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동북아 물류허브' 꿈꾼다

물류기본계획 수립 돌입...군산 동북아 물류허브로 만들기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검토 완료

강연덕(deok79)등록 2007.04.23 21:02
전라북도의 해양관문인 군산을 '동북아 물류허브'로 만들기 위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된다.

전북도는 내년까지 전북은 물론 전남, 충남, 영남권 수출입 물동량까지 군산항으로 집중시키는 전략과 물류기반시설 조성, 중부지역 물류허브화 추진, 종합물류네트워크 구축 등의 세부 추진계획이 담긴 '물류기본계획'수립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3일 서울 한국종합물류연구원과 물류기본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액은 1억8천만원으로 오는 11월 중간보고를 거쳐 내년 4월까지 용역이 끝날 예정이다.

물류기본계획에는 ▲물류기반시설 조성 중.장기계획과 ▲중부지역 물류허브화계획 ▲종합물류네트워크 구축계획 ▲물류운영의 효율화 계획 ▲인재양성 프로그램 개발 ▲전북.전남.충남.영남권 수출입 물동량 군산항 집중 전략 등이 담긴다.

도는 전북을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꿈을 갖고 있다. 중국의 개발전략에 대응하고 대동북아 경제거점 확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최적의 요건을 보유한 군산을 중국의 환황해권 개발에 대항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것.

현재 중국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환황해권 개발전략을 들여다보면 상하이 푸둥특구에 이어 발해만 중심의 톈진 빈하이신구를 인천 경제자유구역에 대응하는 자유무역특구로 지정하고 첨단산업, 다국적기업 연구개발(R&D)센터, 국제물류센터 등을 유치해 동북아의 물류·금융허브로 육성하고 있다.

특히 최근 압록강 건너 단둥 인근에 1억평이 넘는 초대형 산업단지를 조성, 북한 경제부흥을 겨냥하고 한국기업의 참여를 염두에 둔 계획도 발표됐다. 중국은 이미 동북아 경제주도권 확보를 위한 해양지향형 국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셈이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물류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없어 각종 개발사업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했다"면서 "급속한 국내.외 물류환경 변화에 대비하고 물류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을 통한 동북아 물류 허브 구현이 계획수립의 최종 목표"라고 설명했다.
ⓒ 2007 OhmyNews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