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72)

― ‘한국의 부녀자’, ‘시골의 밀어냄’, ‘책의 저자’ 다듬기

등록 2008.07.13 13:43수정 2008.07.13 13:43
0
원고료로 응원

ㄱ. 한국의 부녀자들

 

.. 이또오 히로부미는 한국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계략으로써 어떻게 하면 한국의 부녀자들을 허물어 놓을 수 있을까 하고 부심한 것 같다 ..  <정신대 실록>(임종국 엮음, 일월서각,1981) 12쪽

 

 “한국 통치(統治)를 용이(容易)하게 하기 위(爲)한”은 “한국을 쉽게 다스리려는”으로 손보고, ‘계략(計略)’은 ‘꾐수’나 ‘꿍꿍이’로 손봅니다. “부심(腐心)한 것 같다”는 “속을 썩인 듯하다”나 “근심이 깊었던 듯 싶다”나 “골치를 앓았구나 싶다”로 손질합니다.

 

 ┌ 한국의 부녀자들 (x)

 └ 한국 부녀자들 (o)

 

 “한국의 남자”가 아닌 “한국 남자”입니다. “한국의 여자”가 아닌 “한국 여자”입니다. “한국의 사람들”이 아닌 “한국사람들”입니다.

 

 어딘가 어설프다 싶으면, 어떻게 적어야 올바른가 헷갈린다면, 임자말 자리에 다른 낱말을 넣으면서 생각해 봅니다. 이런 자리 저런 자리에 쓰는 말투를 살피다 보면, 올바르거나 알맞는 말투를 우리 스스로 너끈히 찾아낼 수 있습니다.

 

ㄴ. 시골의 밀어냄

 

.. 그러나 보다 최근에는 도시의 유인보다는 시골의 밀어냄이 더 큰 요인이다 .. <맬서스를 넘어서>(레스터 브라운/이상훈 옮김, 따님,2000) 79쪽

 

 ‘보다’라는 말은 이렇게 글 사이에 넣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더욱”처럼 적어야 맞습니다. 앞에서 ‘도시의 유인(誘引)’이라 쓰니, 뒤에서도 ‘시골의 밀어냄’처럼 쓸 테지요. 둘 모두 알맞지 못한 말입니다. 앞말부터 올바르게 고쳐야 뒷말도 올바르게 고칠 수 있습니다.

 

 ┌ 도시의 유인 → 도시에서 끌어들이다

 │

 └ 시골의 밀어냄 → 시골에서 밀어내다

 

 ‘밀어내다’를 ‘밀어냄’처럼 쓰는 일은 나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토씨 ‘-의’를 붙여쓸 생각으로 이렇게 적었다면 얄궂은 말이 되고 말아요.

 

 ┌ 도시의 유인보다는 시골의 밀어냄이

 │

 │→ 도시에서 끌어들이기보다는 시골에서 밀어내기가

 │→ 도시에서 끄는 힘보다 시골에서 미는 힘이

 │→ 도시에서 끌어들인다기보다 시골에서 밀어낸다고

 │→ 도시에서 끌어들인다기보다 시골에서 밀어낸다

 └ …

 

 보기글을 통째로 고쳐써도 괜찮네요. “그러나 요즘 들어서는, 도시에서 끌어들이는 힘보다 시골에서 밀어내는 힘이 더 크다”쯤으로. 알맞게 쓸 낱말, 말투, 말씨, 말법 모두 두루 헤아려 주면 좋겠습니다.

 

ㄷ. <군중과 권력>의 저자

 

.. <군중과 권력?의 저자 엘리아스 카네티는 ‘군중’ 속에서 이러한 기적이 가능해진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  <마음이 소금밭인데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다>(이명원, 새움,2004) 41쪽

 

 ‘저자(著者)’는 우리 말이 아닙니다. 우리 말은 ‘지은이‘입니다. “지은 사람”을 뜻하는 말은 ‘지은이’잖아요. 그렇지만 글쓰는 일을 하는 분들 입에서는 ‘지은이’도 ‘글쓴이’도 잘 나오지 않고, ‘저자’라는 말만 튀어나옵니다. 때로는 ‘필자(筆者)’가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기적이 가능(可能)해진다”는 “기적이 이루어진다”로 손봅니다.

 

 ┌ <군중과 권력>의 저자

 │

 │→ <군중과 권력>을 지은

 │→ <군중과 권력>을 쓴

 │→ <군중과 권력>을 펴낸

 └ …

 

 낱말만 다듬어서 “<군중과 권력>의 지은이”처럼 적는 분도 제법 많습니다만, 조금 더 마음을 기울여서, “<군중과 권력>을 지은 엘리아스 카네티”라든지 “<군중과 권력>을 써낸 엘리아스 카네티”로 다듬어 주면 더욱 좋아요. 우리가 마음을 조금만 더 기울여 준다면, 한결 살갑고 깨끗하며 알뜰한 말과 글이 두루 퍼질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2008.07.13 13:43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토씨 ‘-의’ #우리말 #우리 말 #-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