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운동 기미독립선언서가 낭독된 태화관 자리에서 선 김경숙씨
김슬옹
찻집 인터뷰가 끝난 뒤 삼일운동 때 기미독립선언서가 낭독된 태화관 자리를 함께 찾았다. 밤이라 그런지 푯돌 이야기를 설명하는 김경숙씨의 의미심장한 말이 더 선명하게 다가왔고, 마치 태화관에서의 그날의 긴박했던 이야기들이 들리는 듯했다.
- 인사동을 자주 찾던 문화예술인들 중에는 아무래도 인사동이 예전 같지 않다는 소회를 피력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큰길에는 골동품상, 문방사우 판매점, 고서점, 화랑들이 있고, 골목에는 작은 한옥이 조용히 자리한 인사동은 한 정당의 당사가 들어온 무렵부터 바뀌어갔습니다. 시위하던 이들이 최루탄을 피해 골목으로 피신해 가정집에 숨고, 한옥은 하나씩 음식점이 되었고요. 묵향 그윽하고 문기 가득했던 곳들은 하나둘 문을 닫고, 관광기념품점, 외국 물건과 외국 음식 판매점, 잡화점들이 늘어났습니다. 한복이라고 하기에는 아쉬운 옷을 대여하는 곳도 좀 있어서 외국 관광객들은 그것을 한국의 전통 복장으로 알고 입고 다닙니다. 인사동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이 이곳의 문화적 정체성을 함께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 인사동 문화지구는 업종 제한에 대한 찬반양론도 있는데요.
"전통문화 보호를 위해 <서울시 문화지구 관리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에서 업종을 제한한 구역이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는 사단법인 인사전통문화보존회가 금지업종 진입 확산을 막아달라며 제출한 민원과, 금지업종 폐지 주장을 인용한 기사가 동시에 떠 있습니다. 문화는 관의 개입 없이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요.
그러나 전통문화의 거리는 700미터밖에 안 되고, 접해 있는 한옥 관리구역도 면적이 그리 넓지 않습니다. 규제가 폐지되어야만 상권 활성화가 가능한 건지,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인사동 지역도 있는데 굳이 규제지역 안에 입점해서 금지업종으로 영업을 해야만 하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 유튜브 '인사동김교수'에 올리신 '몹시 안타까운 한남서림 터'라는 제목의 짧은 영상이 많은 분들의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인사동 한남서림 터 표지판이 길바닥에 놓여 있어 오가는 이들이 보지 못하고 계속 밟고 지나다니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주무 관청이 표지판 위치 이동이나 설치방식 변경을 검토하도록 건의합니다. 1910년에 백두용 선생이 문을 열었고, 간송 전형필 선생이 인수한 <한남서림>은 일제강점기에 주요 문화재의 해외 유출을 막았던 곳입니다. 이곳에서 지켜진 문화재의 10여 점 이상이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일본의 조선어학회 탄압이 극심했던 때, 전형필 선생이 서울의 큰 기와집 한 채 값을 주고 사서 지켜낸 훈민정음 해례본은 UNESCO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입니다."
인사동에서 나고 자란 토박이 자매의 인사동에 대한 자부심만큼이나 인사동의 변화된 현실에 대해 아쉬움이 더 많은 듯했다. 특히 전통을 지키고자 만든 제한 업종이 알게 모르게 풀리면서 인사동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제일 크다고 했다.
결국 입주 업체와 주민들, 관리 당국 모두 함께 힘을 모으지 않는다면 인사동의 정겨운 풍경은 대기업의 상품화 물결에 휩쓸리고 말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새로 본 인사동>은 결국 인사동에서 태어나고 자라며 오랜 시간을 애정으로 지켜 본 자매의 간절한 소망에 대한 기록이다.
Born in Insadong 새로 본 인사동
김경숙 (지은이), 김경미 (사진),
인사재, 2024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훈민정음학과 세종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