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8년 국일고시원 화재 사건, 2019년 신림동 강간미수 사건이 일어나고 주거 안전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위험의 불씨는 지금 가난한 청년들의 방을 향하고 있다. 청년 1인 가구 절반이 21세기형 단칸방인 원룸에 산다. 평균 계약 기간은 1년 반. 방 한 칸에 잠시 머무르는 청년들에게 안전은 사치다. 취재팀은 청년 주거 안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 화재·범죄 영역의 안전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예비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의 원룸 수요가 몰리는 2월,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76곳의 원룸을 살폈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청년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 들어봤다. 방값이 쌀수록 주거 위험은 커졌지만 청년들은 돈이 없어 안전한 방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사각지대에 있는 '청년 주거 안전'을 조명한다. [기자말]
 취재팀이 전문가 도움을 받아 만든 주거 안전 점검 체크리스트.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어 직접 거주지의 안전도를 점검할 수 있다.
취재팀이 전문가 도움을 받아 만든 주거 안전 점검 체크리스트.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어 직접 거주지의 안전도를 점검할 수 있다. ⓒ 서현정·임민정
 
"적어도 '돈 벌어서 얼른 여길 벗어나야지'라는 생각이 안 드는 집을 구하고 싶어요."

취업준비생 김문경(24)씨는 안전한 집을 원했다. "사람 사는 곳인데 안전하길 바라는 건 당연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은 탓에 질적인 부분은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씨는 청년주거 인식 설문조사에서 지금 사는 집을 구할 때 어떤 요소를 우선 따졌는지 묻자 '방값'이 1순위라고 답했다.

취재팀은 청년들의 주거 안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2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설문조사와 안전 체크리스트 QR코드를 담은 편지 1000통을 서울의 흑석동, 서교동, 대현동, 청파동 일대 원룸 우편함에 직접 배달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총 10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고 39명이 안전 체크리스트 점검에 참여했다.

대다수 청년은 주거 공간을 구할 때 안전과 관련한 정보도 제대로 제공받지 못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집주인이나 공인중개사에게 안전 정보를 받은 적 있는지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87.6%가 그렇지 않았다고 답했다. 화재, 범죄예방 관련 정보를 받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도 각각 86.7%, 79.0%로 높았다. 설문조사 응답을 토대로 심층 인터뷰를 해보니 예방은커녕 사고 이후에도 적절한 조치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2017년 11월 새벽 3시. 박희정(26)씨가 살던 서울시 동교동 빌라 지하에 불이 났다. 사람들이 다급하게 외치는 소리에 박씨가 잠에서 깨 창밖을 내다보니 소방차가 와 있었다. 급하게 잠옷 위에 패딩 외투만 걸쳐 입고 나와 보니 건물 계단은 이미 연기로 가득 차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해야 했다.

박씨에 따르면 천장에 달려있던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스프링클러는 작동하지 않았다. 화재 이후 집주인으로부터 사고와 관련해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 박씨는 그 집에서 1년을 더 살았지만 보강된 화재설비는 없었다.

월세 부담은 결국 안전 '포기'로 이어져

청년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원룸 계약 기간은 1년이 41.9%로 가장 많았고 평균 월세는 약 40만 원이었다. 부모님이 월세를 지원해준다고 답한 사람은 68명(64.7%)이었다. 반면 월세 전부를 본인이 마련한다는 사람은 22명(21%)이었다. 보증금의 경우도 10명 중 6명(63.8%)은 부모님이 전액 마련해줬다고 답했다. 청년들은 높은 월세부담으로 부모님에게 손을 벌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서울 마장동에 사는 직장인 김지수(25)씨는 얼마 전 취업을 하고서야 새집으로 이사했다. 그전까지 살던 집은 공동 현관 도어록이 고장 난 상태라 잡상인, 종교단체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들었고 그 중 김씨의 방문을 두드린 사람도 있어 늘 조마조마했다.

설문조사에서 김씨는 주거안전 위협 요소 중 범죄를 1순위로 꼽았다. 김씨의 방은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35만 원짜리였다. 부모님께 방값을 의존하는 처지라 견뎠다. "엄마 아빠가 돈도 보내주는데 걱정할까 봐 (위험하다는) 말도 못 했어요." 대출을 받아 세 배나 비싼 보증금을 주고 얻은 새집의 공동 현관 도어록은 정상 가동 중이다.

청년들은 안전한 집을 택할 수 없는 이유로 '돈'을 꼽았다. 취업준비생 오동성(27)씨는 "집을 구할 때 가장 먼저 가격선을 정한다"라고 말했다. 기대할 수 있는 안전은 가능한 예산 안에서 결정됐다.

설문조사에서 주거비에 부담을 느끼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65명(61.9%)이 '그렇다'고 답했다. 집을 구할 때 겪는 어려움을 묻자 33명(31.4%)이 경제적 부담을 꼽았다. 취업준비생 조민재(29)씨는 "(돈이 아닌) 다른 건 견딜 수 있다"며 안전장치들을 챙길 '여유'가 없다고 했다.

청년들이 안전을 위해 택한 방법은 스스로 조심하기다. 취재팀이 주거 위험을 없애는 데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을지 묻자 박모(22)씨는 "내가 정신 차릴 수밖에 없다"라고 답했다.

김문경씨는 "안전에도 계층이 있는 것 같다"며 "돈이 없으면 안전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방값이 싸질수록 위험도 커진다는 사실은 청년들이 맞닥뜨린 현실이었다.

[청년 주거 안전 보고서 1] '안전도 빈부격차' 안전도 돈으로 사야 하나요
[청년 주거 안전 보고서 2] 청년들이 안전한 집을 택할 수 없는 이유 '돈'
[청년 주거 안전 보고서 3] 안전은 뒷전인 원룸 시장… '안전 강화=투자'로 인식해야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뉴스통신진흥회가 주관한 제2회 탐사·심층·르포취재물 공모사업에서 '유전무피 무전유피(有錢無被 無錢有被) 방값이 싸질수록 위험도 커지는 청년 주거안전 빈부격차'라는 제목으로 장려상을 받았습니다.


#청년#주거안전#안전#월세부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