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대구 시민사회, <오마이뉴스> 기자에 폭력 행사한 대구시 공무원 문책 요구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등 성명 "박정희 동상 세우겠다더니 언론관도 독재로 가나"

등록 2024.05.16 16:14수정 2024.05.16 17:45
8
원고료로 응원
a

9일 오후 대구엑스코 국제회의실에서 대구컨벤션뷰로 해산을 위한 임시총회가 열린 가운데 뷰로 직원들이 들어가려 하자 대구시 국제통상과 직원들이 출입문을 막고 있다. ⓒ 조정훈


대구시 공무원들이 <오마이뉴스> 취재기자가 촬영한 사진 삭제를 요구하며 취재를 방해하고 폭력을 휘두른 것과 관련해, 대구지역 시민단체와 야당이 언론 탄압이라고 규탄하고 관련자들의 문책을 요구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는 16일 성명을 통해 "대구시의 충격적인 언론 탄압을 규탄한다"며 "취재활동 방해를 넘어 취재기자를 폭행했다. 사과도 없고 배상도 없는 일방적 폭주행정을 멈추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대구시는 통상적으로 취재가 허용되는 공공기관의 의사결정을 공개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진행하였고 총회가 끝난 뒤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에게 물리적 위협과 사진 삭제 등을 요구하였다"며 "해당 기자가 거부하자 급기야 폭력을 행사해 상해를 입히고 취재 카메라를 파손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우리는 해당 사건을 보며 우리의 눈과 귀를 의심했다. 군사독재 시절에나 일어날 법한 일이 2024년 대구시에서 일어난 것"이라며 "취재 거부, 폭행 사건은 언론의 자유를 전면적으로 부정한 사건이며 대구시가 민주주의와 인권을 퇴행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만천하에 선언한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어느 한 부처와 현장에서 일어난 우발적인 사건이 아니다.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홍 시장과 대구시는 언론의 자유를 부정해왔다"며 "특정 언론의 취재를 거부하고 언론사 관계자를 고발하고 시장이 나서서 비난하는 등 비상식적 일들의 연속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자 폭행, 기물 파손 사태를 시민에 대한 물리적 탄압과 공격으로 간주하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구시는 즉시 사과하고 기자를 폭행한 관계자들을 징계할 것과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대구경실련도 이날 성명을 통해 "대구시 공무원들의 취재 기자 폭행, 사적 제재를 강력하게 비판하며 관련자들에 대한 문책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대구경실련은 기자가 촬영한 사진이 비공개라고 주장하는 대구시를 향해 "대구컨벤션뷰로 임시총회 안건과 의결 결과는 공개되었던 정보다. 또 임시총회 관련 자료는 모두 공개해야 하는 정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진을 삭제하라는 요구는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기자가 찍은 사진을 삭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물리력을 행사한 것을 두고 "자의적인 기준과 판단에 의한 사적 제재, 불법감금에 해당되는 범죄행위"라며 "기자에게 별다른 사과 표현 없이 '서로의 입장이 다를 수 있다'는 주장을 했고 이후에도 사과를 하지 않았다. 몰상식하고 몰염치한 태도로 일관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박정희 동상 세우겠다더니 언론관도 독재로?"
 
a

지난 9일 대구엑스코에서 열린 대구컨벤션뷰로 해산 총회가 끝난 뒤 대구시 공무원이 기자를 넘어뜨려면서 카메라가 파손됐다. ⓒ 조정훈

  
대구경실련은 "대구시 공무원들이 '내부 자료로 비공개용'이라는 이유로 사진 삭제를 강요한 대구컨벤션뷰로 임시총회 관련 자료를 모두 공개하라"며 "대구시 공무원들의 사적 제재의 진상과 책임을 규명하고 관련자들을 엄중하게 문책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정의당 대구시당도 '도 넘은 대구시의 언론탄압, 어디까지 갈지 두렵기까지 하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박정희 동상 세우겠다더니 언론관도 민주주의도 독재시절로 회귀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대구시당은 "언론의 자유는 단순히 언론사와 기자의 자유가 아니라 시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것"이라며 "대구시는 도를 넘은 폭주행정을 당장 멈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시는 폭행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 사실관계를 밝히고 사과와 함께 관계자들을 징계하라"며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도 지난 14일 성명을 내고 대구시의 공식적인 사과와 경찰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한편 대구지역 인권단체들은 오는 20일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시 공무원들의 취재기자 폭행과 카메라 파손행위에 대해 규탄하고 사과와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할 예정이다.
#대구시민사회 #언론
댓글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3. 3 '한국판 워터게이트'... 윤 대통령 결단 못하면 끝이다
  4. 4 "쓰러져도 괜찮으니..." 얼차려 도중 군인이 죽는 진짜 이유
  5. 5 이러다 나라 거덜나는데... 윤 대통령, 11월 대비 안 하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