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종훈 교육감, 25일 창원컨벤션센터 토론회.
 박종훈 교육감, 25일 창원컨벤션센터 토론회.
ⓒ 경남도교육청

관련사진보기

 
"행복학교는 10년 전 공약 1호였고 배움중심수업과 민주적인 학교 문화가 총체적으로 실현되는 학교이다. 학부모, 교사, 학생 등 다양한 교육 주체의 의견을 반영하여, 행복학교의 철학과 가치를 경남 전역에 확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이 '행복학교 10년'을 되돌아보며 한 말이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3선 연임해 올해로 10년째를 맞은 박 교육감은 25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행복학교 성장지원단, 교육지원청 장학사 등 130명이 참석한 토론회에서 박 교육감은 행복학교 10년간의 성과와 지역 중심의 행복학교 일반화 방안을 논의했다.

행사는 1부 '행복학교 유퀴즈', 2부 '토론회'로 진행되었다. '행복학교 유퀴즈'에서 박종훈 교육감이 참석해 행복학교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눈 것이다.

깜짝 코너에서는 "25년 전 체벌이 당연하던 시절이었는데 선생님은 대화로 학생을 대하던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사회 수업도 참 재미있었습니다"라는 박 교육감의 제자인 박아무개(43)씨의 음성이 공개되기도 했다.

토론회에서는 행복학교의 여러 성과 중에 미래학교로 꼭 가져가야 할 것과 이를 위한 성장지원단의 역할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가 나왔다.

정연주 교사(진양고)는 "교사가 학교 안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교육공동체가 소통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는 협력적 문화가 성과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박희란 교사(인평초)는 "학생-교사, 학생-학생 간의 존중하는 문화와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문화가 성과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태그:#박종훈, #경남도교육청, #행복학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