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청머리오리가 대전천에 찾아와 쉬고 있다.
▲ 대전천을 찾은 청머리오리 청머리오리가 대전천에 찾아와 쉬고 있다.
ⓒ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오락가락하는 날씨가 계속되는 봄이다. 언제 필지 몰라 일찍 핀 꽃은 추워진 날씨에 동사하고, 꽃이 먼저 피는 식물에 입이 먼저 나오는 기이한 현상들이 발생했다. 생각보다 일찍 알을 낳은 양서류들은 알이 얼면서 올해 자식농사에 실패를 맛보기도했다. 봄의 대표적인 축제인 벗꽃축제는 날짜를 맞추지 못하면서 축제의 의미가 퇴색되기도 하게 만든 이상기온은 이제 먼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이상기온이 반복되던 2012년의 봄은 이제 중반으로 접어들었다. 이제 만개한 꽃들을 곳곳에서 보고, 사람들의 복장에서도 봄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봄이 오면 생명이 움트는 신기함을 경의로움을 느끼기보다는 항상 아쉬움을 더 많이 느낀다.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아왔던 많은 새들이 봄이 되면 다시 몽고나 시베리아로 떠나기 때문이다. 탐조를 즐겨하던 나는 겨울 철새들을 탐조하는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1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여름 가을을 지나면서 다른 종류의 새들이 우리나라를 찾지만 울창해진 산림으로 실제적 관찰이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식물들이 낙엽을 떨어뜨려서, 새들을 볼 수 있는 시야가 넓어지는 겨울은 탐조인에게는 축복 같은 일이다. 특히 내가 사는 대전의 경우 3대 하천(대전천, 유등천, 갑천)이 있어서 다른 도시에 비해 많은 새들이 찾아온다. 사람들과 친근하게 적응된 새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도 많아, 다른 탐조지에 비해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3대 하천에서 올해는 늦게까지 떠나지 못하고 있는 새들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오락가락하는 날씨의 탓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다른 해에 비해서 많은 종의 새와 많은 개체들이 오랫동안 3대 하천에 머물렀다. 지난 14일 대전천을 찾았을 때 만난 청머리오리와 홍머리오리는 3월이면 이미 떠나거나, 3대 하천보다 큰 하천으로 이동하여 떠날 채비를 하는 것이 그동안의 서식행태였다.

우리나라에 가장오래동안 머무는 쇠오리(겨울철새)! 올해도 어김없이 대전천을 찾아와 아직까지 머무르고 있다.
▲ 겨울을 보낸 쇠오리 우리나라에 가장오래동안 머무는 쇠오리(겨울철새)! 올해도 어김없이 대전천을 찾아와 아직까지 머무르고 있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청머리오리와 홍머리오리는 4월 중순이 된 지금까지 떠나지 않고 대전천에서 채식활동을 하고 있었다. 청머리오리는 약 4쌍이, 홍머리오리는 3쌍이 떠나지 않고 대전천에 남아 있는 것이다. 대전환경연합 2012년 조류조사 결과 대전을 찾은 청머리오리는 총 9개체로, 대전에서 월동한 개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떠나지 않고 대전에 남아 있는 것이다. 청머리오리는 전국적으로도 관찰되지만 개체수가 많지는 않다.

만약 번식을 하려고 머무는 것이 아니라면, 이렇게 늦게까지 대전의 3대 하천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2가지로 추측할 수 있을 것 같다. 하나는 봄의 기후가 변화하여 떠나야 할 타이밍을 찾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꽃과 양서·파충류들이 올봄 적응을 하지 못하고 오락가락한 현상을 보면, 철새라고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원인으로, 몸의 에너지를 다 충족시키지 못했을 수도 있다. 새들은 먼거리를 이동하기전 자신의 몸무게의 2배 정도의 지방층을 몸에 채워야 한다. 3대 하천의 환경변화로 인해서 먹이의 변화가 발생하여,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다 충족시키지 못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실제로, 대전환경운동연합의 조류조사 결과 2012년 조류들이 급감했는데, 이유는 4대강 정비사업의 시행 때문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로 먹이감이 줄어들어, 에너지를 채우는 시간이 길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아무튼 겨울 철새들은 올봄 제대로 된 시기에 북으로 떠나야 올해 번식을 잘해서 겨울에 다시 우리나라를 찾아올 수 있다. 기후변화든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변화든 겨울철 조류들에게는 이미 서식처에 심각한 변화가 발생한 것을 우리는 직감해야 한다. 이런 변화가 사람에게까지 큰 영향을 미칠 날이 멀지 않았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이경호 기자는 대전환경운동연합 활동가입니다.



태그:#청머리오리, #이상기온, #4대강정비사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