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 참석해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 참석해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대통령의 '포항 영일만 앞바다 유전 매장 가능성'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여론이 14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 신뢰한다는 여론을 2배 이상 앞섰다.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유전 매장 가능성을 브리핑한 직후부터 관련 컨설팅을 맡았던 미국 액트지오사를 비롯한 관련 의혹들이 꼬리를 물고 계속 제기되고 있는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한국갤럽은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총통화 9130명, 응답률 11.0%)에게 무선 100%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최근 우리나라 동해에 상당량의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러한 정부 발표를 신뢰하나, 신뢰하지 않나"라고 물었다(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

그 결과, "정부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0%, "신뢰한다"는 응답이 28%로 나타났다. 모름/응답거절로 태도를 유보한 응답은 12%였다.

▲ 70대 이상(신뢰 48%-불신 31%) ▲ 여당 지지층(신뢰 58%-불신 27%) ▲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자(신뢰 63%-불신 19%)를 제외하면 대다수 응답층에서 믿지 못하겠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서울(27%-61%), 인천·경기(24%-66%), 대전·세종·충청(30%-57%), 광주·전라(19%-71%), 부산·울산·경남(33%-53%) 등에서 신뢰하지 못한다는 응답이 50%를 상회했다. 대구·경북(40%-44%)에서도 신뢰와 불신이 팽팽하게 나뉘었다.

연령별로 봤을 땐 50대 이하 연령대에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0%를 넘겼다. 60대에서도 신뢰한다는 응답이 38%,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9%로 불신 응답이 더 우세했다.

'스윙보터'로 볼 수 있는 중도층(23%-67%)과 무당층(21%-59%)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크게 앞섰다. 이념성향별 보수층에서도 신뢰한다는 응답이 43%,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7%로 팽팽한 편이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손흥민·이강인 탈락시키고 조기축구 벤치선수 선발한 꼴, 왜?"
  
7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경북 포항 영일만 심해에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 Geo)사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의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 회견 장면을 시청하고 있다.
 7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경북 포항 영일만 심해에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 Geo)사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의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 회견 장면을 시청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불신 여론은 윤 대통령 발표 이후 계속 이어지는 관련 보도와 의혹 제기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당장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은 이날(14일)도 '동해 심해 유전'에 대한 의혹을 쏟아내면서 정부의 투명한 자료공개 및 국회 차원의 검증을 요구했다.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동해 유전 검증단 교수가 현 한국석유공사 동해탐사팀장의 지도교수였다'는 <오마이뉴스> 보도(관련기사 바로가기 https://omn.kr/2914d) 등을 거론하면서 "석유게이트가 점입가경이다. 카르텔 냄새가 나지 않냐"고 비판했다.

그는 또 '사실상 1인 기업인 미국 액트지오와의 경쟁에서 탈락한 2개 업체가 세계 수준의 빅3에 해당하는 슐럼버거와 할리버튼'이란 MBC 보도를 거론하면서 "축구 국가대표 선발로 치면 손흥민, 이강인을 탈락시키고 두메 산골 조기축구 벤치선수를 선발한 꼴"이라며 "윤 대통령이 세계적 수준의 기업이라고 콕 집어 발표한 액트지오가 대한민국 산유국의 꿈을 이루어줄지 궁금하다. 나라 꼴이 우습게 돌아간다"고도 말했다.

전은수 최고위원도 "세계적 컨설팅 회사보다 1인 기업을 선정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라며 "까면 깔수록 의혹들이 계속되는 양파 정부"라고 질타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가 동해 심해 유전 개발과 관련해 석유공사에 융자 지원 등을 추진하는 데 대해 "(이명박 정부 당시) 자원외교 실패에 사라졌던 자원 공기업 융자 지원을 재개한다는 것"이라며 "융자라고는 하지만 민간과는 다르게 결국 국민들이 책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의혹부터 밝혀서 국민들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게 해달라"고 촉구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 역시 <오마이뉴스> 보도 내용을 거론하면서 "동해 가스전 탐사를 수행한 자, 그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한 자 그리고 이를 연결해 준 공사직원까지 사실상 한 몸통이었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특히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가 열리면 사실상 수의계약의 위법성을 따져야 한다. 누가 지시했는지 그 윗선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라면서 "온갖 의혹이 터진 유전처럼 솟구치는데 산자부와 석유공사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국회 자료 요구와 업무 보고에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원내대표는 "국회는 예산 심의 권한이 있다. 국회가 동의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의 대왕고래는 한 발짝도 전진할 수 없다는 뜻"이라며 "대통령이 국민께 차분히 기다려 달라던 국책 사업을 산자부가 나서서 발목 잡을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국회에 관련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진상 조사에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태그:#윤석열대통령, #동해심해유전, #액트지오, #한국갤럽, #수의계약
댓글1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