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국회의사당.
권우성
청년을 정말 위하나?... 사라질 가능성 큰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국회에서 제정된, 청년 관련한 거의 유일무이한 법안으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이란 것이 있다. 정부가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의 기한을 5년 연장하는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국회 상임위에서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이대로라면 올해를 마지막으로 이 법은 사라지게 된다.
왜냐면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탄력근로제를 다루지 않으면, 법안심사를 할 수 없다고 생떼를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탄력근로제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다루는 내용임에도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개정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현재 매년 1만5000명에서 1만9000명에 달하고 있는 고용의무가 사라지고, 공공기관에서 청년에 대한 고용손실이 생기게 될 수도 있는 상황에 놓였다.
늘 청년을 입에 달고, 청년들을 위한다고 하고 있지만, 실제로 국회가 보여주는 모습은 청년을 배제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지금의 기성 정치 전반에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청년 세대가 실제로 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 어떻게 살아가고자 하는지에 대한 관심 없이, 각종 정책들을 만든다. 청년 이름만 붙이면 관심을 가질 것이라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청년들의 사회경제적 욕구는 다양하다. 이전 세대의 정치권에서 생각하는, '겨우 먹고 살만한 무언가'로는 청년들은 살 수가 없다.
청년에게 물었다... 만약 1000만원이 생긴다면?
주거비 37%, 교육비 17%, 기초생활비 17%, 문화생활비 29%.
만약 당신에게 1000만 원이 생긴다면, 어디에 돈을 쓰고 싶은지 물어봐서 나온 숫자다. 지난 11월, 정의당 청년정치학교 수강생 중 한 조가 조별 캠페인으로 직접 거리에 나가 청년사회상속제를 알리며 스티커를 붙이면서 물어봤다.
교육비와 기초생활비보다 주거비와 문화생활비가 많이 나왔다. 이런 수치를 보며, 청년들에게는 취업 준비와 기초적인 생활에만 삶의 욕구가 매여 있는 게 아니라, 좋은 문화를 누리고 조금이나마 더 나은 환경의 집에서 살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