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해 봉하마을 방문객 앞에 나선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지난해 봉하마을 방문객 앞에 나선 고 노무현 전 대통령. ⓒ 노무현 공식 홈페이지

봉하 마을 추모 대열이 끊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추모객들은 전직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고 간 상황에 대해 분노하기도 하고, 고인의 미덕을 찬양하며 이른 죽음을 애달파 하기도 합니다. 저는 또 다른 안타까움을 말하고 싶습니다. 대통령이 방문객들의 부름을 받아 나오면서 시작된, 반갑고 흥겹고 진지했던 봉하 이야기판의 사라짐에 대해서.

대통령이 퇴임하여 시골 고향으로 내려가 그곳의 생활인으로 살아가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일이어, 많은 국민들이 감동했습니다. 참 따뜻한 모습이었습니다. 자전거에 손녀를 태우고 들판을 달리는 모습이 그랬고, 오리 농법으로 재배한 벼를 수확하려고 콤바인에 올라탄 모습이 그랬습니다. 고향 강 습지를 되살리기 위해 쓰레기를 줍고 뒷산 장군차 밭의 풀을 뽑는 모습도 그랬습니다. 가장 빛나던 순간은 밀짚모자 대통령이 봉하 이야기판의 단골 이야기꾼으로 등장하던 때였습니다.

"대통령님 나와주세요~"

방문객들은 대통령의 사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시시때때 불러댔습니다. 어느덧 대통령은 굵은 이마 주름을 더 깊이 만들며 환한 웃음을 앞세우고 나왔습니다. '손님이 오시면 인사를 하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는 것이 명분이었지만, 대통령은 방문객들과 같은 자리에서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무척 기뻐하고 있었습니다.

대통령의 이야기보따리에는 고향 마을의 산과 들, 집과 나무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들어있는 듯하였지요. 그 속에서 유년과 청년 노무현이 서성대고 있었습니다. 옛집을 짓던 날 선친께 흙을 날라드리던 어린 날의 기억을 되살립니다. 고향 산천을 쏘다니던 청년의 행적을 '삐댔다'는 김해 사투리로 얼버무립니다. 뱀산과 학산 그 사이 개구리산을 가리키면서 방문객을 전설의 세계로 이끕니다.

과수원집 아들이어서 그럴까요. 과수 나무에 대한 성찰이 돋보입니다. 과수 나무는 씨가 생기는 순간 모든 정성을 씨에게 쏟아 영양의 대부분을 그쪽으로 보냅니다. 다음 생에 대한 사랑에서라고요. 그래서 씨 있는 부분은 먹기에는 불편하지만 달고 맛있답니다. '나무는 정성입니다'라는 결론이 내려지면 방문객은 크게 고개를 끄덕입니다. 건너 산 농막에서 고시 공부를 하던 시절, 아이를 둘러업은 아내는 밥을 나릅니다. 마침내 고시에 합격하자 학벌 없는 고시생은 '출세했고' 젊은 아내는 '팔자 고쳤다'며 파안대소합니다. 방문객들도 깔깔 따라 웃습니다.

이쪽에서 "강원도에서 왔는데요"라 하면, 저쪽에서는 LA에서 왔다며 자기만이라도 대통령과 사진을 찍어야 한다고 나섭니다. 세계 경제 위기에 느끼는 불안을 이야기하고는 그런 자기를 위해 뭔가 위안의 말을 해주십사는 직장인이 있는가 하면, 아이의 가슴에 일생 동안 새겨 넣을 좋은 말씀을 해 달라 주문하는 부모도 있습니다.

이렇게 봉하 이야기판은 순수하고 흥겹고 진지했습니다. 세속적 분별을 초월한 쌍방소통의 자리였습니다. 그 이야기판에 참석한 사람들의 마음이 어땠나를 알려면 '사람 사는 세상' 홈페이지에 시시각각으로 올라온 그들의 얼굴 사진을 보십시오. 저는 그렇게도 다양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한결같이 행복한 표정을 짓고 있는 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저는 하루에도 몇 번이나 그곳으로 몰래 들어가 그 행복을 훔쳤답니다. 이야기를 전공한 저는, 봉하 이야기판의 막간에 추임새 이야기를 서비스하는 자원봉사자가 되고도 싶었지요.

어느 날 대통령은, 드높게 보이는 부엉이 바위를 배경으로 하여 더 키가 작게 보이는 사저를 가리키고는 "집이 좋지요?"하며 동감을 구했습니다. 방문객들이 고개를 더 들어 보았습니다. 우뚝 선 부엉이 바위가 시야를 꽉 막았습니다. 대통령은 사저가 문화재로 공인될 만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그곳에 사는 "제가 죽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 말은, "제가 앞으로 꽤나 오래 살 것이니, 저 집이 문화재가 되는 걸 보기 위해서라도 어르신들 오래 사십시오"라는 축원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어르신 방문객의 장수를 축원했던 그 말이, 당신의 때 이른 죽음을 예언한 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그 즐겁고 흥겹고 진실했던 봉하 이야기판은 사라졌습니다.

이야기판이 사라진 그곳에 슬프고 처절한 이야기들만이 정처를 잃고 떠돌고 있습니다. 간결하고 진솔한 입담을 가진 이야기꾼들이 다시 모여서 봉화 이야기판을 되살릴 때는 언제인가요?

행복했던 봉하 이야기판에서 사람들은 권위나 오만, 차별이 아니라 겸손과 솔직함, 평등의 마음으로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주었습니다. 찾아온 온갖 사람 박대하지 않고 평등하게 바라보며 자기 삶을 이야기했던 이야기꾼 노무현. 살아남은 자들이 세상 모든 존재를 부처님과 하나님으로 공경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삶의 이야기를 서로 나누게 될 때, 그 즐겁고 찬란했던 봉하 이야기판은 이 나라 방방곡곡에 만들어지겠지요. 수많은 이야기꾼 노무현이 되살아나겠지요.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법보신문에도 실었습니다.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HTTP://YU.AC.KR/~KOLEE



#봉하마을#노무현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9,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하고 있으며, <<젖병을 든 아빠, 아이와 함께 크는 이야기>>(돌베개), <<한국야담연구>>(돌베개), <<조선시대 일화 연구>>(태학사), <<보이는 세상 보이지 않는 세상>>(보림), <<말이 없으면 닭을 타고 가지>>(학고재) 등을 썼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