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에서 눈을 뗄 수 가 없어요'24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정권 즉각퇴진 9차 범국민행동’에 참석했던 시민들이 박근혜 탄핵과 세월호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촛불을 모아두고 있다.
권우성
한국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은 유럽에 비해 기간은 짧지만 강도는 셌다. '우회한 민영화'와 '노동개악'은 두 번의 자유주의 정부와 이어진 두 번의 보수주의 정권 내내 추진됐다. 공공부문은 수익성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비즈니스 조직이 됐고, 노동자들은 직접고용에서 간접고용과 특수고용으로 밀려났다. 사회보험의 자리에 자본이 치고 들어온 만큼 시민의 권리는 후퇴했고, 노동자들은 외주화와 성과주의에 내몰리며 '노조 할 권리'조차 잃었다.
임계점도 그만큼 빨리 왔다. 시민들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통해 수준 미달의 정부와 자본이 지금껏 자신의 권리를 어떻게 박탈했는지 확인했다. 국가는 시민과 노동자의 권리를 비어낸 빈 깡통이었다. 재벌 총수일가의 불법승계를 돕고, 자신과 자본의 이익만을 위해 권력을 썼다. 시민과 노동자들은 그래서 광장에 나왔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과 시민의 권리가 무엇인지 묻고, 둘의 관계를 재구성하자고 요구했다.
박근혜 정부를 해소하는 것은 그래서 국가의 역할을 새롭게 채워 넣는 작업으로 시작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며, 백남기 농민을 죽음에 몰아놓은 국가폭력에 책임을 묻고, 공공부문 성과·퇴출제를 폐지해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드 배치를 철회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언론이 자유롭게 권력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고, 비판과 자성의 역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이 정부를 실질적으로 해체할 수 있다.
촛불 이후, 시민들의 권리는 달라야 한다. 장애인, 여성, 이민자, 성소수자 등이 자신의 권리를 이야기하고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 비정규직은 지금 '쉬운 해고'와 '위험의 외주화'에 내몰리고 있다. 일 할 권리, 노조 할 권리, 안전할 권리는 '진짜 사장'인 정부, 지방자치단체, 원청이 사용자 책임을 지고 직접고용해야만 보장된다. 박근혜 정부가 가장 강하게 배제하고 차별하고 착취한 사람들의 몫을 되찾는 것, 이것이 이 정부를 해소하는 방법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