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1년 계도기간 발표… 1회용품 규제 포기 선언과 같아

1회용컵 보증금제 유예에 이어 1회용품 사용 금지마저 '1년 계도'… 사실상 '유예'

검토 완료

백나윤(na4946)등록 2022.11.01 16:55
오늘, 환경부는 '11월 24일부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시행'이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11월 24일부터 시행하되 1년 간의 '참여형 계도기간'을 통해 사업장의 '자율 감량'과 지자체의 '캠페인'을 통해  1회용품 사용 감량을 유도한다는 내용이다. 
'1회용품 규제'는 지난해 12월 말 자원재활용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시행일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었다. 반드시 시행되었어야 할 정책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환경부는 1년 간 계도기간을 두고 사업장의 자율 감량을 이끌어내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사업장 상황으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라고 말하며 사실상 사업장별로 1회용품 감량 캠페인에 참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을 담았다.
환경부는 "실질적인 감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세밀한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1회용품 사용 규제 정책에 계도 기간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1회용품 사용 감량 제도에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했다면 시행 예정일부터가 아닌, 그 이전부터 단계적으로 제도를 시행했어야 한다.
또한,환경부는 2002년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2009년 휴게음식점업계와의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2018년 대형유통업체와의 '1회용 비닐쇼핑백∙과대포장 없는 점포 자발적협약',  커피전문점 및 패스트푸드점과의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등 1회용품 사용 감량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다수 진행한 바 있다. 위와 같이 이미 1회용품 사용 제한을 위한 수많은 자발적 협약을 진행해왔음에도, 이번에도 강력한 규제가 아닌 사업장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는지 의문이다.
기존 '식품접객업의 1회용품 사용 제한 유예' 제도에도 환경부는 "지자체의 여건에 따라 실효적으로 집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하며 지자체에게 1회용품 사용 규제를 떠넘겼다. 1회용품 사용 감량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하는 주체임에도 말이다.
2019년, 환경부는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을 발표하며 1회용품 사용량을 35% 이상 줄이고 대체 가능한 1회용품은 쓰지 않는 것을 우선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2022년 오늘, 환경부는 시의적절한 정책 시행과 불필요한 1회용품 사용 규제가 아닌 '1년 간의 계도'와 '자율 감량'를 말했다. 완전히 역행하는 것이다.
1995년 1월 1일, 정부는 쓰레기 문제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판단해 '쓰레기 종량제' 제도를 전국적으로 강력하게 시행했다. 봉투가격 등 이견과 반발이 발생했지만 결국 이후 6년간 종량제 시행전( '94) 대비 쓰레기량은 3,772만톤(연간 629만톤)이 감소되었으며 재활용품 분리배출량은 1,346만톤 증가했다. 제도 시행 이후 물건 구입시 쓰래기 발생이 적은 상품을 선호하는 등 국민들의 환경의식의 변화도 이끌어냈다. 위와 같이 강력하고 적극적인 환경 규제 정책은 시민들의 인식 제고와 실질적인 폐기물 감량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환경부는 강규제는 커녕 1회용컵 보증금제 유예를 비롯해  11월 24일 시행 예정인 1회용품 규제 정책마저 1년간의 계도기간을 두며 후퇴시키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백나윤 자원순환 담당 활동가는 환경부의 발표에 "사실상 환경부가 1회용품 규제 포기를 선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경부의 본연의 역할을 저버리고, 나아가 행정부의 존재까지 스스로 부정하고 있는 행태"라고 말하며 1회용컵 보증금제 유예 및 시행지역 축소 등을 비롯해 계속해서 환경 정책을 후퇴시키고 있는 환경부를 비판했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