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게티 이미지

관련사진보기


중·고생 등 청소년의 '최애' 배달음식과 테이크아웃 음식은 닭튀김·닭강정·찜닭 등 닭 요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청소년은 배달음식 등을 주문할 때 음식의 위생·안전보다 맛·가격을 중시했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연세대 식품영양학과 함선옥 교수팀이 2019년 6∼8월 서울 등 전국의 중·고생 610명을 대상으로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관련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청소년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소비행태 분석)는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청소년이 배달·테이크아웃 음식을 사 먹는 데 지급한 비용은 월평균 2만4783원이었다.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1회 주문 시 평균 지급 비용은 7937원이었다. 배달음식의 이용빈도는 '월 1회'가 33.6%(76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2주일에 1회'(33.2%), '주 1회'(21.7%), '드물게'(7.5%) 순이었다. 테이크아웃 음식의 이용횟수는 '주 1회'가 36.3%(78명), '2주일에 1회'(19.1%), '주 2∼3회'(18.1%) 순서였다. 

청소년이 선호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는 닭 요리(닭튀김·닭강정·찜닭)가 1위, 피자가 2위, 중국 음식(짜장면·짬뽕 등)이 3위였다. 배달·테이크아웃 음식을 주문할 때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은 '음식의 맛', '가격 수준', '배달·음식 준비의 신속성' 순이었다. 위생이나 안전성보다 맛을 중시한 셈이다.

배달·테이크아웃 음식을 주문하는 청소년 3명 중 1명은 '맛있는 음식을 즐기기 위해서'를 이유로 꼽았다. '근로·학업 등으로 가정 내 식사의 어려움'(13.0%), '축하와 사교 모임, 여행 등 특별한 날에 이용'(3.9%), '식사 준비의 귀찮음'(3.4%) 등도 배달·테이크아웃 음식을 주문하는 이유였다. 

함 교수팀은 논문에서 "코로나 19시기엔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제한조치로 인해 청소년 등 학령기 아동이 가정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신체활동이 적어지고, 식습관이 변해 비만이 심해질 수 있다"며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평생 건강의 기초가 다져지는 시기이므로 식생활 교육과 식환경 조성을 통한 권장 식행동 실천을 도와야 한다"고 짚었다. 

한편 유니세프(UNICEF)가 2020년 7~8월 수행한 청소년 대상 연구에서도 코로나 19 이후 단 음료(35%)·스낵류(32%)·패스트푸드(29%)의 소비량은 늘고, 과일·채소류 섭취량은 33% 감소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 © '당신의 웰빙 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푸드앤메드, #배달음식, #중고생배달음식, #테이크아웃, #치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