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요즘 우리집 안방에도 마당에도 국화 꽃 향기가 진동을 한다. 생화가 아니다. 그렇다고 조화는 더욱 아니다. 바로 국화 말린 것 때문이다.

국화를 막 쪄낸 것이다.  소금을 넣고 쪄내면 색깔도 선명하고 상하는 것도 방지한다"고 아내가 일러 주었다.
▲ 국화 찐 것 국화를 막 쪄낸 것이다. 소금을 넣고 쪄내면 색깔도 선명하고 상하는 것도 방지한다"고 아내가 일러 주었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지금이 국화꽃 전성시대라는 것은 조금만 마음을 열어 들에 나가보면 확인할 수 있는 일이다. 들녘에 나가서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들국화 가족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게다.

노란 물결을 보면 ‘내 누님 같은 꽃’이라던 시구도 생각이 나고,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라는 시구도 절로 생각 난다. 가을의 가장 마지막에 핀다는 국화꽃, 아니 들녘에선 한 해의 가장 마지막에 핀다는 꽃이기에 소쩍새가 봄부터 울어야 필 수 있는 꽃이라 노래했을 거라 생각하니 더 정겹다. 

이렇게 나 나름으로 좋은 상상을 하며 들녘을 걷고 있는 반면 함께 산책 나온 아내는 생각이 다른 데 가있다. 그렇다. 바로 들국화를 뜯어서 어떻게 하면 국화차를 만들어 낼까에 온 신경이 다 가 있다. 그러면 나의 상상의 나래는 산산이 부서지고(?) 아내의 행동에 장단을 맞추어야 한다. 그래야 아내에게 사랑받는 남편이 될 테니까.

그런 식으로 들녘에서 뜯어온 들국화 한 보따리는 고스란히 국화차의 원료가 된다. 사실 집에서 키운 ‘집국화’는 벌써 국화차가 되어 우리의 입맛을 즐겁게 해주고 있은 지 오래다.

“오늘 국화차를 들고 갔더니 인기 만점이더라고요. 어르신들 초청 행사에 그 국화차를 내 놓았더니 다들 맛있고 향이 좋다며 칭찬이 자자해서 기분이 좋았어요.”
“오호. 그래서 또 국화차를 만드시겠다고?”
“그럼요. 우리도 두고두고 먹어야겠지만, 직장 언니들에게도 여기저기 나눠주려면 할 일이 많은 걸요.”


국화를 쪄서 거의 말라 가는 것이 우리 집 '안방'에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조금만 더 말리면 소위 국화차가 되는 것이다.
▲ 국화 말린 것 국화를 쪄서 거의 말라 가는 것이 우리 집 '안방'에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조금만 더 말리면 소위 국화차가 되는 것이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아이고 참, 우리 아내 누가 좀 말려줬으며 좋겠다. 저러면 쉬는 날만 되면 분명히 국화 뜯으러 가자고 그럴 텐데. 국화만 뜯는 게 아니라 국화를 쪄서 말리는 것도 하루 이틀에 되는 일이 아닌데. 아내가 또 이번 가을엔 국화에 미치겠구나 싶지만, 왜 이리 내 입가엔 미소가 떠나지 않는지.

좋은 것은 나눠야 할 터. 이 정도 자랑하고 우리 아내가 국화차 만드는 순서를 간략하게 말하고자 한다. 이것은 전문적인 지식이 아니라 주변의 사람들에게 듣고 아내가 스스로 터득한 방법으로 별다른 것은 아니다.

먼저 국화를 뜯는다. 만발한 것보다 조금은 아쉬운 듯 핀 게 향기도 좋고 맛도 괜찮다. 그 국화를 ‘찜솥’에다 넣고 쪄야 한다. 가끔 볶기도 하고 삶기도 하지만, 역시 찌는 것이 맛이 제대로 난다. 이 때 소금을 약간 넣어서 찌면 색깔도 선명해지고 맛도 좋아질 뿐만 아니라, 오래 보관해도 쉽게 상하지 않는다.

쪄낸 후 양지나 음지 상관없이 잘 펴서 말리면 된다. 말리는 기간은 약 5~7일. 국화의 상태를 봐서 더 할 수도 덜 할 수도 있다. 그렇게 말려서 보관하면 겨우내 먹을 수 있는 국화차가 된다. 손님 올 때 내놓는 특별한 차도되겠지만, 주전자에 끓여서 그냥 보리차처럼 수시로 먹어도 부담 없이 좋다.

이 정도면 왜 우리집 방과 마당에 국화 향기가 진동을 하는지 눈치 챘을 것이다. 방에도 국화를 말리고 있고, 마당 양지 바른 곳에도 국화를 말리고 있기 때문이다. 때론 국화를 부엌에서 쪄내면 향기가 장난이 아니다. 그 향기만 맡고 있어도 벌써 국화차를 다 마셔버린 것 같다. 이래저래 요즘 우리집은 국화 향에 취해 산다.

한술 더 뜬 아내는 ‘국화주’ 이야기를 한다. ‘국화주’도 맛있을 거라며 벌써 결심이 선 게다. 사실 그러고 보면 올봄에 진달래 화전, 쑥 버무리, 진달래 술 등을 해먹은 전과(?)가 우리 집엔 있다. 이웃과 나누는 풍성함과 그윽한 맛과 향기를 동시에 주는 효자 꽃인 국화로 차  한 번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덧붙이는 글 | ‘더아모(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가는 모임)의 집은 경기 안성 금광면 장죽리 시골 마을에 자리 잡고 있다. 홈페이지는 http://cafe.daum.net/duamo 이다.



태그:#더아모의집, #국화차 , #국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회에서 목사질 하다가 재미없어 교회를 접고, 이젠 세상과 우주를 상대로 목회하는 목사로 산다. 안성 더아모의집 목사인 나는 삶과 책을 통해 목회를 한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문명패러독스],[모든 종교는 구라다], [학교시대는 끝났다],[우리아이절대교회보내지마라],[예수의 콤플렉스],[욕도 못하는 세상 무슨 재민겨],[자녀독립만세] 등이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