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너도나도 한강의 노벨문학상을 이야기한다. 숟가락을 얹는 것 같아 슬며시 눈치 보인다. 그렇지만 당분간은 한강과 노벨문학상을 언급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한국인 최초 수상이라는 상투적 평가를 떠나 각별한 의미 때문이다. 누구나 실감하겠지만 한강 신드롬은 열흘 넘게 지속되고 있다.

엿새만에 한강 작가가 쓴 책은 100만부 넘게 팔렸다. 대형서점 판매 1위에서 10위는 죄다 한강 작가다. 불황에 허덕이던 온라인 서점에도 모처럼 온기가 돌고 있다. 서버가 다운되고 예스24는 주식시장에서 한때 상한가를 기록했다. 도서 시장은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시장 전반에서 선순환을 기대하는 눈치다.

지난주 수요일 종로 교보문고에 들렀다 기분좋은 광경을 접했다. 이른 아침인데도 많은 이들이 한강 작가 책을 구입하느라 북적였다. 이들은 매대 주변에 모여 어떤 책이 대표작인지를 서로에게 물으며 2~4권씩 챙겼다. 반가운 건 대부분 6070세대라는 것이다. 이들 세대에게 한강은 낯설다. 그런데도 그들은 <소년이 온다>와 <채식주의자>, <작별하지 않는다>를 사서 서점을 나섰다. 자신이 읽으려는 것인지 아니면 선물하려는 것인지를 떠나 반가웠다.

지하철에서 책 읽는 모습을 본지 오래다. 모든 세대가 스마트폰에 중독됐다. 문고판 독서왕국으로 대표됐던 일본 또한 마찬가지다. 십 수 년 전 일본에 갈 때마다 책 읽는 일본인은 인상적이었다. 지하철이나 공원 벤치에서 책 읽는 광경은 부러웠다. 그러나 이제는 일본인도 좀처럼 책을 읽지 않는듯 하다. 최근 도쿄에 열흘 넘게 머물렀지만 지하철에서 책 읽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 하나같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한국,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 어느 나라라 흔한 풍경이다. 한강이 불러온 감동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지 사뭇 궁금하다.

노벨문학상은 노벨상 6개 부문 중 하나지만 위상은 남다르다. 노벨문학상은 한 나라의 지적 산물이자 인문학 역량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 康成 1899~1972)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건 1968년이다. 당시 일본은 경제적으로 급부상하던 시기였다. 서구사회는 일본을 돈만 아는 '이코노믹 동물(economic animal)'이라며 경멸했다. 허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그들은 <설국>을 읽으며 일본을 다른 눈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노벨문학상이 일본의 격을 높여준 것이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또한 대한민국의 국격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주지하다시피 노벨상은 국력과 밀접하다. 노벨은 "수상자 국적을 고려하지 말라"고 유언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공식 기록은 아니지만 80% 이상 미국과 유럽에 집중돼 있다. 노벨문학상만 해도 아시아 수상 작가는 6명뿐이다. 일본 2명, 중국 2명, 한국 1명, 인도 1명이다. 수상 국가를 보면 알겠지만 국력과 무관치 않다. 일본은 1968년, 중국은 가오싱젠(高行健)이 2000년 처음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한국은 2024년이다. 일본, 중국, 한국 순으로 경제적인 부상 시기와 맞물려 있다. 인도 타고르의 1931년 아시아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은 예외다. 인도는 오랫동안 영국 식민 지배를 받았기에 영어라는 언어 덕을 봤을 것이란 추정이다. 어쨌든 한강의 수상을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한국 문학과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도 달라질 것이다.

아쉬운 건 정치다. 이럴 때 정치가 조금만 잘했더라면 어땠을까.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한강과 대한민국 검색어는 급증했다. 세계인들이 한국과 한강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한 때문이다. 이런 시기에 우리사회 모든 분야가 역량을 집중하면 보다 나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허나 극단적인 정치 갈등 때문에 좋은 기회를 흘려보내고 있다. 세계인들에게 한국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지 미뤄 짐작된다.

한강의 노벨문학상은 온 국민에게 찾아온 깜짝 선물이다. 평소 문학에 관심없던 이들조차 반색하며 대화 소재로 삼고 있다. 나아가 노벨문학상 수상은 K 콘텐츠에 방점을 찍었다. 한국의 문화 콘텐츠는 그동안 K팝을 필두로 영화와 드라마, 음식까지 전방위로 확산하며 엄청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여기에 노벨문학상까지 수상했으니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도 물꼬를 텄다. 한강은 엊그제 포니정 혁신상 시상식장에서 "그토록 많은 분들이 자기 일처럼 기뻐해주셨던 지난 일주일은 특별한 감동으로 기억될 것 같다"고 했다. 국민들에게도 지난 열흘은 특별한 감동이었다. '특별한 감동'이 한강에서 그치지 않아야 한다. 어떡해야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간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경인일보에도 실립니다.


#한강#노벨문학상#소년이#온다#노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 인문, 여행, 한일 근대사, 중남미, 중동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중남미를 여러차례 다녀왔고 관련 서적도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 중심의 편향된 중동 문제에는 하고 싶은 말이 많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