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경계선 지능 관련 조례경계선 지능 관련 2016년 6월 30일 ~ 2022년 8월 기초자치단체 조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발달장애와 경계선 지능은 관련 기초자치단체 조례의 수부터 차이가 난다. 최초의 경계선 지능 지원 관련 내용을 담은 전라남도 교육청 조례안의 공포일자를 기준으로 발달장애와 경계선 지능 지원에 관한 조례의 수를 비교해 보았다. 비교 기준 일자인 2016년 6월 30일부터 2022년 8월까지 시행되고 있는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조례는 124개. 14개인 경계선 지능 지원 조례 수와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많았다.
가랑비에 옷 젖듯, 장기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해
조례가 있어도 지원하는 대상이 각기 다른 것도 문제다. 경계선 지능 학생을 위한 교육 정책은 대부분 '초·중등교육법', '평생교육법'을 근거로 한다.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법과 달리 초·중등교육법은 만 19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다. 지원받다가도 성인이 되면 지원이 끊기게 되는 상황이다.
"(경계선 지능 아이들이) 한 달, 1년만 (교육) 받으면 되는 게 아니에요. 생애 주기에 따라 받아야 하는 지원들이 꾸준히 있어요… 그런 지원을 하려면 좀 더 장기적인 지원 체계가 마련이 되어야겠죠." - 이애진 대표 (써큘러스리더)
또한, 초·중등교육법을 근거로 한 조례의 경우 경계선 지능 학생 지원이 주요 내용이 아니다. '기초학력 부진 학생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해, 기초학습 및 학습 부진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 인지 치료 ▲ 심리 치료 ▲ 사회성 치료 등 다양한 맞춤 지원이 필요한 경계선 지능인은 균형적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순 학습 부진에서 경계선 지능이 되기까지
반가운 건 최근 들어 교육 정책 및 실무자들 사이 '경계선 지능' 개념이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에 취재팀은 각 지역 교육청의 관련 관심도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지난 2014년을 기점으로 민선 6기·7기·8기 교육감 당선인들의 경계선 지능인 관련 선거공약을 분석했다. 분석은 '학습 부진' '느린 학습자' '경계선' 등의 키워드 중심으로 이뤄졌다.
분석 결과 지금껏 '학습 부진'에 관한 내용의 공약은 있어도 '경계선 지능' 언급은 따로 없었다. 하지만 지난 2022년 6월 지방선거의 각 시도 교육감 후보 공약 중 일부를 살펴보니 "난독·경계선지능 학생을 위한 전담팀 운영 확대" "느린학습자 지원을 위한 민·관·학 기초 문해력 프로그램 운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당선인들의 공약에 '느린 학습자' '경계선 지능'이라는 단어가 나온 건 올해가 처음이다. 학습 부진 및 특수교육 대상에 포함되었던 이들이 이제야 경계선 지능, 느린 학습자 등으로 분류되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는 '경계선 지능인'입니다]
한국 사회 경계선 지능인의 삶 1편
한국 사회 경계선 지능인의 삶 2편
한국 사회 경계선 지능인의 삶 4편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장애와 비장애 사이, 복지 사각지대에 갇힌 경계선 지능인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