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다가스카르>라는 애니메이션이 있었다. 동물원에 살던 네 마리 동물이 치밀한 작전 끝에 동물원을 탈출, 야생동물의 낙원인 마다가스카르 섬에 도착해서 겪게 되는 모험담을 담은 것이었다.

기억에 남는 것은 시종일관 너무 코믹했다는 것? 그러나 현실 세계의 동물 탈출 대소동은 전혀 우습지 않다. 지금 청계산에서는 1백여 명의 관계자들이 추위와 싸우며 탈출한 곰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고, 곰은 곰대로 생명의 위협을 느끼며 필사적으로 도망을 다니고 있다.

동물원에 가서 동물을 관찰하고 사진 찍는 것이 취미인지라, 말레이곰이 탈출했다는 소식에 조금 남다른 기분이 들었다. 다른 불곰들 만큼 장난꾸러기는 아니었지만, 그 녀석도 제법 관람객들 앞을 왔다갔다하며 애교를 부리고 먹이를 조르기도 했던 모습이 떠올랐다. 컴퓨터 폴더를 뒤져보니 그 녀석 사진도 제법 있다.

열대우림이 고향인데, 이 한겨울 벌거벗은 숲 속에서 얼어 죽는 건 아닐까? 평생 사람이 주는 먹이만 먹던 녀석이 기본적인 앞가림이나 할 수 있을까? 누구나 낯설고 공포스러운 상황에 처하면 신경이 날카로워지기 마련인데, 겁이 난 나머지 사람들을 위협하기라도 하면 어쩌지?

몇 해전 서울대공원에서 찍은 말레이곰 사진입니다. 셔터소리 나는 곳을 바라보는 두 눈에 졸음이 가득합니다.
▲ 탈출한 말레이곰 몇 해전 서울대공원에서 찍은 말레이곰 사진입니다. 셔터소리 나는 곳을 바라보는 두 눈에 졸음이 가득합니다.
ⓒ 김소희

관련사진보기


끊일 줄 모르는 동물 탈출 소동

동물 탈출 소동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3년에도 한 자연휴양림에서 사육하던 새끼반달곰들이 탈출했다가 9개월 만에 생포되었고, 2001년에는 제주도의 한 사육장에서 키우던 반달곰이 탈출해 160명의 인력과 헬기까지 투입된 끝에 30시간 만에 잡혔다. 경찰은 애초에 사살할 계획이었지만 사육주의 간곡한 부탁에 생포했다고 발표했었다.

2004년에는 서울대공원에서 다른 곳으로 이송 중이던 늑대가 탈출, 청계산으로 숨어버렸다. 34시간 동안 탈출 소동으로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늑대는 결국 배고픔을 견디지 못해 인가로 내려왔다가 마취총을 맞고 동물원으로 돌아갔다. 꼬박 7년이란 세월을 철창 속에 갇혀 살았던 그 늑대는 고맙(?)게도 야성을 잃어, 사람을 위협할 만한 용기도 없고 혼자 먹이를 찾을 능력도 없었다.

2005년에도 한 동물원에서 공연 중이던 코끼리 6마리가 집단 탈출해 주택가를 돌아다니며 아수라장을 만들어놓았지만 다행히 인명 피해 없이 무사 귀환했다.

하지만 탈출했다가 무사히 귀환하지 못한 동물들이 더 많다. 1998년에는 지방의 한 동물원 우리를 탈출했던 벵골호랑이, '호순이'가 1시간 만에 사살되었다. 12살이던 호순이는 몇 주 전에 새끼 두 마리를 출산한 뒤 사건 전날 새 우리로 옮겨졌다. 담당 사육사는 호순이가 수컷과의 싸움에서 기세가 밀리면서 얼떨결에 5미터가 넘는 철조망을 뛰어넘게 되었으며, 새끼를 걱정해서인지 도망은커녕 우리 주변을 서성이고 있었다 설명했다. 평일 오전인 탓에 일반 관람객도 없었지만, 호순이는 무장 경찰 20여 명이 쏜 실탄 6발을 맞고 죽었다.

그 당시 동물원의 허술한 시설 관리는 물론, 호랑이가 우리 주변을 배회할 뿐 달아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았음에도 무작정 쏘아 죽인 데 대한 비난 여론이 빗발쳤었다. 또, 호순이의 사체가 한 수의과대학에 기증되었다는 뉴스가 퍼지자마자, '가죽을 구할 수 없느냐', '뼈를 사고 싶다'는 등의 문의 전화가 쇄도했다고 한다. 젖도 떼지 못한 채 고아가 된 호순이의 새끼들은 사육사의 손에서 자라야 했다. 2009년 포천 수목원 내 산림동물원에서 탈출했던 암컷 늑대 '아리'는 인근 숲에서 발견되어 28시간 만에 사살되었다. 너무 빠른데다 겁이 많아 포획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이라크전 당시 바그다드 동물원에서 굶주림을 견디다 못 해 우리를 뚫고 탈출한 사자 네 마리가 미군에 의해 모두 사살되는 사건도 있었다. 전쟁 탓에 돌봐주는 사람 없이 오랫동안 굶주린 사자들이 순찰병을 공격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97년 미국의 한 야생동물보호센터에서는 희귀종인 페르시아 표범이 우리 문을 부수고 탈출해 사람을 죽였다. 7시간 후 센터 부근에서 발견된 표범은 사살되었다(야생동물 보호센터라는 이름 자체가 무색해지는 순간이기도 했다).

새로운 동물원, 생태동물원

간혹 평생 갇혀 사는 동물들이 불쌍하다며 동물원을 없애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동물원이 아니라면 야생동물이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 먹이가 없어 도심 한복판까지 내려왔다가 총살되는 멧돼지 가족의 모습이 '자유로운(?) 삶을 사는 야생 동물'의 현주소다.

현대 사회에서 야생 동물에게 완전한 자유를 주기란 무리다. 어쩔 수 없이 동물원은 존재해야 한다. 다만 단순히 동물을 전시하던 구시대의 동물원과 달리, 교육, 학문 연구, 자연보호, 종 보존의 역할까지 해내는 곳으로 재탄생되어야 한다. 그 대안이 바로 생태동물원이다.

기존의 '인간의 편의'를 위주로 설계된, 즉 동물들을 작은 철창 안에 한 마리씩 가둬 두고 구경하게 하는 형태를 탈피해, 동물들의 서식지 환경상태와 최대한 가깝게 디자인된, 예를 들어 나무, 풀, 연못, 돌, 덩굴, 안개, 소리, 심지어 함께 지낼 수 있는 또 다른 동물들과 어우러진 공간에서 살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생태동물원이다.

 싱가포르 동물원의 침팬지 군락지 모습입니다. 최대한 야생 서식지 환경과 유사하게 조성해 놓았습니다
▲ 생태동물원 싱가포르 동물원의 침팬지 군락지 모습입니다. 최대한 야생 서식지 환경과 유사하게 조성해 놓았습니다
ⓒ 김소희

관련사진보기


이미 해외에서는 최대한 동물들의 삶에 방해를 주지 않고 그들을 관찰할 수 있는 형태의 동물원으로 재탄생하고 있으며, 심지어 '동물원'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야생 동물 보호 구역' 혹은 '자연 보호 공원'과 같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미국 샌디에이고 주에 있는 와일드 애니멀파크와 싱가포르 동물원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동물원들은 동물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한 덕에 세계적인 관광지로 자리 잡아 엄청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동물원에 자주 다니는 덕에, 국내의 동물원도 해마다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피부로 느낀다. 하지만, 관람객들의 동물을 대하는 태도는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소리 지르고, 창문을 두드리고, 마음대로 과자를 주고(심지어 돌, 동전, 봉지 등 못 먹는 것까지) 잠만 잔다며 비아냥댄다(우리가 그 안에 있게 되더라도 잠자는 것 외에 달리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미술관, 음악회에서 작품을 감상할 때 지켜야 할 에티켓이 있듯, 동물원에서도 예의가 필요하다 생각한다. '살아 있는 생명'이야말로 자연이 만들어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가장 위대한 예술작품이지 않은가?

놀랍게도 정말 많은 사람들이 곰의 무사귀환을 바라고 있다. 무사히 포획되어 다시 동물원으로 돌아오길, 그래서 내년 봄, 날이 따스해지면 다시 동물원에서 만날 수 있길. 꼭 만나러 갈게.

덧붙이는 글 | 김소희는 페티앙북스의 대표이자, 동물칼럼니스트입니다. 저서 및 역서로는 <모든 개는 다르다><아주 특별한 동물별 이야기><당신의 몸짓은 개에게 무엇을 말하는가><초능력 동물원> 등이 있습니다.



태그:#생태동물원, #곰 탈출, #청계산 곰, #동물 탈출, #말레이 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