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감천 합수부를 찾아온 흑두루미. 흑두루미들은 2019년까지 이곳을 찾았으나 이곳마저도 이들이 머물기엔 모래톱이 좁고 불안해서 2020년 이후로 보이지 않고 있다. 사진은 2014년 10월의 모습
정수근
가을이 찾은 듯하더니 시나브로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시절이 늦가을에서 초겨울로 접어들면 낙동강에는 반가운 이들이 찾아온다. 바로 '겨울진객'이라고도 불리는 큰고니, 큰기러기, 흑두루미, 재두루미, 독수리 같은 멸종위기종을 비롯하여 청둥오리와 쇠기러기 같은 수만 마리 겨울철새들이다 .
겨울진객인 겨울철새들과 4대강사업
이들은 낙동강이 만들어져 흐른 그 역사만큼이나 긴 생명의 질서를 따라서 낙동강을 찾아왔다. 낙동강에 발달한 백사장과도 같은 드넓은 모래톱을 안식처 삼아 긴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이 오면 다시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간다.
play
▲ 낙동강 찾은 겨울진객 재두루미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겨울진객 재두루미가 낙동강과 감천 합수부 모래톱에 내려앉아 지친 날개를 쉬고 있다. ⓒ 정수근
이것이 수억년 동안 낙동강에서 벌어진 생명의 질서 그 한 축이다. 그런데 그 축이 완전히 망가졌다. 바로 4대강사업과 함께 말이다. 4대강사업은 주지의 사실이듯 낙동강에서 모래를 대거 파내고 댐과도 같은 보를 건설해 물을 가두었다.
그로 인해 낙동강은 옛 모습을 완전히 잃어버리고 8개의 대형 호수가 돼버렸다. 모래톱과 같은 공간이 없이 오직 거대한 물그릇만 존재하는 낯선 공간으로 가히 '혁명적 변화'를 이룬 것이다. 2012년 4대강 보 준공과 더불어 말이다.
이 급격한 변화는 낙동강의 물리적 환경을 완전히 바꿔놓아 이곳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야생의 존재들에게 일대 혼란을 안겨주게 된다. 휴식과 산란의 공간이던 모래톱이 사라지고, 물길은 정체하고 깊어져 물고기를 비롯하여 야생동물과 텃새 그리고 겨울철새들에게 이르기까지 대혼란을 불러온 것이다.
물고기가 떼죽음하고, 낙동강에 사는 물고기 종이 바뀌었다. 물을 찾아 살아가는 야생동물들은 강을 찾을 수밖에 없는데 깊어진 강으로 인해 강을 건널 수 없어 서식처가 반토막났다. 겨울철새들은 쉴 곳을 찾을 수 없어 하늘에서 방황하다 결국 그들의 비행 루트를 바꾸기까지 하는 일대 혼란을 겪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