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제, 경제, 경제..."
"돈, 돈, 돈..."


이번 17대 대선의 알파이자 오메가다. 그 무엇에 앞서, 표심을 사로잡은 절대적인 가치였다. 그리해서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클린턴)라는 슬로건이 100% 먹혀 들어간 선거였다. 그리고 이 경제 슬로건에 다른 모든 가치들이 함몰된 '배금(mammon) 선거' '경제 만능 선거' 였다.

이리해서 "다른 것은 몰라도 경제만은 꼭 살리겠다"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는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표가 몰렸다. "잘 살게 해 주겠다", 이 달콤한 한마디 말이 "좀 더 잘 살아 보자"를 염원하는 사람들의 가슴을 적중, 표심이 다른 그 무엇을 생각할 겨를도 틈새도 주지 않은 '실리(economic) 실용(practical) 선거'였다.

일찌감치 이 같은 표심을 꿰뚫어 본 'CEO 대통령'은 그 실현 가능성 여부와 관계없이, 아무런 구체적인 방안 제시도 없이, 엄청난 공약들을 쏟아냈다. 1인 당 GNP를 3, 4만 달러로 올리겠다, 일자리 3백만 개를 새로 만들겠다, 증시 지수가 5천이 되게 하겠다, 기업 투자 환경을 개선해 경제 성장 동력을 키우겠다…. 돈(資)이 만사의 근본(本)이 되는 자본주의 시대·사회에서 이 얼마나 사람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약속들인가.

그 마력에 홀린 사람들의 눈엔 다른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다. 아니, 아예 보려고 하지를 않았다. "윤리·도덕이 밥 먹여 주나" "부패가 무능보단 낫지…". 오직 경제만이 최대의 관심사이고 목표였다. 그리해서 "속는 셈치고…" "밑져야 본전…" 하는 심리로 경제에 몰표를 던졌다. 이식위천 (以食爲天)이라 했으니 그 같은 표심을 나무랄 수는 없으리라.

그러나, 그러나 말이다. 사람들이 온통 이렇게 돈·경제만을 절대 가치로 떠받들고, 그것만을 사물의 판단 잣대로 삼는다면, 그리해서 인간 삶의 기본인 윤리·도덕성, 정직·성실성-특히 정치인들에게 요구되는 자질이다- 같은, 보다 값진 가치가 완전 무시되어 버린다면, 그 같은 사회는 어떤 사회가 될 것인가.

우리가 정말 배가 고팠을 때엔 경제 제일주의가 그런 대로 타당성이 있었다. 돈·경제가 그 무엇에 앞서는 절대 가치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배고픈 사람들에게 그것은 어필했다. 그런데 이제 경제 규모 세계 10위 권, 1인 당 GNP 2만여 달러, 의식주가 어느 정도 해결된 이 마당에 와서도 사람들이 이렇게도 "돈, 돈…" 하며 돈독이 들고, 소위 지도자라는 사람들은 "경제, 경제…" 하며 이를 더욱 부채질을 해 우리 사회를 이렇게도 극도의 배금주의(mammonism) 사회로 몰아 가고 있으니 참으로 개탄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자본주의 종주국인 미국에서조차 우리가 이번 대선에서 보여준 것 같은 가치 전도 현상은 좀처럼 그 예가 없다. 정치인은 조그마한 윤리·도덕적 흠결·결함만 드러나도 그 정치 생명을 잃게 된다. 이는 다른 어느 후보를 지지해서 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리고, "보수당에서 개를 내세워도 이길 수 있었을 것이다(the Conservative could put up a dog and still win)" 라는 외신(로이터)의 비아냥이 나올 정도의 "갈아 치워야 한다"는 민심의 대세, 그 대세 앞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으니 '최악 아닌 차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 거다.

어느 특정 후보, 특정 정치인을 비난, 매도할 의도는 조금도 없다. 오로지 말하고 싶은 것은, 사람들의 가치관·인생관이 이렇게 돈과 경제가 절대적 가치, 지상의 가치가 될 때, 그리해서 돈·경제보다 우위에 있어야 할 다른 모든 가치가 완전히 무너져버릴 때, 과연 우리 사회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우려다.

사람들의 이같은 사고 방식, 인생관이 바뀌지 않는 한 아마도 국민 소득이 3, 4만 달러가 되어도, 우리의 염원인 선진국에 진입한다 해도, 사람들의 행복 지수는 100 이하 권을 벗어날 수 없을 거다.

왜냐하면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는 것, 가진 것이 많을수록 거기에 비례해 하고 싶은 것이 더욱 더 많아지는 법, 그것을 다 채울 수 없는 욕구 불만에서 오는 사람들의 불행감, 절망감은 탈피할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한 마디 아니 할 수가 없다.

"바보야, 경제가 다가 아냐!"


태그:#경제, 다가 아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