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태답습인가, 용인시청 기자실 왜이러나

시 건물 무상사용, 각종 편의 독점...타 언론 상주봉쇄, 추세와도 역행

검토 완료

이종구(hippiejg)등록 2004.08.26 16:15

용인시청 본관 1층에 자리한 기자실. ⓒ 이종구

용인시청 본관 1층에 자리한 '기자실'이 시대 역행적인 운영을 보이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관언유착, 정보독점 등 갖가지 병폐로 인해 출입 기자들에 의해 자진 반납되고 있는 현 추세와는 달리 구태 의연한 '기자단' 구성을 지속하면서 타 언론사의 출입을 봉쇄하는 등 시민의 재산을 특정 집단의 소유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용인시와 기자실의 한 기자에 따르면 현재 기자실은 경기.인천지역에서 발행하는 S일보, A일보 등 13개 지방신문 주재기자들이 기자단을 구성한 후 통합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기자실에서 취재와 기사 작성에 활용하고 있지만, 광고업무 등 다양한 개인용도의 업무도 겸하고 있다고 용인시 관계자는 전했다.

소위 메이저로 불리는 경인·경기·중부·인천일보 등 4개 지방언론사가 자체적으로 사무실을 얻어 사용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면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들 기자실의 기자단은 사실상 시민의 재산을 시가 무상제공해 사용하는가 하면, 시의 주요 부서에서 할당하는 광고를 받아 챙기는 등 온갖 편의를 취하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

또한 기자실 맞은편에 자리한 농협용인시지부가 연간 1385만원의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과도 대조를 이루는 대목.

용인시 관계자는 “10년 넘게 기자실을 무상 제공하고 있으며, 사무실 집기와 전화비, 전기세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용인시청내 기자실은 용인의 지역신문은 물론 주간지와 중앙지 등 타 언론기관의 출입을 제한시키면서 열린 공간으로 활용돼야할 기자실을 자신들의 전유물로 치부하면서 폐쇄적인 운영을 일삼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국민의 정부를 거치고, 참여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부분 주요 출입처의 기자들이 기자실을 반납하거나 기자 브리핑실로 전환되고 있는 마당에 용인시청 기자실은 거꾸로 폐쇄적 행태를 더욱 돈독히 하고 있다는 비난마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용인과 인접한 성남시와 수원시, 도의회 등 도내의 많은 자치단체와 기관들은 지역신문 기자실과 지방지 기자실이 자진 반납으로 폐쇄된 상태다.

이뿐만 아니라, 참여 정부 이후에는 청와대도 폐쇄적인 기자실 운영을 탈피했으며, 국회와 각 정당 기자실도 대부분 브리핑룸으로 변신했다.

이들 기관들은 기자실 대신 언론사와 시민단체 등 누구나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또 경기도 기자실도 이미 오래전부터 기자실을 폐쇄하고, 전체적으로 브리핑룸 형식의 운영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출입기자실의 변화는 주요 취재원인 출입처 공무원과 기관원 등으로부터 갖가지 편의를 제공받는 상황에서는 제대로 된 비판, 견제기능이 사실상 어렵다는 데 있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민언련) 김유순 정책실장은 “정보 오픈차원에서 최근에는 브리핑룸으로 전환되는 추세”라며 “기자실은 폐쇄적인 구조가 문제이고, 취재원으로부터 편의를 받는 상태에서는 올바른 견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 역시 “기자실은 어느 기자에게나 열린 공간인데, 특정언론사들이 독점하는 건 일종의 텃새”라고 지적했다.

이런 여론에도 불구, 기자단은 여전히 독선적 행태로 기자실을 운영하고 있어 자성여론이 공직내부와 지역사회 일각에서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용인시청 기자실 관계자는 “회원사에서 회비를 걷어 운영비로 쓰고 있기 때문에 타 언론기관의 상주를 제한하고 있는 것”이라며 “회원에 가입하면, 상주는 할 수 있지만 일종의 심사를 거쳐야 하고 기본적으로 주간지는 그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여전히 기자실을 자신들의 전유물로 여기는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종구/표수재기자

ⓒ 2007 OhmyNews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