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신보수주의신학의 수장은 부시 대통령 그 자신이다.

브라질 세계해방신학포럼 현지 이야기(2)

검토 완료

엄기호(getoutof)등록 2005.01.23 19:12
지난 미국대선에서 신보수주의 신학이 끼친 영향은 어느정도였는가?

당연히 신보수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부시를 지지하였다. 그것도 지지하는 정도가 아니라 교회에서 투표에 관한 교육을 하고, 투표를 독려하고 조직하고 현수막을 거는 등 거의 군대와도 같은 방식으로 움직였다. 사실 신보수주의 신학 운동은 거의 군대나 다름없다. 이에 반해 자유주의 신학 진영은 ‘모든 사람은 말할 자유가 있다.’고 나이브하게 이야기하며 적극적으로 이에 대처하지는 않았다. 이들은 보다 더 느슨하고, 덜 조직적이다.

신보수주의 신학은 신학이라고하기 보다는 운동이라고 당신은 이야기한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사실 다른 모든 신학처럼 신보수주의 신학에도 뚜렷하게 자기 선을 드러내는 신학자가 있다. 그러나 내가 신보수주의 신학을 어떤 학문적 실천이라고 하기보다는 운동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두가지 이유에서이다. 첫 번째로 신보수주의신학은 많은 신학교와, 신학대학, 그리고 교회를 가로지르면서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두 번째로 신보수주의 신학은 학문적이라기보다는 대중적인 측면이 아주 강하다. 이런 점에서 신보수주의 신학의 진정한 대표는 신학자가 아니라 부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번에 부시의 취임연설을 들었는가? 전부가 다 하느님과 신앙과 종교에 대한 이야기이다. 대통령 취임식 연설라고 볼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런 점에서 신보痴聆?신학은 신학이라기보다는 운동적 성격을 더 강하게 띈다.

체계적이지 않은데도 신보수주의신학이 이처럼 대중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가장 크게는 신보수주의신학이 대단히 애국적이라는 점이다. 발제에서도 말한 것처럼 신보수주의 신학은 미국이 하느님의 뜻에 의해 만들어진 최선의 국가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미국의 시민이 된다는 것은 곧 하느님의 나라의 백성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자부심과 자긍심의 고취가 대중들을 열광시킨다. 최선의 국가의 시민이고, 가장 강력한 국가의 국민임을 신보수주의신학은 계속 고취시키고 있으며, 실제 미국인들은 그렇게 느낀다. 따라서 이들은 세계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위치와 임무를 신보수주의 신학과 부시가 제대로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반해 자유주의 신학은 아주 나이브하다. 개인적이며. 물론 자유주의신학이 공헌한 바가 있다. 특히 개인의 자유, 여성과 흑인과 이주노동자들의 권리에 대해서 자유주의 신학은 많은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시스템 자체가 문제시되면 자유주의 신학 역시 신보수주의신학과 다르지 않다. 그들 역시 미국의 경제적, 정치적 시스템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이 최선이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들이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불린다.

북한의 경우에도 탈북자들을 위한다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선교사들이다. 북한에 대한 이런 접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원래 그들이 하는 일이 그렇다. 미국은 백악관과 언론과 교회와 자본이 일종의 동맹체를 구성하고 있다. 맨먼저 교회가 나서서 인도주의적 도움이라는 이름으로 선교에 나선다. 그것이 파견지 국가의 정부에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정부가 인권이라는 이름으로 비난을 하기 시작하고, 언론이 이를 받아적는다. 언론은 계속해서 북한이 인권탄압국이며, 독재적인 공산주의 국가이며, 그래서 미국에의해 붕괴되어야하는 곳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문제는 북한이 독재적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라거나 언론을 탄압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이런 주장의 배후에는 미국의 말을 듣지 않는 북한은 붕괴되어야하고, 절대적 선인 미국식의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체제를 받아들어야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결국 그들의 비난과 비판의 요점은 북한이 인권탄압국이고 독재적인 공산주의 국가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 '선'인 미국의 지시와 모델을 북한이 따르지 않는다는데 있다.

한국의 보수적 그리스도교에서는 국가보안법 수호를 위한 시위에서 미국 국기를 흔든적도 있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눈이 동그래지며) 한국에서? (그렇다) 오 마이 갓.

어떻게 해서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나?
나는 사실 교회에서 태어나고 교회에서 자랐다. 청년기가 되었을 때 나는 사실 교회를 떠났다. 교회보다는 사회운동이 흑인의 정의를 위해서 더 확실하게 싸울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가운데 흑인 신학을 만났고 다시 교회로, 아니 신앙으로 돌아왔다. 왜냐하면 흑인신학을 통해서 나는 나의 그리스도인됨과 흑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사회정의라는 세가지 모두를 다 만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의 신학을 예언자적 신학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한국의 민중신학 역시 마찬가지 아닌가? (한국의 민중신학은 요즘 과거처럼 그렇게 활동적이지 못하다.) 정말인가? 참으로 유감스러운 일이다. 왜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흑인 신학은 신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언자적 교회를 통해서 운동으로 존재하고 있다. 비록 예언자적 교회는 숫자나 규모에서도 아주 적지만 흑인 신학은 교회에 근거하고 교회를 통해서 운동하기 때문에 여전히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나는 아주 낙관주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낙관적이라니 놀랍다. 그 근거가 무엇인가?
사실 미국이 미국식의 파시즘적 상황이 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나를 낙관적으로 만든다. 왜냐하면 부시와 신보수주의가 파시즘으로 갈 정도로 그렇게 절박하다는 것이다. 절박하지 않다면 왜 파시즘적 체계로 이행하겠는가? 경제며 사회적 안전망이며, 국민적 결속이며 모든 것이 끝장났다. 그러니 더욱 부시와 신보수주의자들은 더 절망적이지 않을 수 없고 절박해지는 것이다. 물론 나는 이 상황이 기쁘지는 않다. 그러나 나는 낙관적일 수 있다. (상황이 기쁘지는 않지만, 낙관적이라니 그것이 당신이 당신의 신학을 예언자적이라고 말하는 아주 상징적인 표현인 것 같다.) (웃으며) 그런가? 그렇다. 모든 사회적 안전망이 붕괴하여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 행복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낙관적일 수 있다. 맞다. 그래서 나는 내 신학을 예언자적이라고 이야기한다.

ⓒ 2007 OhmyNews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