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1일 오전에 국회 의원회관 세미나1실에서 '4대강 녹조, 수돗물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있었다. 민주통합당 4대강 특위와 환경운동연합이 주최하고 (사)대한하천학회, (사)수돗물시민회의, (사)시민환경연구소가 주관하였다.
녹조 확산에 대한 원인과 전망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는 조류 발생의 원인을 수온, 일사량, 인농도, 체류시간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고 했다. 수온이 높고, 일사량이 많고 물속 인농도가 높더라도 유속이 빠르다면 조류의 성장은 쉽지 않다는 주장이다. 이에 수온과 광량은 자연현상이고 총인과 체류시간은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이를 통제하지 못한 점에 대해 지적했다. "정부가 4대강 사업 일환으로 하폐수처리장에 5000억 원을 투여하여 총인처리시설을 설치 및 가동하고 있지만 보로 인한 조류 번성을 억제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낙동강의 경우, 4대강 사업 이후 인농도가 줄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본류 내 주요지점인 구미(0.088mg/L), 고령(0.129mg/L), 남지(0.098mg/L), 물금(0.09mg/L) 등에서 측정된 수치는 하천 내(정체구간) 0.05mg/L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기준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김 교수는 이 때문에 녹조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교수는 남한강에 비해 북한강이 하천 수질면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녹조가 북한강에서 먼저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체류시간', '방류량', '수온', '철 농도'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보았는데, 우선 북한강이 남한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데 댐이 많아 긴 체류시간을 가진다는 점을 언급했다.
북한강 및 남한강 수계의 지난 3년간 3개월 평균 댐 방류량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댐에서 올해 지난 3개월 동안의 방류량이 51%에서 68%까지 급격히 감소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는 체류시간을 더욱 길게 만들었고 긴 체류시간은 같은 일사량에서 수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이 외에도 조류 성장에 '철 농도'도 중요한데, 남한강에는 북한강에 비해 '철 농도'가 낮아서 조류 성장 자체를 제한하는 것으로 김 교수는 판단했다고 한다.
독성조류에 대한 대책 이런 종합적인 의견을 통해 김좌관 교수는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4대강 16개 보 수문을 열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김 교수는 추가로 향후 한강과 낙동강 등에 마이크로시스티스 농도가 다시 번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또한 오존처리 과정에서 수중에 다량의 마이크로시스틴을 용해시킬 우려에 대해 언급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독성조류의 검출방법 개선을 주장했다.
신동천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또한 조류의 번무가 지나간 이후에도 독성물질은 잔존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전성 평가는 동물 종간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는 점, Falconer와 Ressom이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허용기준을 0.1ug/L로 제안해야 한다고 논문(1994, 1993)에서 주장했던 점 등을 들어 주의를 요청했다.
수돗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 그리고 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조류독성에 의한 안전성뿐만 아니라 독성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 과정에서의 발암성을 가진 소독부산물질의 증가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다. 염소소독 과정에서 조류의 체내에 있던 여러 유기물질들이 수중에 흘러나오는데 이 중의 일부는 소독 과정에서 발암성물질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그렇기 때문에 원수 수질의 개선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수돗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항진 4대강범대위 상황실장은 환경단체의 수질분석을 거부하고, 시료 채취를 방해하는 정부 당국의 태도와 정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대한 객관성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구환경연합이 채수한 물을 분석하는 것을 대구보건환경연구원에서 거부했는데 그 이유가 '수질 결과가 환경부의 결과와 다른 적이 많아서 입장이 난감'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환경단체가 채수하려 할 때 보를 관리하는 관계자가 의도적으로 방해하고 심지어 몸싸움까지 벌이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환경부가 녹조 발생원인을 '부족한 강수량과 높은 기온 때문'이라며, 의도적으로 4대강 공사의 원인을 회피하는 것은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