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제 쓰지 않는 말들' 이미지
장혜영
어디 언어뿐인가. 실제 고용에 있어서, 교육에 있어서, 생활에 있어서 여성이라는 이유, 이주민이라는 이유, 비수도권 지역의 학교를 다녔다는 이유, 가난하다는 이유, 그 밖의 무수한 소수자라는 이유로 온갖 차별행위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내가 21대 국회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대표 발의하고 이 법의 제정을 위해 #내가이제쓰지않는말들 캠페인을 시작하는 이유다.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인한 변화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골자는 고용과 교육, 재화와 용역의 제공과 이용, 그리고 행정 서비스라는 일상의 필수적인 네 가지 영역에 있어서 성별이나 연령, 장애, 학력, 출신 국가나 민족,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부당하게 차별이 발생할 경우 국가인권위원회가 시정을 권고하거나 명령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정부와 지자체가 차별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과 계획을 주기적으로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부 보수 기독교계에서 원색적으로 강변하는 것과 달리 이 법은 국가인권위원회법의 평등권 침해에 대한 차별행위규제 조항을 보다 시의적절하게 확장하고 다듬어 깔끔하게 기본법으로 정리한 평범하고 상식적이며 어떤 의미에서는 매우 얌전하기까지 한 법이다. (심지어 일부 보수 기독교계에서 듣기만 해도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성적 지향'이라는 차별금지 사유는 이미 국가인권위법 안에 포함되어 있다.)
우리가 관습과 도덕만으로 충분히 서로가 서로를 차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중하는 사회를 자발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면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입법할 필요성은 그리 크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2020년 현재 우리는 아직 그런 사회를 만들지 못했다. 인식이 제도의 자리를 충분히 채우지 못하는 동안 너무 많은 사람들이 부당한 차별로 고통을 받았다. 제도가 인식을 견인해낼 수 있도록 지금 당장 포괄적 차별금지법이 반드시 제정되어야 한다.
동성애를 조장한다는 둥, 역차별을 조장한다는 둥, 이 법의 통과를 반대하는 세력들이 적극 퍼뜨리는 거짓말과 달리 이 법이 조장하는 것은 '차별에 대한 일상적인 성찰과 토론'이다. 지금까지는 관성적으로 반복해왔던 우리의 말과 행동이 혹시 다른 시민의 존엄을 해치는 차별이지는 않은지 일상적으로 함께 성찰하고, 구체적으로 토론하고, 토론의 결과 어떤 행위가 부당한 차별이라고 결론 내려진다면 그 차별을 중단하는 시스템을 갖자는 것이다.
더 나은 언어, 더 나은 태도
차별금지법이 가진 이런 가치를 시민들에게 어떻게 더욱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다 떠오른 한 가지 아이디어는 더 나은 언어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탐구를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작가들의 태도야말로 차별금지법이 시민들에게 요청하는 태도와 닮아있다는 것이었다. 시대와 호흡하며 동시대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는 작가들에게 마음을 담아 조심스레 요청했다.
여러분께서 한때는 썼고, 지금도 쓸 수 있지만 윤리적인 이유로 더 이상 쓰지 않는 말들에 대한 글을 써주실 수 있겠느냐고,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마음을 담아 그렇게 해주실 수 있겠느냐고 정중한 요청의 메일을 보냈다. 그렇게 김나율, 김민철, 김세희, 김윤리, 김하나, 김혼비, 미깡, 박연준, 봉현, 수신지, 이진송, 이슬아, 장류진, 황선우 열네 분의 작가분께 참여하겠다는 답장을 받았다. 이 가운데 봉현 작가님은 이 프로젝트의 시각적인 아이덴티티 작업을 자발적으로 도맡아 해주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