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024년 1월 25일부터 스페인을 여행하여 쓴 글입니다. 지중해를 중심으로 지중해 지역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여행기를 통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기자말]
스페인 세고비아 하면 먼저 기타가 떠오른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기타 제품이 세고비아 기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페인의 남서부 중간쯤에 자리한 도시 세고비아는 기타하고는 상관이 없는 도시다. 스페인의 기타가 유명하여 지금도 고가의 기타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기타의 본고장 같은 그런 곳은 아니다.

세고비아를 상징하는 것은 로마 수도교다. 세고비아 성당이나 알카사르 성과 같은 유명한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로마 수도교는 세고비아를 상징하고 있다. 문화유산의 가치 때문인지 세고비아를 상징하는 휘장에 이 수도교가 들어 있다.

2천년을 버틴 로마수도교

약 2천년 전에 건설된 로마 수도교가 아직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거의 원형대로 남아있는 것을 보면 놀랍다는 생각이 든다. 이 수도교는 실제로 지난 1973년까지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 견고함과 실용성이 아직까지도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길이만 해서 1km에 가까운 813m이고, 최고 높이는 30m에까지 이르는 건축물이 아직까지도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것이 경이롭다.

이곳에 이토록 웅장한 로마 수도교가 왜 자리잡고 있을까? 지중해의 가장 변방 지역인 이베리아 반도의 스페인에 건설된 수도교는 당시 로마제국의 위용이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로마제국의 가장 강성한 시기에 지어진 만큼 그 건축술의 힘이 아직까지도 2천년을 버티게 하고 있다.
 
마치 퍼즐을 쌓아 올린 듯 건축공학적인 기술을 통해 정교한 균형미를 잘 갖추고 있다.
▲ 로마시대 수도교 마치 퍼즐을 쌓아 올린 듯 건축공학적인 기술을 통해 정교한 균형미를 잘 갖추고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지중해의 연안 국가를 모두 제패한 로마제국, 오늘날 서구 유럽문화의 뿌리가 되고 유럽과 이슬람 문화권을 잇는 유라시아의 무대가 되었던 지중해 지역을 지금까지 온전히 다 지배한 제국은 로마밖에 없었다. 한 마디로 지중해를 완전히 통일한 것이 로마제국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지중해를 둘러싼 연안지역을 로마가 지배함에 따라 문화와 건축, 사회체제 등 주변 국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흔적은 건축물을 통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다.

이들 유적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은 그들의 뛰어난 석조건축 기술 때문이기도 하다. 전란 등으로 인해 여러 유적들이 파괴되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도처에 생생하게 남아있는 건축물은 당시 로마제국의 강성했던 힘을 엿 볼 수 있다.
 
지중해의 변방지역 스페인

 
2천년을 버텨온 로마시대의 수도교가 경이롭다
▲ 세고비아 로마수도교 2천년을 버텨온 로마시대의 수도교가 경이롭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지중해는 문명의 생성이 동쪽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로인해 그 서쪽인 이베리아 반도의 스페인 지역은 변방 지역에 해당한다. 중세까지도 지중해의 서쪽 끝을 넘어서면 절벽과도 같은 곳으로 떨어진다는 개념이었으니 더 이상 나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로마시대 수도교가 아직도 남아있는 것은 로마제국이 지중해 지역을 평정한 그 위력의 산물이기도 하다.

스페인은 3세기 무렵부터 로마의 지배를 받는다. 두 차례의 포에니아 전쟁을 통해 완전히 패권을 장악한 로마는 이후 스페인 지역을 지배하에 두게 되는데 스페인은 5백년간 로마제국의 영향권 아래 있어야 했다. 이 시간이면 로마의 문화가 꽤 깊이 여기저기 남아있을 시간이다.

지중해 연안 국가에는 지금도 당시 로마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원형경기장이나 수도교, 다리 등 로마의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거의 2천여 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유적들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석조건축의 위력을 실감 할 수 있다.

스페인에는 여러 지역에 로마시대의 유적이 남아 있는데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이 세고비아 수도교다. 잘 다듬어진 거대한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수도교 아래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것을 보면 로마시대로 되돌아가는 듯한 착각을 갖게 한다.

석조건축의 정수
 
수도교의 중앙부분은 마치 문의 역할처럼 한단을 더 쌓아올리고 인물 조각상을 넣었다.
▲ 수도교 중앙부분 수도교의 중앙부분은 마치 문의 역할처럼 한단을 더 쌓아올리고 인물 조각상을 넣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세고비아 수도교는 규격에 맞게 잘 다듬은 돌들을 2층으로 쌓고 아치형으로 잘 배열한 구조인 것을 볼 수 있는데 마치 퍼즐을 쌓아 올린 듯한 착각이 든다. 그래서 중간의 돌을 빼내면 모두 무너질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지진이나 전쟁시 폭탄 하나면 무너질 법 하지만 아직도 이렇게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게 신기할 뿐이다.

로마 수도교는 높은 데서 수도교의 경사로를 따라 도시 지역까지 수로를 연결하여 공급하는 다리였다. 이 물을 이용해 도심의 분수대나 공중목욕탕을 운영하고 각 가정에까지 물을 공급하였다고 하니 지금 못지않게 도시계획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당시에 가뭄이 들어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귀족 계급의 집부터 물 공급을 끊어 제한 급수를 했다고 한다.

이 수도교는 대략 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약 17km 떨어진 산속의 물을 끌어와 공급했다. 지난 1973년까지도 사용되었다고 하니 2천년 이상 사용한 것이어서 그 견고함과 실용성에 놀라울 따름이다.
 
로마시대 수도교 앞에는 로마제국 건군신화인 로물루스 동상이 세워져 있다.
▲ 로물루스 동상 로마시대 수도교 앞에는 로마제국 건군신화인 로물루스 동상이 세워져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이 수도교는 건축미를 보더라도 단연 으뜸이다. 전체적으로 167개의 아치형태로 만들어져 있는데 그 날렵한 균형미가 뛰어나다. 가운데 중앙 부위에는 한 단을 더 약간 쌓아 올려 마치 정문 같은 느낌을 갖게 한다. 그 가운데에는 인물 조각상을 넣어 단순히 기능적인 수도교가 아닌 상징성까지도 갖추고 있다. 가운데 조각상은 성 세바스티아누스상으로그는 초기 기독교의 순교자다.

수도교의 맨위 부분은 물이 흐르는 곳으로 돌을 이어 만든 수로가 물이 세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보면 방수처리 기술 또한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로마제국 시대의 영광을 기념한 것인지 이 수도교 바로 앞에는 로마의 건국신화라고 할 수 있는 늑대 젖을 먹는 로물루스 동상이 세워져 있다.
 
로마수도교가 있는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으로 백성공주의 모델이 된 알카사르 성이 있다.
▲ 세고비아 알카사르 성 로마수도교가 있는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으로 백성공주의 모델이 된 알카사르 성이 있다.
ⓒ 정윤섭

관련사진보기

 
세고비아 수도교가 있는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세고비아 성당을 비롯 알카사르 성이 있는 역사유적지여서 함께 둘러볼 수 있는 곳이다. 알카사르 성은 로마시대부터 시작된 성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윌트 디즈니의 <백설공주>에 나오는 성의 모델이 되어 백설공의 성이라고도 불리운다. 성에서 내려다 보이는 주변의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태그:#세고비아, #로마수도교, #로물루스동상, #알카사르성, #세계문화유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문화를 중심으로 지역의 다양한 소재들을 통해 인문학적 글쓰기를 하고 있다. 특히 해양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16세기 해남윤씨가의 서남해안 간척과 도서개발>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으며 연구활동과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 <녹우당> 열화당. 2015년 등이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