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은 언제, 어디에서 보는 것이 좋을까? 단풍이 붉게 물드는 가을 산이 제격일 것이다. 세상이 온통 붉게 물들어있는 산속에 있으면 몸과 마음도 아름다운 붉은색으로 물드는 느낌이 들 것이다. 그렇다면 봄꽃은 언제 보는 것이 좋을까? 따스한 봄날, 개나리나 벚꽃, 목련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곳에서 눈으로, 코로 향기에 취하는 것은 상상만으로도 행복한 시간일 것이다.
그런데, 굳이 아직 추위가 가시지 않은 이른 봄에 눈이 쌓인 험난한 산길을 걸어 꽃을 찾으려 한 사람이 있었다. 중국 당나라 시인 맹호연이었다. 맹호연은 당나귀를 타고 장안에서 파교라는 다리를 건너 눈 덮인 산으로 매화를 찾아 나섰다. 심사정이 그린 <파교심매도>를 보면 맹호연은 한겨울이라고 불러도 될 만큼 눈 덮인 산을 오르려고 하고 있다.
가만히 기다리면 봄이 무르익어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꽃이 매화이다. 하지만, 맹호연이 기다리지 않고 산을 오른 것은 매화가 겨울의 추위 속에 피어나는 꽃이기 때문이다. 따뜻한 봄이 되어 여기저기서 피어나는 매화가 아닌 추위 속에서 자신의 향기를 가득 피어내는 매화를 보기 위한 것이다.
그에게서 시와 삶은 추위 속에 피어난 매화였을 것이다. 편안함과 부귀공명보다 조금 더 나은 이상을 추구하고자 한 그는 눈앞의 어려움을 피하지 않았다. 맹호연이 겨울 산의 매화와 그 매화를 찾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어려움은 피하는 것이 아니라 이겨내는 것이며, 이겨냈을 때 그 향기는 더욱 진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던 것이다.
하인이 뒤에서 따라오는 까닭은?
그림을 보면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까마득하고 높고 험준한 겨울 산이다. 저 산에서 매화를 찾기란 쉬워 보이지 않는다. 아래쪽 맹호연과 그 하인을 바라보자. 맹호연은 당나귀를 타고 추위를 피하기 위해 온몸을 천으로 감고 있다. 이에 비해 하인은 무거운 짐을 지고 그 뒤를 따라 걷고 있다.
하인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목적지가 분명하다면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수도 있으련만 하인은 험준한 산을 바라보며 한숨이 더욱 나지 않았을까? '저 산을 얼마나 헤매야 매화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오늘 매화를 찾을 수는 있을 것인가?'
하지만, 이 그림을 읽는 관점 중 하나는 하인에게 무거운 짐을 들리고 편안하게 나귀를 타고 가는 선비가 아니다. 보통 이렇게 주인이 나귀를 타고 외출할 경우 하인은 말의 고삐를 잡고 앞에서 걷는 데 비해 이 그림은 주인이 앞장서서 걷고 있다. 지금은 길이 잘 닦인 다리를 건너고 있지만 곧 마주치게 될 눈이 쌓인 험난한 산은 길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고, 아예 길이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더더욱 하인이 앞서서 길을 자세히 살피며 걸어야 하지만 이 그림 속의 맹호연은 그럴 생각이 없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그의 마음이 보인다. 당나귀 또한 그의 주인을 마음을 알고 있는 것처럼 발을 부지런하게 움직이고 있다. 잠시의 휴식도 허락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그림 속의 험난한 산과 대비되어 도드라지게 드러난다.
이 그림을 그린 심사정은 학식을 갖춘 선비와 관리를 많이 배출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할아버지 심익창이 과거 부정 사건에 관련되어 유배를 당했으며, 유배가 풀린 후 역모 사건에 함께 한 일로 집안이 몰락하였다. 심사정 또한 과거를 통해 관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완전히 막혀버렸다. 어릴 때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던 그는 평생 그림을 그렸는데, 하루도 쉬지 않고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그의 후손인 심익운은 심사정의 묘지명에 '어려서부터 늙기까지 50년간 우환이 있든 즐겁든 하루도 붓을 쥐지 않은 날이 없었다. 몸이 불편하여 보기에 딱한 때라도 궁핍하고 천대받는 쓰라림이나 모욕을 받는 부끄러움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라고 적었다.
'파교심매도'의 맹호연은 심사정 자신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매일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 그 그림은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았으며, 지금도 살아 숨 쉬며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봄에 씨앗을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수확할 수 없다
험난한 산을 한참 헤맨 후에야 맹호연은 매화를 찾을 수 있었을 것이다. 눈 속의 매화를 발견한 그는 매화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글을 쓰고, 그 아름다움을 찾은 기쁨을 즐기기 위해 차나 술을 마셨다. 김명국의 <탐매도>는 매화를 즐기는 맹호연이 스스로 매화가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순간을 즐기기 위해 맹호연은 눈이 덮인 산을 올랐고, 심사정은 그런 맹호연을 그렸다.
은일(隱逸)이라는 말이 있다. 은일은 벼슬을 하지 않고 자연 속에서 공부를 하던 학자를 말한다. 하지만, 뛰어난 학문은 주머니 속의 송곳과 같아서 자연스럽게 그 향기가 밖으로 널리 퍼진다. 그래서 과거를 보지 않았지만 왕이 특별히 벼슬을 내린 사람 또한 은일이라고 부른다.
은일에서 '은(隱)'은 숨다는 뜻이다. '일(逸)'은 辶(달릴 착) 자와 兎(토끼 토) 자가 합쳐진 글자로 '토끼가 달린다' 즉 겁이 많은 토끼가 달아나다, 숨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토끼가 달린다'는 것이 숨다는 뜻만 가지고 있는 것일까? 토끼는 달리기를 잘하는 동물이다. '일(逸)'은 빠르다, 뛰어나다, 편안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은일은 현실을 피해 달아나고 숨어있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뜻을 펼칠 시기를 기다리며 묵묵히 학문을 닦고 있는 뛰어난 인물인 것이다.
봄에 씨앗을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수확을 할 수가 없다. "아직 봄이 오지 않았다고 말하며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자." 오는 봄을 앞당겨 가을의 풍성함을 준비하는 맹호연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