도인가'에서 "식량, 생필품 등 한국정부의 대북지원 덕분에 북한이 핵 개발 등 군비강화에 전념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열차 시험운행에 대해) 국제사회에서 축하보다 걱정이 앞선다"며 "한국정부가 북한의 핵실험이나 군사독재체제 등의 문제점을 망각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산케이신문>은 "대북지원정책을 펼치는 한국정부가 북한 정부에게 핵 포기나 체제 변화 등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것이야말로 한국정부의 엄격한 책무라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위의 두 신문과 별 차이가 없었다. '한국 북한 : 동상이몽, 남북철도 만만치 않은 북한 보이지 않은 다음 번'라는 특집기사에서 "두 번째 시험운행조차 쉽지 않다"며 "2004년 이래 매년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운행이 안 됐던 원인은 안전운행에 의한 군사적 보상 조처에 북한이 합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북한이 하루 만에 합의에 응한 것은 한국이 사실상 8000만 달러 상당의 경공업 원료지원을 제안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유력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남북 종단 철도 시운전에 관한 보도를 살펴보면서 신문들의 차이점을 찾기가 힘들고 안타깝다는 생각도 든다. 남북열차시범운행을 통일의 과정으로 바라보고 큰 의미를 부여하는 한국과 달리, 오히려 의미를 축소하거나 폄하하기까지 하는 일본 언론들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 언론들이 북한에 대해 얘기할 때 꼭 빠지는 것이 "왜 한반도가 두 나라에 나눠 있을까"라는 역사적인 사실에 입각한 기사다. 일본제국주의의 책임을 언급하지 않은 언론의 자세는 문제를 연기할 뿐이고 오히려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저해하고 있다.
통일문제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북한의 그것과 마찬가지다. 공식적인 사죄는 애매하게, 망언을 반복하는 정치과도 문제이지만, 언론이 역사의 사실을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일본사회에서 역사의 사실이 지워지는 것에 대해 우리는 더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역사가 증명한 대로 언론이 대중을 선동시키는 도구였던 것은 전전에 일본을 예를 들은 필요도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