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캠퍼스에서 전공이나 교양과목의 일부를 영어로 진행하는 것은 관례처럼 되어버렸다. 최근 안타깝게 학생들이 자살한 카이스트는 전과목을 영어로 진행했었다. 심지어 한국어와 어순 구조가 유사한 일본어까지 영어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대개 대학들은 영어 강의를 졸업 필수로 지정하거나 전공기초를 영어 강의로 만들어서 영어 강의가 듣기 싫어도 들을 수밖에 없게 만든다. 하지만 캠퍼스의 영어 강의가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수준 높게 배양하며 국제화 시대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대학의 허울 좋은 목적만큼 학생들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필자가 영어 강의를 청강해보니 학생들은 대개 멍한 표정으로 있거나 딴짓을 했다. 교수님이 학생에게 질문을 시켜도 학생들은 말문이 막혔다. 한국말도 답해도 된다는 교수님의 말에 학생은 겨우 말을 트기 시작할 뿐이었다. 어쩌다 외국 물 좀 먹은 걸로 보이는 한두 사람만 영어로 유창하게 말할 뿐이었다. 한 대학신문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학생들 다수는 영어강의에 대해 불만을 표현했다.

 

어느 대학에서는 영어 강의로 이름만 걸어놓고 정작 한국어로 진행되거나 적절히 영어와 한국어를 배합해서 진행된다고 한다. 학생들이 못 알아들으니 영어강의는 무용지물이 되가는 셈이다.

 

영어 강의가 학생들의 영어 실력만이 아니라 전공 실력까지 증진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우선 대부분의 대학들은 교양필수로 영어 강의를 학생들에게 이수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굳이 영어 실력을 위해 전공까지 영어로 수업할 필요가 있을까?

 

전공과목을 영어로 이해하고 영어 강의를 완벽히 소화하려면 영어 실력이 외국인의 평균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한국말로도 이해가 어려운 대학교 전공 수업을 영어로 알아듣는다는 것은 왠만한 영어 실력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에서 미국 대학에 입학하려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토플 점수를 일정 수준 이상 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수능을 마친 대학생들이 외국인 평균의 영어 실력을 가진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대학원을 마치고 미국의 명문대학에 유학가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도 처음에는 적응하기 어려워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영어다. 수능은 독해와 듣기가 중심이고 그 또한 영어 강의를 완벽히 소화할 정도의 실력이 있어야 만점을 받는 난이도는 아니다.

 

정말 영어 강의가 필요하다면 일단 대학 수업에서 영어 강의를 듣기 위해 기초를 쌓을 수 있는 교양 과목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무턱대고 1학년 전공기초에 영어 강의를 개설하는 어느 대학의 행태는 분별력이 떨어져 보인다.

 

대학에서 개설하는 영어 강의의 명분은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각 언론사에서 시행하는 대학평가에서 보다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전략으로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간에 무분별하게 개설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한 대형언론사가 매해 발표하는 대학 평가를 대학은 예의 주시하고 있다. 대학 평가의 항목 중에 국제화가 있는데, 국제화 점수에 영어강의의 개설여부가 포함된다. 대학들은 조금이라도 순위를 높여서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 영어 강의를 개설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영어 강의는 이 시대의 경쟁과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시장주의적 담론이 낳은 결과물이 아닐까한다. 대학들은 경쟁력을 위해 혹은 좀 더 높은 평판을 위해 학생들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영어강의를 개설하는 것이다. 대학이 시장 담론에 포획되어가는 하나의 사례일까.


태그:#대학, #영어강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