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서울양평고속도로 정동균 군수 발언 왜곡 오보

정동균 당시 군수는 원안 기준으로 IC 위치 정해야 한다고 명시

검토 완료

박동휘(marslife)등록 2023.07.07 14:28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종점안이 갑자기 양평군 남한강 이북 지역에서 남한강 이남의 병산리로 변경되었다가 김건희 여사 특혜 의혹으로 논란이 되자 원희룡 장관이 갑자기 도로 사업 자체를 취소시켜 논란이 되고 있는 와중에,

조선일보가 박국희 기자의 ''김건희 특혜'라던 양평고속도 노선, 2년전 민주당서도 요구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출되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양평군수를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동균 전 양평군수가 남한강 남쪽으로 가는 현재의 대안 노선으로 노선 변경을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에 대하여 "민주당 소속 당시 정동균 양평군수 역시 2021년 5월 지역 언론 인터뷰에서 "강상~강하로 이어지는 채널이 있어야 하기에 강하면으로 들어올 수 있는 IC가 있어야 한다"며 현재의 대안 노선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는 이미 2년 전부터 민주당 지역위원장과 민주당 양평군수가 강하IC 설치를 포함한 현재의 대안 노선 필요성을 주장한 것인데, 민주당 강득구 의원 등은 이러한 사실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현재 윤석열 국토부가 이유 없이 김건희 여사 토지에 특혜를 주기 위해 노선을 변경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라고 보도하였다.

그러나 정동균 군수는 '강하면으로 들어올 수 있는 IC'라고 했지 '강하면 관내에 IC가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해당 인터뷰 내에서 노선변경은 어렵고 기존 노선을 기준으로 IC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고 발언했기 때문에 위 보도는 정치인의 발언을 왜곡한 오보로 확인된다.
 
해당 언론의 보도는 양평군 지역언론인 '양평시민의소리'에서 2021년 5월 21일 보도한 "〔정동균 군수 인터뷰〕 "최첨단 스타트업 기업 유치 이달 안 결정" 보도로 보이는데, 

이 인터뷰에서 정동균 당시 양평군수는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양평 쪽 IC위치에 관심이 쏠린다. 위치 선정 시 어떤 점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하나"라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기존에 있는 노선을 원천적으로 없애고 새로 하는 건 어렵지만, 기존에 우리가 국토교통부에 신청했던 원안을 중심으로 양평군의 이익과 어떻게 부합되느냐를 생각하는 건 가능하다.

가령 강상~강하로 이어지는 채널이 있어야 하기에 강하면으로 들어올 수 있는 IC가 있어야 한다. 당초 안이 신원역과 국수역 사이인데, 저희가 주목하는 건 국수리다. 국수리가 전철 타고 내려오는데 양평보다 훨씬 전에 있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역세권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거기에 청년·농민주택 등을 만들려면 역세권을 만들어야 한다.

또,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핵심은 양수리로 들어가는 6번 국도의 교통량을 분산하는 것이다. 내륙고속도로에 옥천IC가 있고 올라가다가 차가 막히면 말 그대로 서구권으로 가는 것이다. 하남, 수원, 성남으로 가는 건 양수리 가기 전에 거기서 올라가서 빠지면 되니까 굳이 양수리나 팔당터널 지나갈 이유가 없는 거다. 이것만 해결되면 양수리 교통체증도 해소하고 서구권으로 갈 수 있는 교통을 분산해 원활한 교통에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다.

IC를 어디에 붙이는 건 우리가 결정할 게 아니라 기존 원안을 두고 지역주민·전문가 공청회, 국토교통부 사전 조사와 맞물려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IC를)오빈이나 아신 쪽에 뚫을 필요가 뭐가 있나 차라리 양평까지 끌고 오지. 우리가 노선을 근본적으로 바꿔버리면 이 사업 자체가 안 되는 거다. 아신 쪽은 제가 거기 살고 있어서 더 어렵다. '제논에 물대기' 얘기가 나오지 않겠나.

남종면에서 수청골로 해서 신원리와 도곡리 사이에 내륙으로 붙이는 게 원안이면 거기서 IC만들어서 하나는 국수리로 떨어지고. 하나는 더 가면 내륙고속도로와 붙어서 목왕IC, 화도, 파주까지 가는 것이지 않나. 북으로 가는 교통량은 거기로 가고, 서부로 가는 건 여기서 찢어서 가면 양평은 경기도 동부권의 중심 물류단지도 가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라고 답변했다.

여기서 "기존에 있는 노선을 원천적으로 없애고 새로 하는 건 어렵지만, 기존에 우리가 국토교통부에 신청했던 원안을 중심으로 양평군의 이익과 어떻게 부합되느냐를 생각하는 건 가능하다.", "IC를 어디에 붙이는 건 우리가 결정할 게 아니라 기존 원안을 두고 지역주민·전문가 공청회, 국토교통부 사전 조사와 맞물려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IC를)오빈이나 아신 쪽에 뚫을 필요가 뭐가 있나 차라리 양평까지 끌고 오지. 우리가 노선을 근본적으로 바꿔버리면 이 사업 자체가 안 되는 거다. 아신 쪽은 제가 거기 살고 있어서 더 어렵다. '제논에 물대기' 얘기가 나오지 않겠나." 라는 부분은 양평군에서 노선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안을 기준으로 IC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부분이며,

"당초 안이 신원역과 국수역 사이인데, 저희가 주목하는 건 국수리다. 국수리가 전철 타고 내려오는데 양평보다 훨씬 전에 있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역세권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거기에 청년·농민주택 등을 만들려면 역세권을 만들어야 한다." 라는 부분은 가급적 국수리에 IC를 만들거나,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편리하게 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또,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핵심은 양수리로 들어가는 6번 국도의 교통량을 분산하는 것이다. 내륙고속도로에 옥천IC(실제로는 양평군 옥천면에 있는 양평IC로 추정)가 있고 올라가다가 차가 막히면 말 그대로 서구권으로 가는 것이다. 하남, 수원, 성남으로 가는 건 양수리 가기 전에 거기서 올라가서 빠지면 되니까 굳이 양수리나 팔당터널 지나갈 이유가 없는 거다."라는 부분은 올라가다가 차 막히면 옥천IC에서 고속도로를 타는게 낫다고 설명하는 부분으로 보인다. 

또한 조선일보는 "가령 강상~강하로 이어지는 채널이 있어야 하기에 강하면으로 들어올 수 있는 IC가 있어야 한다." 부분이 강하면 관내에 IC를 만들어야 한다가 아니라, 강하면으로 들어올 수 있는 IC를 말하는 것인데 마치 '강하면 관내에 IC를 만들어야 한다'는 발언으로 왜곡했다. 뒤의 "남종면에서 수청골(남종면 동부지역인 수청리로 추정)로 해서 신원리와 도곡리 사이에 내륙으로 붙이는 게 원안이면 거기서 IC만들어서 하나는 국수리로 떨어지고. 하나는 더 가면 내륙고속도로와 붙어서 목왕IC, 화도, 파주까지 가는 것이지 않나."에서 비춰보듯,

수청골이나 국수리 쪽에 IC를 만들어 국수리로 접근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 정동균 군수의 발언이었다.

국수리에 IC를 만들고 남한강 횡단교량을 건설하여 강하면으로 갈 수 있게 하거나, 아니면 국수리 부지에 IC를 건설하기 힘들다면 강하면 경계에서 서울 방향으로 2 km 떨어진 남종면 수청리(수청골)에 IC를 만들고 국수리는 별도의 신설 교량을 통해 연결하여 접근하기 편리하게 하자는 것이 정동균 군수의 발언 취지로 보인다.

또한 "국수리가 전철 타고 내려오는데 양평보다 훨씬 전에 있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역세권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거기에 청년·농민주택 등을 만들려면 역세권을 만들어야 한다."가 정동균 군수의 발언인데, 서울양평고속도로에서 국수리로 접근할 방법이 없는 상태의 '변경 노선'을 양평군에서 요구할 이유가 없다는 것도 조선일보의 보도가 오보임을 드러낸다.

조선일보의 해석대로 정동균 군수가 "강하면 관내에 IC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해석해 '변경 노선'과 '강하 IC-국수리 교량'을 동시에 요구했다고 해석한다고 본다면, "우리가 노선을 근본적으로 바꿔버리면 이 사업 자체가 안 되는 거다.", "기존에 있는 노선을 원천적으로 없애고 새로 하는 건 어렵지만, 기존에 우리가 국토교통부에 신청했던 원안을 중심으로 양평군의 이익과 어떻게 부합되느냐를 생각하는 건 가능하다.", "IC를 어디에 붙이는 건 우리가 결정할 게 아니라 기존 원안을 두고 지역주민·전문가 공청회, 국토교통부 사전 조사와 맞물려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등에 위배된다.

따라서 조선일보의 보도는 종합편성채널을 운영중인 대형 메이저 언론에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을 방기한 정치 공세 목적의 오보로 보인다.

인터뷰 기사의 한 문장만 잘라서 보면 얼핏 정동균 군수가 강하면 관내 IC 설치를 주장한 것인양 오인할 수 있지만, 명시적으로 '강하면 관내에 IC를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문장들은 '노선을 변경할 수 없으니 기존 노선을 전제로 해서 IC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음에도 오보가 나온 경위에 대한 조선일보의 해명과 사과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