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100여명 불과한 면이 전국 금메달?

[09-013] 딸기묘 생산 전국 1위, 작다고 무시하지 마라 순천시 외서면!

등록 2009.08.06 19:53수정 2009.08.06 19:53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play

딸기묘의 작은거인 순천시 외서면 순천시 외서면, 인구수로는 전국에서 작은 곳에 속하지만 딸기묘 생산에 있어서 만큼은 전국 1위다 ⓒ 서정일


전북 장수군 계북면이라는 곳이 있다. 사람들은 그곳이 전국에서 가장 작은 면이라고 한다. 현재, 인구수가 얼마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지만 몇 년 전 기록으로는 1866명이다. 도심지에서 이 정도의 인구수라고 하면 어느 동네 아파트 단지 한 개보다 적은 수치다.


그런데 그 보다 더 적은 인구수를 가진 면이 있다. 전남 순천시 외서면으로 현재 인구수가 1163명인데 시간차가 좀 있다고 해도 계북면보다 적었으면 적었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외서면 주민들이 들으면 자존심이 좀 상하는 일이겠지만 시쳇말로 "인구가 동네만 하네"라는 말을 해도 그리 틀린 말이 아닐 듯 싶다.

하지만 동네같은 면이라고 무시하면 큰 코 다친다. 이 작은 면에서 전국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딸기묘인데 수량 면에서나, 품질 면에서나 전국 1위를 달리고 있다. 한마디로 순천시 외서면은 전국 딸기묘의 금메달감인 셈이다.

외서면의 자부심은 외서면사무소 건물의 1/4를 차지할 만큼 크게 걸려있는 '전국 최우수 딸기묘 생산단지'라는 입간판 속에 잘 표현돼 있으며, 주민들 또한 외서면을 말할 때면 꼭 '딸기묘 생산 전국 1위'라는 것을 강조한다.

외서면 딸기 작목반에 총 577가구 중에서 153농가나 참여하고 있다. 25%에 육박한 수준이다. 평균 250미터의 고도와 물 빠짐이 좋은 땅과 서늘한 기후를 가진 자연조건 속에서 이미 15년 전부터 총 37ha의 면적에서 딸기묘를 생산한 주민들은, 5년 전부터는 공중부양(?) 이라는 신기술로 무장해 생산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땅은 땅이되 받침대를 놓고 공중에서 딸기묘를 기르는 기술인데 이 때문에 견학 오는 사람들도 많다.

a

순천시 외서면 딸기작목반 선병연 회장 순천시 외서면은 인구수로 보면 작은 면이다. 하지만 '딸기묘' 하나만큼은 전국 챔피언이다. 행정이나 주민이나 이에 대한 자부심은 대단하다. 딸기묘 비닐하우스에서 필자에게 여러가지를 설명해 주는 선병연 딸기작목반 회장 ⓒ 서정일


딸기묘는 매월 3월에 이식하기 시작하고 줄기가 뻗어 나오기 시작하면 또 다른 화분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핀 작업도 하고 병충해 방재에도 신경을 바짝 써야 한다. 이 때문에 한여름 뙤약볕 아래서도 농민들은 쉴 틈을 찾기 힘들다.


그렇게 여름을 나고 알맞게 자란 딸기묘가 전국 각지에 있는 딸기농가로 시집가는 시기는 9월 정도다. 이때가 되면 외서면은 외지 사람들로 북적거리고 딸기묘로 파랗던 땅은 맨살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대신 거리엔 돈이 굴러다닌다. 2000만주의 딸기묘는 차에 실리고 25억여 원의 돈은 외서면에 떨어지게 된다. 그야말로 부자마을이 되는 것이다.

외서면 딸기작목반 선병연 회장은 "해발 200m의 준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외서 딸기묘는 품질이 뛰어나 한 번 찾은 분들이 매년 다시 찾고 있고 예약까지 밀릴 정도"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한다. 전국 여러 곳의 딸기묘 재배단지가 있지만 가격을 결정할 때가 되면 항상 외서면 눈치를 볼 정도라고 귀띔하는 것도 자신감의 표현이다.

한마디로 조그만 외서면은 '작은 거인'으로서 '작은 고추가 맵다는 얘기가 딱 맞는 지역'이다. 비록 작은 면이지만 자신들의 지형여건과 환경을 잘 살펴 선택과 집중으로 '딸기묘 전국 챔피언'을 먹은 순천시 외서면. 삶은 자연에서 배운다지만 자신의 삶이 초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외서면에 와서 그들의 지혜를 배워 볼만도 하다.

낙안군과 낙안군 폐군(廢郡)
현재의 순천시 외서면을 비롯해 낙안면, 별량면 일부, 보성군 벌교읍 그리고 고흥군 동강면, 대서면 일부의 땅은 옛 낙안군이었다. 101년 전인 지난 1908년 10월 15일, 일제는 항일투쟁무력화, 동학혁명진원지분산, 침략거점도시화를 위해 낙안군 자체를 없애버리고 주민들을 인근 지역 세 곳으로 강제 편입시켰다.

덧붙이는 글 | 예고:[09-014] 보기 좋은 떡? 애물단지인 메타세콰이어길
남도TV에도 실렸습니다


덧붙이는 글 예고:[09-014] 보기 좋은 떡? 애물단지인 메타세콰이어길
남도TV에도 실렸습니다
#낙안군 #남도TV #스쿠터 #외서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3. 3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4. 4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5. 5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