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과 인천을 오가는 서민의 발인 삼화고속의 노사가 버스노선 매각을 놓고 또 다시 팽팽한 줄다리기에 나섰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삼화고속지회(이하 삼화고속지회)'는 7일부터 승객의 입석을 거부하는 등, 안전운행을 하겠다고 밝혔다. 수도권을 운행하는 노선 11개의 '입석' 운행과 '불법 감차' 운행으로 시민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을 공론화하겠다는 것이다.

삼화고속지회가 이렇게 준법투쟁을 예고한 것은 회사가 단체협약을 무시하고 추진하는 버스노선 매각이 버스기사들의 고용 불안을 야기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삼화고속 노사는 지난해에도 임금 등 노동조건을 놓고 대립했으며, 노조 파업이 37일 동안 지속돼 상당수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삼화고속은 지난 5월 운수사업자 자격 요건 논란이 있는 신백승관광(주)에 노선 2개를 매각했다. 광역버스노선 1100(마전~서울역)번과 1101(왕길동~서울역)번이 해당한다. 이에 따라 신백승관광에 매각한 버스는 24대다. 이에 앞서 삼화고속은 지난해에도 적자 노선 8개를 매각했다.

이런 상황에서 삼화고속은 지난달 27일 고속버스노선 '인천~속초'와 '대전~울산'도 매각했다. 시외버스노선인 '인천~남원'과 '수원~순천'도 매각했다. 회사 측은 "심각한 자금난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며 "회사는 이를 기점으로 지속적인 사업 개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공고했다.

하지만 삼화고속지회는 단체협약에 '회사는 기업의 축소나 폐쇄로 경영상 부득이한 사유로 인원을 정리해야 할 경우 노조와 협의'하도록 돼있음에도 불구, 버스노선을 계속적으로 매각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삼화고속지회는 입석 거부와 배차시간 준수 등으로 회사를 압박할 계획이다. 서울과 인천을 오가는 버스의 경우 출퇴근 이용자가 밀려, 상당수 시민이 좌석에 앉지 못하는 실정이다. 안전운행을 이유로 입석을 거부할 경우 출퇴근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또한 배차시간 준수로 환승이용 승객들의 불편도 예상된다.

이와 관련, 삼화고속지회 관계자는 "회사는 경기도·인천시·수원시 등에서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고 있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재무제표를 공개하지 않으면서 매년 '적자' 노선을 매각하고 있다"며 "회사는 배불리고, 버스기사들은 구조조정의 불안에 살아야하는 처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사측은 노조의 이런 안전운행 방침에 "이른바 법규 준수는 엄격한 준법투쟁의 성격을 가진 불법적인 집단행동이다, 정상운행을 방해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삼화고속, #삼화고속지회, #준법 운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