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 등은 5일 오전 대전 유성구 원촌동 갑천 좌안 둔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는 효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처를 훼손하는 3대 하천 준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 등은 5일 오전 대전 유성구 원촌동 갑천 좌안 둔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는 효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처를 훼손하는 3대 하천 준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 등이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3대하천 대규모 준설 공사 중단을 촉구하며 갑천 준설 현장에서 시위를 벌였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 정의당·진보당·녹색당대전시당 등은 5일 대전 유성구 원촌동 갑천 좌안 둔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는 효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처를 훼손하는 3대 하천 준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시는 국비 42억 원을 지원받아 '국가하천 재해예방 정비공사'란 이름으로 갑천, 유등천, 대전천에서 대규모 하천 준설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이 열린 현장에서도 대형 굴삭기와 덤프트럭을 이용해 하천 바닥의 모래를 실어 나르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공사 현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환경단체 등은 '대전시의 3대하천 준설은 효과 없는 예산낭비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준설을 한다고 해도 하천 바닥이 곧바로 메워지기 때문에 홍수예방 효과가 거의 없다는 이야기다.

이들은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전시가 결국 효과 없는 준설을 강행하고 있다. 지난해 강우로 발생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대책' 이라고 대전시는 설명하고 있지만 원인파악조차 하지 못한 졸속행정의 결과물이 바로 준설"이라며 "결국 시민 혈세 42억 원을 3대하천에 흘려보내는 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해 원촌교와 만년교 수위가 위험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전시는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한 강우량과 홍수빈도, 강우패턴은 분석조차 하지 않았다"며 "가장 중요한 계획홍수량과 실제 홍수량 산정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준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환경단체가 분석한 결과, 지난해 홍수빈도는 계획된 200년 빈도에 비해 10년~30년밖에 되지 않는 적은 양이었다는 것. 또 계획홍수량은 3281m³/s인데, 실제 홍수량은 1242.80m³/s에 불과해 설계빈도의 약 1/3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홍수빈도와 계획홍수량의 수치가 절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심각한 위험에 처했던 것은 단순한 준설만으로 홍수 예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준설을 해서 수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헛된 꿈에 불과하다"며 "준설된 곳은 수위가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지만, 흐르는 수량에 의해 쉽게 메워지기 때문에 하천 수위는 내려가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지난해와 같은 비가 온다면 준설로는 하천홍수는 예방할 수 없다"며 ▲도시의 물순환시스템의 변화 ▲하천 횡단구조물 철거 ▲보 및 낙차공 철거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멸종위기종 서식처에서도 준설, 야생생물 생태환경 심각하게 훼손"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 등은 5일 오전 대전 유성구 원촌동 갑천 좌안 둔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는 효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처를 훼손하는 3대 하천 준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 등은 5일 오전 대전 유성구 원촌동 갑천 좌안 둔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는 효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처를 훼손하는 3대 하천 준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대전시의 하천 준설은 예산낭비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의 생태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도 이들은 주장했다.

이들은 "3월~8월까지는 야생동물들의 번식 시기로 하천에 대단위 공사를 진행하는 것은 생명을 죽이는 일"이라며 "심지어 대전시가 스스로 깃대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는 감돌고기 번식지까지 준설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감돌고기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며, 이 밖에도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저어새, 흰목물떼새 등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대규모 준설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이들은 끝으로 "과학적 데이터를 토대로 한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준설'이라는 효과도 없는 일방적 행정을 일삼는다면, 대전시는 기후위기 시대에 심각한 홍수를 예방하지 못한 도시로 전락 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대전시는 생명을 죽이는 준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는 "오늘은 환경의 날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대전시가 환경을 대하는 태도가 어떠한가 보고 있다. 지금 대전시는 하천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다.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기 짝이 없다"며 "하천 홍수를 막기 위해서는 준설보다는 홍수 때 유속을 가로막는 3대 하천의 쓸모없는 100여 개의 보와 하천 둔치의 인공구조물을 해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대전시는 그런 일은 하지 않으면서 유성구 갑천 둔치에 158억 원을 들여 야외 물놀이장과 편의시설을 만들겠다고 한다"며 "지금 대전시는 앞뒤가 맞지 않는 뻘짓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지금 준설공사가 진행되는 이 곳 바로 아래에는 탑립돌보가 있고, 그 아래에도 2개의 보가 있다"며 "따라서 지금 하고 있는 공사는 아무 효과가 없다. 물을 가두는 시설을 만들어 놓고 바로 위에서 준설을 하면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하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하천준설NO'적고 적힌 피켓을 들고 준설공사 현장으로 들어가 구호를 외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태그:#하천준설, #대전시, #대전3대하천, #대전환경단체, #생태파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