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보는 외부의 위협이나 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안전을 보존하는 일이다. 잠재 내지 현재적 적국과 갈등·분쟁·전쟁이 없는 상태 그리고 국민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보를 최우선으로 간주하는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 지금 전개되고 있는 미사일과 핵 위기에서, 과연 이 분들이 안보에 적절한 대북정책을 구사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명박 정부는 어떠한가? 안보를 추구한다면, 은하 3호 발사와 핵실험 위협이 무력도발인지 6자회담을 촉구하는 윤활성 행위인지 밝혀야 한다. 확인된 원인에 따라 평화부터 무력적 방법까지, 단계적 처방을 내려야 한다. 평화로운 한반도라는 안보는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현한다. 그러나 대북 정책의 과정과 결과는 안보와 점점 멀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로켓발사에서 대북 제재라는 분명한 목적으로 안보리에 호소했을 뿐, 대화와 타협의지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대북 강경책은 '북한의 비핵화 거부'와 '대화 가능성 일축'이라는 반대의 결과로 연결되었다.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징후가 포착되자, 안보리를 통한 더욱더 강력한 제재에만 관심을 보인다. 게다가 무력시위, 군사봉쇄, 선제타격 등을 언급함으로써, 군사적 긴장을 극도로 끌어올려 안보불안을 조성하고 있다.

박근혜 당선자는 어떠한가? 대선 공약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유화(appeasement)가 아니라 힘(force)을 내세우는 안보정책이다. "북한이 변화하면 신뢰 구축에 나서며, 핵무기를 포기하면 경제협력을 시작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북한과 관계를 국가 대 국가 간 외교가 아니라, 국가 대 집단 사이의 지배복종 관계로 간주하는 것이다. 외피는 안보이지만 내피가 불안에 가까워지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현재 위기에서도 이러한 사고와 행태는 변하지 않는다. 북한의 로켓 발사를 무력도발로 간주하고 안보관만을 부추길 뿐, 원인분석과 처방책 제시는 보이지 않는다. 북한의 핵실험 징후에 대해서도 중단과 경고만 존재한다. "핵실험 중단을 촉구한다" "미국과 함께 안보리를 통해 제재해야 한다" "핵실험을 하면 얻을게 없다" 역시 북한을 대등한 국가가 아니라, 복종시켜야 할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것이다.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응만이 안보와 직결된다는 논리를 앞세우면서.

국가 간 관계에서 설득→타협→위협이라는 외교교섭 매뉴얼에 충실할 때, 최소투자 대 최대 이익을 획득할 수 있다. 과거에 실패한 단계라고 해서 단계적 상승이 어렵다고 해서, 한 단계를 건너뛰면 안 된다. 설득과 타협으로 가능한 사안에 위협을 사용하면, 그만큼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위협으로 국가목표를 획득하더라도, 이후 국가 간 관계는 위협과 굴복 내지 대립과 갈등관계로 변질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강압외교(coercive diplomacy, 위협+약속)는 북한에게 통하지 않는다. 정치·경제적 강제가 국가와 정권의 존속에 절대적이지 않고, 국제사회와 강대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행동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는 남은 임기동안 대북관계를 악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최소 북한 비하발언에서 최대 선제타격이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대북정책의 틀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선지원 후 변화"를 선택하되, 지원 시기와 량으로 북한을 제어하면 어떨까? 통제와 지배가 아니라, 포용과 우호로 나타나는 안보의 가치가 더욱더 높지 않을까?


태그:#안보정책, #로켓발사, #핵실험, #북한핵실험, #은하3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경남대학교 대학원 졸업(정치학박사) 전,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 [비영리민간단체] 나시민 상임대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