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임명장 수여식 및 1차회의에서 서병수 신임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임명장 수여식 및 1차회의에서 서병수 신임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를 뽑기 위해 꾸려진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서병수)가 전당대회를 2024 파리 올림픽 직전인 7월 25일에 열기로 잠정 결정했다. 하지만 당대표 후보들의 명운이 걸린 '전대 룰'은 이번에 신설된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위원장 여상규)'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서병수 위원장은 3일 서울 여의도의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선관위 첫 회의를 열었다. 회의 직후 강전애 선관위 대변인은 취재진에게 차기 전당대회를 "2024 파리 올림픽 직전인 7월 25일로 잠정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선관위는 당대표 후보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전당대회 룰·지도체제 변경과 관련해선 전혀 논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선관위와 함께 신설된 당헌개정특위가 관련 사안을 모두 결정하게 됐다는 것이다.

현재 당내에선 '당원 100%' 전당대회 룰이 누구에게 유리하냐를 두고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출마 초읽기에 접어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에겐 당원 비중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전 위원장은 현재 윤석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는 모양새로, 당원은 여전히 윤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을 거란 분석이다.

또 현재 당대표 중심 체제인 단일지도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지도체제 자체를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당대표와 최고위원회를 따로 뽑는 방식에서, 전당대표 결과에 따라 순위별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최고위원의 위상이 높아져 전과 비교해 당대표의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여상규가 이끄는 당헌개정특위에 쏠리는 눈
 
2019년 8워 7일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실에서 여상규 당시 법사위원장을 예방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2019년 8워 7일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실에서 여상규 당시 법사위원장을 예방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이 모든 결정은 당헌개정특위에 맡겨졌다. 그런데 특위를 이끌 여상규 위원장은 과거 윤 대통령와 관련해 특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20대 국회에서 있었던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이었던 여 위원장은 이른바 '채이배 의원 감금 사건'에 연루됐지만 기소되지 않았다.

당시 서울남부지검 공공수사부는 여야 당대표·의원 29명을 특수공무집행방해·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 또는 약식 기소했지만, 여 위원장은 빠졌다. 여 위원장이 소파를 끌어다 채 전 의원의 의원실 문을 막는 등 적극 가담하는 장면이 영상으로 찍혔는데, 검찰은 "수사팀이 끊임없이 토론하고 회의해서 내린 결정"이라며 기소유예 처분했다. 당시 검찰총장이 윤 대통령이었다.

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2019년 8월 신임 검찰총장으로 임명된 뒤 법사위원장이었던 여 위원장을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여 위원장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여야 편향되지 않게 중립적으로 해주시면, 그게 저의 바람"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태그:#서병수, #여상규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