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거미 무서워. 거미 무서워."(딸은 개미를 거미라 부른다.)

곤충생태원 야외 정원을 거닐던 6살 딸이 갑자기 발바닥을 '동동'거리며 울음 섞인 목소리를 낸다. 조금 전 흙바닥을 개미가 지나갔다. 여러 마리가 눈에 띄긴 했지만 '꽤 많네' 할 정도는 아니었다. 놀이터에서 놀다 보면 개미야 종종 만난다. 유치원 놀이터 앞엔 정원이 있고, 당연히 바닥은 흙이다. 개미를 한두 번 본 게 아닐 텐데 왜 이러나 싶다.

개미가 우서운 딸

딸보다 한 살 많은 아들을 바라봤다. '너는 이유를 알겠니' 하는 눈빛을 보냈다. 눈빛 메시지를 정확히 읽은 아들이 양 어깨를 으쓱한다. 자기 역시 이유를 모르겠단 뜻이다. 딸 손을 잡고 개미가 없는 쪽으로 이끌었다. 딸은 여전히 '무서워 무서워' 하며 발을 동동거린다. '휴' 한숨이 나온다. 살짝 짜증도 난다. 뜸을 들이며 감정을 가라앉힌다. 이럴 때 짜증을 내면 큰 일이다.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다.

딸 손을 잡고 물가로 이끌었다. 시선을 돌려야겠단 판단에서다. "우와, 여기 호수인가. 강인가." "물에서 올챙이 찾아볼까. 개구리도 있을까." 1%도 효과가 없다. 딸은 여전하다. 조금씩 수위가 점점 더 높아지는 느낌이다. 10분이 지났다. 감정이 다시 올라온다. 이럴 때 감정을 누그러뜨리는 건 참 어려운 일이다. 그 어려운 일을 지금 해내는 중이다. 한 발짝만 미끄러지면 '버럭' 한 바구니가 쏟아진다.

빨리 콘크리트가 깔린 포장길로 나서야 한다. 이 밟기 좋고, 보기 좋은 흙이 딸에겐 공포 그 자체다. 가장 빠른 길을 따라 다리까지 이르렀다. 다리는 쇠다리다. 딸은 여전히 우는 중이다. 눈물 '뚝뚝'이다. 다리만 건너면 된다. 30초만 지나면 드디어 우리 일행은 흙 한 줌 없는 콘크리트 땅에 발을 디딘다.

드디어 도착. '엥?' 딸은 여전히 발 '동동', '으엥으엥'이다. 주변을 정찰대라도 된 것처럼 수색했다. 살짝 뭔가 움직이는 듯하다. 가까이 가서 보니 개미다. 따지고 보면 개미가 없는 게 이상하다. 아무리 주차장이라지만 바로 옆이 나무다. 개미가 있는 게 당연하다. 그러면 딸은 설마 저 보일 듯 말 듯한 개미 한 마리 때문에 우는 걸까? 그렇게 시력이 좋다는 건가? 아니면 아직도 여진이 남아서?

가까이서 웅크리고 봐야 겨우 보이는 개미 몇 마리 있는 곳에서 이제는 '발악울음'을 쏟는 딸을 보면서 이를 깨물었다. 참아야 한다. 참아야 한다. '끙' 소리가 절로 나왔다. 눈치 빠른 아들은 이럴 때 조용하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걸 알기 때문이다. 주차장에서 오르막을 오르자 가게가 나왔다. 과자, 물, 라면을 파는 곳이다.

어라, 딸 울음소리가 낮아졌고, '동동'거리는 발소리가 약해졌다. 딸을 보면서 입을 열었다.

"저기서 간식 하나씩 먹고 갈까?"

딸이 고개를 '끄덕'거린다.

"에이, 안되겠다. 저기도 개미 있을 텐데."

딸이 황급히 반응한다.

"괜찮아. 들어갈 수 있어."
"아니야. 개미 있어서 안돼. 그냥 차로 가자."

"괜찮다니까. 이제 개미 안 무서워."
"진짜? 진짜 개미 안 무서워?"

딸은 아빠 마음이 바뀌기라도 할까 봐 할 수 있는 힘껏 고개를 끄덕거렸다. 아빠와 눈이 마주친 아들이 양 어깨를 올렸다 내린다. '뭐야, 이 바뀐 태도는...'이란 마음을 담은 어깨짓이다.

재차 확인했고, 딸은 발 '동동'을 멈췄고, 처절한 울음을 멈췄다. 조금 전까지 개미를 보고선 자지러질 듯했던 딸이었다. 옛말에 호랑이보다 무서운 게 곶감이라더니 딱 그 짝이었다. 허무했고 한편으론 어이없었다. 딸이 보인 행동을 거짓으로 보기엔 너무 열심이었다. 딸은 진심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감쪽같이 사라져도 되는 건가.
 
무서운 게 많은 아이들, 어른 시각으로 보면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아이들의 두려움은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길게 이어지기도 하지만,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금방 사라진다.
 무서운 게 많은 아이들, 어른 시각으로 보면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아이들의 두려움은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길게 이어지기도 하지만,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금방 사라진다.
ⓒ 김대홍

관련사진보기

 
어둠이 두려운 아들

생각해보니 딸이 개미에 보인 공포심은 아들한테 기인한 것 같기도 하다. 아들은 작은 개미는 무서워하지 않지만 큰 모형개미나 큰 모형거미는 무서워한다.

한 달 전쯤 권정생 동화나라를 방문했을 때다. 폐교를 단장한 동화나라 안은 문학관과 아이들 놀이터였다. 아이들 손을 이끌고 안으로 들어갔을 때 갑자기 아들이 '악' 거리며 뒷걸음질쳤다. 아들 시선을 쫓아가 보니 아이 크기만한 개미가 벽에 가득했다. 모형 개미떼였다.

아들은 박물관이나 전시관, 놀이터에 갈 때마다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아들은 그 증상이 옅어지는 중이었는데, 왠 시소 이론인지 딸이 그 증상을 보였다. '오마이갓'이었다.

아들은 어릴 때 어둠을 무척 두려워했다. 실내 전시관에 들어갔다 완강히 저항하는 바람에 그냥 돌아선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저녁에 잘 때도 꼭 불을 켜놓아야 했다. 불을 켜놓고 방문을 활짝 열어야 아들은 잠이 들었다.

아들은 야경증도 겪었다. 처음 발견한 건 4살 때다. 잠자리에 들고서 1시간 정도가 지나자 마구 울기 시작했다. 처음엔 깼나 싶었는데 꿈 속이었다. 괴성을 지르기도 하고 '무서워, 무서워', '저리 가, 저리 가'를 외치기도 했다. 아들은 눈물을 '펑펑' 흘렸다. 그 모습이 어찌나 안쓰럽던지.

아들을 때로는 안고, 때로는 '둥개둥개'를 하며 달랬다. 말을 건네면 때로는 적절하게 대답했다. 아들은 꿈속에서 악몽을 꿨고, 항상 괴물이 나타나는 상황이었다. 5살이 되자 뜸해지더니 빈도수가 확 줄어들었다.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낮에 무언가 자극이 되면 다시 자다가 울었다. 7살인 지금도 가끔씩 야경증이 나타난다.

문제는 딸은 정반대라는 점이었다. 딸은 "밝아서 잠을 못자겠다"면서 엄마 아빠에게 민원을 넣었다.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난제였다. 두 아이는 한 방에서 자야 했고, 한 아이는 어둠이 무서웠고, 한 아이는 밝음이 싫었다. 결국 딸에게 안대를 씌웠다. 딸도 진화를 했다. 안대를 쓰고서도 밝다고 짜증을 냈다. 아이가 짜증을 내자 나 또한 몇 배로 짜증이 올라왔다. '참아야 한다', '참아야 한다'를 몇 번이나 되뇌었다.

딸을 2층침대 1층에 넣고, 이불로 긴 커튼을 만들었다. 그렇게 평화가 찾아왔다.

아빠도 어릴 적엔 

돌이켜보면 나도 어릴 때 무서워하는 게 많았다. 어둠이 무서웠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 부엌에서 씻지를 못했다. 부엌은 무척 어두웠고, 세수를 하려면 눈을 감아야 하는데 그게 참 두려웠다. 눈을 뜨고 얼굴에 비누칠을 할 순 없는 노릇이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됐을 때 교통사고 현장을 보고선 불면증을 겪었다. 불 꺼진 저녁이 두려웠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불을 켜고 잠자리에 들었다. 그런 과거가 있기에 아이들이 어둠을 두려워하는 게 이해가 된다.

아들과 딸이 요즘 자주 하는 대화 중 '죽음'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온다. 누가 죽었다 하고, '너 죽었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엄마 아빠가 죽었다'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언젠가 한 번은 아들이 "나는 이제 지구를 영영 떠납니다. 이 세상을 떠납니다"라고 말해서 기겁하며 입을 막았다. 아들 딸과 종종 만나는 또래 친구 한 명도 "나는 죽는다 헤헤헤"라고 몇 번이나 말하는 걸 들었다.

죽음이라는 건 살면서 평생 겪는 가장 큰 두려움이다. 어쩌면 아이들은 그 두려움을 밖으로 꺼내면서 이겨내는 게 아닐까 싶다.

아이들은 두려운 게 많다. 나이가 들더라도 두려움이 사라지진 않을 것이다. 또다른 두려움들이 나타날 게 분명하다. 평생 두려움에 맞서고 견디는 힘은 지금 이 시기에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두려움에 잘 맞서고 있는 걸까. 이런 생각으로 아들딸을 바라보니 눈이 마주친 아이들이 '낄낄'거리며 다가온다. '헉' 저 아이들이 무섭다.

태그:#두려움, #무서움, #공포, #양육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공연소식, 문화계 동향, 서평, 영화 이야기 등 문화 위주 글 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