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하게 먹는 한 모의 두부 속에 담긴 이야기를 역사극으로 풀어내면 어떤 이야기가 나올까? '조선의 두부, 일본을 구하다.'는 임진왜란 당시 끌려갔던 조선인 포로들이 일본에 전수한 두부 이야기를 동화로 담아내고 있다. 아르코 문학 창작 기금 수상작으로 신간 출간된 이 책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편 창작 역사 동화다. 주인공인 어린아이 석두는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어머니를 잃고 두부를 만드는 할머니와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왜군의 공격으로 석두는 아버지마저 잃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일본으로 잡혀가고 만다. 두부를 만들 줄 안다는 이유로 할머니와 석두는 다이묘의 주방에서 일하게 된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두부를 만들 때 기본 재료인 콩을 가는 맷돌이 없다는 시련이 닥친다. '정말 그 당시 일본에는 맷돌도 제대로 없었나?' 하는 의문이 드나 일본에서 조선 사람들이 두부를 만들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살을 붙여 상상해 보면 이는 풀린다. 포로로 잡힌 이들이었기에 아무리 다이묘의 지시가 있었다고 한들 무엇하나 구하기 어려웠던 상황을 극적으로 풀어낸 셈이다. 이어지는 이야기는 단순히 조선인을 잡아 온 일본인은 악이라는 구도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호의를 베풀기도 하고 악의를 가지고 행동하기도 하며 협조하기도 한다. 포로로 잡혀 온 이미지가 짙게 강조되는 주인공 석두와 그 주변 인물들보다 일본인들이 더 입체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석두와 가까운 원이가 사무라이가 되었다가 돌아오고 후에 일본인 여성과 혼인하는 장면이 있으나 이는 그저 단순한 에피소드일 뿐이다. 안정될 것 같은 조선인들의 생활은 일본 내전으로 인해 다이묘가 바뀌는 변화를 겪는다. 할머니와 석두는 박인겸의 도움으로 두부를 중심으로 한 조선인들의 마을을 이루고 두부와 도토리묵으로 굶주린 일본인들을 도와주고 배타적이었던 다이묘와 일본인들에게도 크게 인정을 받는다. 이는 이 동화의 절정이자 조선 두부가 일본에 정착하게 된 역사적 장면을 소설적으로 풀어낸 장면이라 할 수 있다, 할머니가 죽은 후 석두는 일본을 떠날 기회가 주어졌으나 떠나지 않고 계속 두부를 만든다. 이 동화의 마지막 장면, 석두가 새벽부터 일본인들과 두부를 만드는 장면은 여운을 주며 그 후일담에 대해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손두부를 제대로 먹어본 어른이라면 이 동화를 보는 도중 두부를 만드는 묘사가 매력적임을 느낀다. 마치 책 속에서 두부를 찌는 향기가 나는듯하다. #동화 #유영주 #윤문영 #두부 #조선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