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해 11월26일 '민중총궐기'가 열린 광화문광장에 모인 촛불들이다.
 지난해 11월26일 '민중총궐기'가 열린 광화문광장에 모인 촛불들이다.
ⓒ 신영근

관련사진보기


설날 연휴 기간을 보내기 위해 모인 대다수 국민의 화제는 단연 이번 최순실 국정농단과 비선 실세 의혹, 그로 인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과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것일 것이다. 또한, 벚꽃 대선으로 불리는 대통령선거에 대한 관심 또한 단연 화제다.

이번 설날 기간에 기자의 친척들과 친구들을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전통적으로 충남 홍성은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역대 지자체 선거와 지방의원 선거 그리고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야당이 선택을 받지 못한 지역이다(과거 자민련이 당선된 것이 있지만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번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보면서 생각이 많이 달라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친척들이나 친구들 중에는 지난 대선에 박근혜 대통령을 선택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서울에서 내려온 친구 장아무개는 "이번 최순실 국정농단을 보면서 나도 4년 전 대통령선거에서 박근혜를 찍었는데 지금은 너무 실망했다. 박근혜를 찍은 줄 알았는데 지금 보니 최순실을 찍은 거다. 국민을 속인 거 같아서 너무 화가 난다. 나도 촛불을 들러 광화문에 간 적이 있다. 촛불을 들러 나가보니 나같이 박근혜 대통령에 실망해서 나온 사람들이 많이 있더라"고 말했다.

친구는 또 "솔직히 요즘 많이 이야기가 나오는 세월호 7시간 문제도 대통령이 왜 정확히 안 밝히는지 모르겠다. 차라리 진작에 사실대로 말하고, 자신이 그 시간에 좀 더 철저하게 대응하지 못했던 것을 사과하고 용서받으면 되지 왜 사실대로 말을 못하는지 답답하다. 자꾸 거짓말을 하면 또 거짓말에 거짓말이 보태져서 국민이 믿으려 하지 않는다"고 했다.

친구는 이어 "이번에는 아무래도 조기 대선이 치러질 듯한데 촛불을 들러 나왔던 나같이 보수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이 야권에서 출마하는 대통령 후보를 전부 찍는다고 보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제는 생각이 달라졌다. 야권에서 나온 후보들도 꼼꼼히 살펴보고 올바르게 투표하려고 한다. 이번에는 정말 투표를 잘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매주 열리는 촛불집회에 다녀왔다는 기자의 친척은 "헌법재판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결정이 빨리 이루어져야 하고 조기 대선이 치러져야 한다. 앞으로 문제는 대통령 선거인데 여당에서는 누가 나오는지 잘 모르겠다. 이전 대선에서는 박근혜를 찍었지만 이번에는 야당을 선택하려고 한다. 야당에서는 생각나는 사람이 문재인, 안희정, 이재명이다"고 말했다.

이 친척은 또 "지금 대세는 문재인인 것 같은데 대세론이 오래 지속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고, 안희정은 보수층을 흡수하려고 그러는지 약간 말이 바뀌는 것 같다. 특히 사드 문제 같은 것을 보면 말이 자꾸 바뀌는 것 같다. 또 이재명은 말을 하는 것을 보면 너무 과격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이 사람들 중에서 후보가 나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대선에 출마 선언한 야당의 대선후보들(사진 왼쪽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가운데 안희정 충남도지사, 사진 오른쪽 이재명 성남시장)
 이번 대선에 출마 선언한 야당의 대선후보들(사진 왼쪽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가운데 안희정 충남도지사, 사진 오른쪽 이재명 성남시장)
ⓒ 신영근

관련사진보기


설 민심에서 기자가 특이하게 느끼는 것은 최순실의 국정농단과 비선 실세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앞으로 치러질 대선에 대한 이야기들이 더 많았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최순실의 국정농단 수사와 박근혜의 탄핵은 특검의 수사가 반환점을 돌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자연스럽게 대선으로 옮겨지는 듯하다.

특히 기자의 친척들이 모인 곳에서 대선 모의투표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30여 명이 모인 친척들 대부분 지난 대선에서는 박근혜를 선택했으나, 이번 대선에서는 야권후보도 다시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전통적으로 보수성향이 강한 우리 집안에도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보니 최순실의 국정농단과 비선 실세 의혹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불신이 강한 충격으로 다가온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대부분 젊은 층에 속하는 사촌들과 조카들도 "경제정책과 청년들의 실업문제 등 우리나라가 잘살 수 있게 만드는 그런 후보들을 선택하려 한다.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인용 결정이 나오면 일찍 대선이 치러지는데 그전까지 꼼꼼히 후보들을 살펴보겠다"며 "이제 우리나라는 최순실 국정농단 세력과 같은 비선 실세들이 없는 깨끗하고 정의로운 우리나라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의 설 민심을 들어보았다. 일일이 설 민심에 대한 내용을 다 나열하지는 못하지만, 전체적으로 들어본 친척들과 친구들의 의견은 앞으로 대통령선거에서는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고 국정농단이 없는, 오로지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것이다.

지나나해 11월26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민중총궐기'에 참가한 홍성참가단의 깃발이 보인다.
 지나나해 11월26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민중총궐기'에 참가한 홍성참가단의 깃발이 보인다.
ⓒ 신영근

관련사진보기




태그:#설 민심, #대통령 선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