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안을 생활권으로 두고 있는 전북과 경기, 인천, 전남, 충남 등 5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해안 시대를 대비해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전북도는 "서해안권 광역 개발을 위해 전북도와 경기, 전남, 인천, 충남 등 5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협의체를 만드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각 지자체의 의견이 제시되면 실무협의를 거쳐 협의체 창설 논의가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동해안 지역의 경우 강원도와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등이 지난해 11월 협의체를 구성하고 환동해안 개발 계획을 수립에 나서는 등 각종 현안에 공동대응 하고 있다. 특히 정부 내에 동해안 개발기획단 설치를 공식적으로 요구하기로 하는 등 동해안 시대를 열기 위한 연합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서해안 5개 시도가 개별적으로 구상중인 서해안권 개발계획에 대해 논의한 뒤 특별법 제정이나 특구제정 등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각 시도에서 추진중인 대형사업의 시기와 내용이 중복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전체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북은 군산과 부안을 잇는 33km 새만금 방조제 끝물막이 공사가 완료되면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1억 2000만평에 달하는 드넓은 땅의 활용방안 마련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전북도민들이 그토록 기다려왔던 새만금 이용 전성시대에 들어가게 된 셈이다.
또 경기도는 충남과 당진, 화성 일원에 2200만평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하기 위해 중앙정부를 노크하고 있으며, 전남도 역시 J프로젝트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협의체 구성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당장 주도권 다툼이 벌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각 시도별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 내용 중복에 따른 영역 다툼도 배제할수 없을 것으로 보여 협의체 구성에 거는 기대 및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이같은 5개 시도의 움직임은 바람직하다고 본다"면서 "5개 시도가 연합전선을 구축해 서해안 개발에 적극 나서는 등 서해안 개발이 국가전략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이전에도 서해안 시도협의체 구성이 논의됐지만, 무산된 바 있다"면서 "구성 논의가 본격화되면 당장 주도권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