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게티이미지

관련사진보기

 
협심증ㆍ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도 음주ㆍ흡연 등 생활 습관에서 가족력이 없는 사람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혈압을 높이는 나트륨 섭취량은 오히려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서 더 많았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가정의학과 고영진 과장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30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이 건강 행태에 미치는 영향)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5.6%(729명)였다. 심장병 가족력이 있어도 심장병 가족력이 없는 사람과 흡연ㆍ위험 음주ㆍ신체활동 부족 비율에서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의 흡연ㆍ위험 음주ㆍ신체활동 부족 비율은 16.9%, 13.4%, 56.5%로, 심장병 가족력이 없는 사람과 엇비슷했다.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 중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1500g 이상인 비율은 88.1%로, 가족력이 없는 사람(84.9%)보다 오히려 높았다. 고 과장팀은 논문에서 "심장병 가족력의 유무는 흡연ㆍ위험 음주ㆍ신체활동 부족ㆍ하루 1500g 이상의 나트륨 섭취ㆍ하루 15g 이상의 포화지방 섭취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이 없었다"며 "심장병 가족력과 음주ㆍ흡연 등 건강 행태는 심장병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흡연ㆍ운동ㆍ식사 등 심장병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협심증ㆍ심근경색으로 대표되는 허혈성 심장병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성 협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허혈성 심장병의 위험인자로는 식사ㆍ운동ㆍ흡연 등 환경적 요인과 가족력 등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ㆍ관상동맥질환ㆍ협심증이 생길 위험이 증가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 © '당신의 웰빙 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푸드앤매드, #심장병, #음주, #흡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