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초등 아이들은 어른들과 생각이 다를 때가 많다. 친구와 부딪히는 경우, 아이가 기분이 좋을 때는 괜찮은 일이 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친구가 일부러 그랬다고 생각한다. 그럼 학교에서 이런 상황을 누가 해결할까.

바로 선생님이다. 선생님들은 해결책으로 '3번의 기회'를 만들었다. 친구가 한 번, 두 번 그랬을 때는 참거나 용서하고 세 번째 같은 행동을 하면 그때는 선생님에게 이야기하라는 규칙이다. 초등 아이들은 이 규칙을 잘 지킨다.

얼굴을 밟은 아이
 
 내 아이가 맞고 오는 경험은 그리 유쾌하지 않았다. 용기가 행사하는 폭력은 점점 강도가 세졌다.
내 아이가 맞고 오는 경험은 그리 유쾌하지 않았다. 용기가 행사하는 폭력은 점점 강도가 세졌다. ⓒ elements.envato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인 마이산(작은 아이)가 초등 3학년 때의 일이다. 같은 반에 용기(가명)라는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고의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3번의 기회'를 이용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학년 초 용기는 움직임이 큰 아이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움직임에 약간의 폭력성이 더해졌다.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세 번째 폭력을 당했을 때 말하라고 했는데 용기는 대부분의 경우 두 번에서 멈추었다.

마이산도 그런 일을 여러 번 겪었다. 내 아이가 맞고 오는 경험은 그리 유쾌하지 않았다. 용기가 행사하는 폭력은 점점 강도가 세졌다. 세 번을 참을 새도 없이 아이들은 맞을 때마다 선생님에게 이야기했지만 선생님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었다.

사태는 점점 심각해지고 수업시간에 말썽을 일으킨 용기를 선생님은 팔로 감싼 채로 벽에 세워 두었지만 오히려 용기는 선생님 팔을 때리거나 물거나 꼬집었다. 맞는 아이의 부모지만 나도 뾰족한 수가 없었다.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을 만한 폭행은 없었지만 마이산은 수시로 맞고 왔고 친구를 때리면 안 된다는 가르침 때문에 폭력에 폭력으로 대항하지는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학교에 있던 마이산의 전화를 받았다. 용기가 마이산을 밀쳐 넘어뜨리고 얼굴을 발로 밟았다고 했다. 피가 거꾸로 솟는다는 느낌을 그때 처음으로 느꼈다. 점심시간이었고 나는 당장 학교로 갔다. 내가 학교로 간다는 소식이 반 아이들에게 전해졌는지 현관, 급식실, 복도를 거쳐 교실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마이산의 반 친구들은 나에게 용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었다.

나는 용기를 복도에서 만났고 큰 소리로 나무랐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폭력을 쓰는 강한 아이였지만 용기는 고작 10세의 어린이였다. 앞뒤가 맞지 않는 변명을 늘어놓는 용기를 나는 크게 꾸짖었고 그 뒤로 용기는 마이산은 때리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아이에게 행하는 폭력은 여전했다.

용기는 수업에 잘 참여하지 못했다. 아니 다른 아이들의 수업을 방해했다는 표현이 맞았다. 학교에서는 해결책의 하나로 수업 대신에 교장 선생님과 산책을 하거나 학교 정원의 풀을 뽑기도 했다. 10세의 남자 아이가 이러한 활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건 당연했다. 용기는 스스로 수업에 참여 한다고 했다.

다시 수업에 들어온 날, 일이 일어났다. 용기는 앞자리에 앉은 아이가 의자로 자신의 책상을 밀었다는 이유로 그 아이의 어깨를 연필로 찔렀다고 했다. 상처가 얼마나 컸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앞자리 아이는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그 일이 일어난 후 마이산이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엄마, 용기가 내 눈에 보이면 괜찮은데 보이지 않을 때는 뒤에서 누가 찌를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무서워."

강제전학 간 아이를 다시 만났다

나 역시 그 일 이후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용기가 그 순간에 들고 있던 물건이 연필이 아니라면, 앞자리 아이가 마이산이었다면.' 이런 생각이 떨치려고 해도 계속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나는 담임선생님과 의논했고 선생님은 교육지원청을 통해 상담선생님을 연결해주었다.

그 무렵 용기는 지역아동센터에서 큰 사고를 일으켰다고 했다. 그 일로 학교폭력위원회가 열리는데 마이산을 비롯한 다른 친구들이 당한 폭력도 같이 추가할 것인지를 물었다. 그 당시 나는 어떻게든 마이산과 용기를 분리하고 싶었다. 결국 용기는 강제전학을 가야만 했다.

당시에 나는 그 결과에 안심했다. 마이산의 학교생활도 수업시간도 평화로워졌다. 계절이 바뀌고 어느 날 밤에 마이산이 자다가 악몽을 꾸었는지 나를 불렀고 나는 마이산이 잠들 때까지 옆에 누웠었다.

마이산을 꼭 안아주고 있던 그때 불현듯 용기가 떠올랐다. 나중에 선생님을 통해 들었는데 용기는 자신이 강제로 전학을 가야만 한다는 걸 알고 있었다고 했다. 고작 10살짜리 아이가 가정 다음으로 큰 사회인 친구와 학교에게서 거부당한 느낌을 어떻게 받아들였을지 나는 착잡했다.

용기가 전학 간 그해 말에 마이산은 용기를 길에서 만난 적이 있었다. 그때 마이산은 이렇게 말했다.

"엄마, 용기를 봤을 때 '어떡하지? 말을 걸어야 하나? 모르는 체 해야 하나?' 하고 순간 고민했었어. 그런데 용기가 나한테 오더니 착한 목소리로 '미안해'라고 했어."

이 이야기를 듣고 나는 다행이다 싶었다. 약속된 만남도 아니고 강제전학 후 수개월 후였는데 우연한 만남에 바로 사과를 하다니. 용기는 정말 용기 있다.

스스로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면
 
 <더 글로리> 스틸사진.
<더 글로리> 스틸사진. ⓒ 넷플릭스

나는 <더 글로리>라는 드라마를 보면서 이 일이 떠올랐다.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겠지만 드라마 속의 연진과 그녀의 친구들이 그 이전의 어린이였을 때 처음 일으킨 폭력을 나쁜 것이라고 알려준 어른이 있었다면 그들의 미래는 달라졌을 것이다.

엄청난 화재의 시작도 작은 불씨이듯 폭력도 시작은 작았을 테니. 마이산은 <더 글로리>를 보지는 않았지만 내용은 알고 있었다. 같이 이야기를 나누다가 용기 이야기도 했다.

"마이산, 용기는 지금 어떻게 지낼까? 그 뒤로 용기 만난 적 있어?"
"아니, 없어. 그런데 잘 지낼 거 같아."
"왜?"
"마지막으로 만났을 때 용기가 이렇게 말했어. '내가 정신이 오락가락해서 그랬어. 미안해'라고. 그러니까 그때부터 잘 지낼 거야."


나는 아이들이 스스로를 소중하게 느끼면 좋겠다. 누군가에게 가하는 폭력이 소중한 자신의 미래에 어떤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지도 생각해보고 내가 소중한 만큼 타인도 소중하다는 걸 알기를 바란다. 열 살짜리 소년 용기가 느낀 오락가락한 정신이 그의 현재와 미래에 어떻게 정착할지 궁금하다. 부디 좋은 방향이었으면 좋겠다. 

덧붙이는 글 | 기자의 브런치(brunch.co.kr/@sesilia11)


#학교폭력#강제전학#학폭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쌍둥이 아들을 키우며 꿈을 이루고 싶은 엄마입니다.아이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이 다같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