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북 진천은 충남·충북·경기도의 경계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고 기름진 넓은 들에 물이 마르지 않아 생거진천(生居鎭川)으로 불렸다. 살기 좋은 곳에 역사유적과 자연관광지도 많다. 김유신탄생지와 태실, 길상사, 석장리 유적, 농다리, 이상설 생가, 보탑사, 정송강사, 배티성지, 종박물관, 초평저수지, 두타산 등이 진천의 볼거리다.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의 굴티마을 앞에 천년 세월의 물살을 이겨낸 농다리(충북유형문화재 제28호)가 있다. 농다리는 진천농교로 불리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100여m의 돌다리이다. 교각을 세우고 돌을 반듯하게 깎아 만든 다리가 아니라 멀리서 보면 돌무더기처럼 보인다. 휴일에는 일부러 찾아와 다소 투박해 보이는 돌다리를 건너며 즐거워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난다.

농다리전시관
 농다리전시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농다리의 우수성과 역사를 알리는 농다리 전시관이 입구에 있다. 이곳에 세계 각국의 다리, 전설을 영상으로 구현한 매직 비전, 농교의 제작 원리, 사진전 등의 공간이 마련돼 있다. 농다리유래비와 원형복원사적비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면 농다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호천과 농다리
 미호천과 농다리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역사는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얼기설기 얹어 놓은 것처럼 허술해 보이는 이 돌다리가 강한 물살에도 떠내려가지 않고 천년 세월을 이겨낸 데 과학과 철학이 담겨 있다.

하늘의 기본 별자리를 응용해 28개의 교각을 만들었다. 모양이 제각각인 사력암질 자석을 물고기 비늘처럼 쌓고, 상단의 폭과 두께가 좁아지게 하여 물살의 영향을 덜 받도록 만들었다. 잠수교처럼 장마 때는 큰물이 다리 위로 넘쳐흐르게 하고, 물을 거스르지 않기 위해 구불구불 지네가 기어가는 형태로 만들었다.

천년정
 천년정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농다리 옆 중부고속도로
 농다리 옆 중부고속도로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천년정을 지나 농다리 방향을 바라보면 중부고속도로가 바로 앞이다. 너른 들판과 진천 읍내도 가깝게 보인다. 도로 위의 차들이 미호천을 가로지른 농다리를 내려다보며 씽씽 잘도 달린다.

농암정과 초평저수지
 농암정과 초평저수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정상의 농암정은 조망이 좋아 전망대 역할을 한다. 정자에 오르면 시원한 바람이 불어와 쉼터로 좋은데, 좌우로 지네가 기어가는 모양의 농다리와 용이 승천하는 형상의 초평저수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저수지 뒤편으로 보이는 산이 높이 598m의 두타산이다.

성황당
 성황당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초평저수지
 초평저수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농다리에서 초평저수지로 가는 언덕에 돌을 쌓고 오색 헝겊을 걸어 놓은 성황당이 있다. 성황당은 용고개 일명 살고개 정상에 위치한다. 성황당에서 동쪽으로 내려서면 물가로 산책로가 이어지는 초평저수지가 물을 가득 담고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왼쪽으로 진천군청소년수련원, 오른쪽으로 피서대가 보인다.

피서대에 옛 이야기가 전해온다. 저수지로 수몰된 화산리에 부자마을이 있었고, 마을에서 시주를 거절당한 것을 괘씸하게 여긴 스님이 '앞산을 깎아 길을 내면 큰 부자마을이 된다'고 하여 사람들이 그대로 하니 그곳에서 피가 나온 후 마을이 망하여 없어졌다. 이 일대가 용의 형상인데 스님이 용의 허리에 해당하는 곳을 깎아 길을 내게 하여 용을 죽였다. 용의 허리에서 피가 흘러내려 모인 곳이라 하여 피서대가 되었다.

4∼6월, 9∼10월의 토요일은 농다리에서 '토요 농다리 놀이학교'가 운영된다. 놀거리가 마땅하지 못한 어린이들을 위해 평생학습센터에서 땅 따먹기, 망 줍기, 고무놀이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날씨 좋은 날 농다리에 가면 오랜 역사와 자연풍경이 멋진 추억을 선물한다.

덧붙이는 글 | * 지난 3월 3일 충북 진천의 농다리에 다녀왔습니다.
* 이 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진천, #진천농교, #농다리, #농암정, #초평저수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