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 엄마와 함께 살았던 그때, 엄마를 가장 몰랐다

등록 2019.04.26 14:21수정 2019.04.26 14:2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이가영

                   
엄마가 심어주고 가신 들꽃들이 꽤 싱싱하게 자라고 있다. 멀쩡한 화분도 죽여 놓는 나로서는 매일 아침 화분들을 들여다 보며 감탄이 나온다. 아마 식물들도 거두어 준 사람의 손길에서 나오는 생명력을 나눠 받는구나 싶다.


62세이신 엄마는 아직 요양원에서 일을 하신다. 엄마의 회사 생활은 젊은 사람들의 회사 생활 못지 않게 치열하다. 업무 과실을 남에게 돌리려는 상사와의 눈치게임,
회사 시스템의 부조리, 아부의 향연과 그것을 꼴 사나워 하는 사람들 간의 감정소모 같은 것을 듣고 있으면 퇴사하고 전업주부가 된 나는 새삼 회사 생활이라는 것이 아득하게 느껴지면서도 제 3자만 가질 수 있는 청취의 재미가 쏠쏠하다.

게다가 할 일은 똑부러지게, 그리고 할 말도 똑부러지게 하는 엄마는 회사에서도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이라 항상 에피소드가 넘치신다. 엄마 말을 옮기자면
원장님이 아니라 하나님이 와도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하신다고...

어릴 적 내 기억 속의 엄마도 참 씩씩하고 정확한 사람이였던 것 같다. 그러니 우리 3남매가 아직도 엄마에게는 무조건적인 신뢰를 보내는 것 일지도. 그런데 한편으론 좀 슬프다. 어떤 자리에서든 부당한 건 못 참고 지나가는 엄마는 어떻게 자기 인생의 부당함은 참고 이 긴 세월을 보내오고 있을까.

나는 엄마와 내 나이의 차보다 더 나이를 먹고 나서야 엄마를 제대로 알아가기 시작한 것 같다. 아이러니하게도 한 집에서 같이 살던 오랜 시간 그때의 내가 엄마를 가장 모르고 지냈다. 엄마를 너무나 당연한 사람으로 생각했건 거다.

진부한 이야기지만 나도 엄마가 되어보고 나서야 조금씩 젊은 날 엄마의 인생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아마도 "어떻게 참았어?" 하고 물어보면 엄마는 "엄마니까"라고 대답하겠지.


참는 게 미덕이라는 말이 얼마나 뼛속까지 을의 언어인가 생각해보면 엄마라는 존재는 엄마가 되는 순간부터 뿌려놓은 생명들을 지키기 위해 을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인 건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들꽃을 화분에 옮겨 심으시면서 아무래도 화분에 심어 놓으면 뿌리를 살게 해주는 힘이 땅 힘보다는 못할 거라고 하셨다.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힘은 묵묵히 생명을 피어나게 하는 모든 삶의 원천 같기도 하다. 땅 힘. 살게 하는 힘. 우리들을 살게해 준 힘.
 

ⓒ 이가영

  

ⓒ 이가영

  

ⓒ 이가영

  

ⓒ 이가영

  

ⓒ 이가영

 

#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윤석열 대통령, 또 틀렸다... 제발 공부 좀
  2. 2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3. 3 "물 닿으면 피부 발진, 고름... 세종보 선착장 문 닫았다"
  4. 4 채상병 재투표도 부결...해병예비역 "여당 너네가 보수냐"
  5. 5 '질문금지'도 아니었는데, 대통령과 김치찌개만 먹은 기자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