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연재4.10 총선1609화

[성남 중원] 이수진 47.6%-윤용근 32.8%

[오마이뉴스·KSOI 여론조사] 이, 오차범위 밖 우세... 민주연합 32.2%-국민의미래 26.9%-조국혁신당 16.5%

등록 2024.04.04 12:05수정 2024.04.05 15:21
1
원고료로 응원
a

ⓒ 오마이뉴스

 
[기사수정 : 5일 오후 3시 20분]

<오마이뉴스>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4일 발표한 4.10 총선 경기도 성남시중원구 여론조사 결과,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우세가 확인됐다. 이 후보는 47.6%의 지지도를 보이며, 윤용근 국민의힘 후보(32.8%)를 14.8%p차로 앞섰다. 오차범위 밖이다. '투표하고 싶은 후보가 없다'는 16.2%, '모름/무응답'은 3.4%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이틀 간 경기 성남중원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전화면접(CATI) 조사 방식을 택했으며 응답률은 8.5%, 통계보정은 2024년 3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를 적용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정권심판론 44.1% - 정권안정론 30.9% - 양당견제론 16.8%

남성 유권자의 46.0%가 이 후보를, 34.2%가 윤 후보를 지지했다. 여성은 49.3% 대 31.4%로 이수진 후보의 우세가 더 확고했다. 선거구에 따른 편차도 크지 않았다. 제3선거구(성남·상대원1~3·하대원·도촌동)는 48.4% 대 32.1%, 제4선거구(중앙·금광1~2·은행1~2동)도 46.7% 대 33.7%로 이수진 후보가 앞섰다.

만 18세 이상부터 29세 이하에서는 이 후보가 30.9%, 윤 후보가 24.5%의 지지를 모으며 오차범위 안이었다. 특히 '없음'이 41.2%나 됐고, '잘 모름'도 3.4%였다. 30대부터 40대, 50대까지는 오차범위를 넘어서 이수진 후보 지지세가 강했다. 특히 40대의 경우 67.7%가 이수진 후보를 지지하며, 21.2%의 윤용근 후보와 '트리플 스코어' 가량 차이가 났다.

60대는 윤용근 후보가 46.3%로, 41.1%의 이 후보에 비해 약간 앞섰으나 오차범위 안이었다. 윤 후보가 오차범위 밖 우위를 점한 세대는 70세 이상이 유일했다. 53.7%가 윤 후보를, 33.8%가 이 후보를 골랐다.


보수층 다수는 윤용근 후보(70.2%), 진보층 다수는 이수진 후보(78.4%)를 지지했다. 이념 성향에 따라서 두 후보의 지지가 엇갈린 가운데, 중도층의 선택은 이수진 후보였다. 중도층의 과반(55.5%)이 이 후보의 손을 들어준 반면, 윤 후보는 23.8%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한 이들 중 86.7%는 이번 총선에서도 민주당 후보를 찍겠다고 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찍은 응답자 중 78.1%는 윤용근 후보에게 표를 주겠다고 밝혔다.

경기 성남중원에선 '정권심판' 여론이 '정권안정'보다 우위였다. '정부·여당 견제를 위해 민주당 후보가 더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44.1%였고, '정부·여당 지원을 위해 국민의힘 후보가 더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선택은 30.9%였다. 격차는 13.2%p로 오차범위 밖이다. '양당 견제를 위해 제3지대 후보가 더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16.8%, '모름/무응답'은 8.2%였다.

정부·여당 지원 여론은 윤용근 국민의힘 후보(90.8%), 정부·여당 견제론은 이수진 민주당 후보(89.6%)쪽으로 결집했다. 지역구 제3후보가 출마하지 않은 가운데, '양당 견제'를 택한 성남중원 시민 다수는 이수진 후보(41.3%)의 손을 들어줬다. 양당 견제에 공감하는 이들 중 윤용근 후보를 고른 이들은 16.9%였다. 없음이 38.6%, 모름은 3.2%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선 긍정평가 답변은 29.6%, 부정평가는 61.5%로 드러났다. 특히 '매우 잘 못하고 있다'가 40.0%로 가장 많았다. '잘 못하는 편이다'는 21.5%였다. '매우 잘하고 있다'는 10.1%, '잘하는 편이다'는 19.5%로 나왔다. '잘 모름'은 5.2%였다.

경기 성남중원 시민의 총선 투표 의향은 93.0%였다. 이중 78.8%는 '반드시 투표하겠다'라고 응답했고, '가급적 투표할 생각'은 14.2%였다. 투표 의향이 없는 이들은 5.9%였다. '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2.2%, '별로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3.6%였다. 모름 혹은 무응답은 1.1%였다.

투표의향을 밝힌 유권자 중 49.7%는 이수진 민주당 후보를, 34.3%는 윤용근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했다. 격차는 15.4%p로 여전히 오차범위 밖이다. 투표의향층에서 '투표하고 싶은 후보가 없다'라는 선택은 13.0%, '모름'은 2.9%였다.

민주연합 32.2% - 국민의미래 26.9% - 조국혁신당 16.5%
 
a

ⓒ 오마이뉴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5.3%, 국민의힘 29.8%, 개혁신당 2.1%, 새로운미래 1.2%, 녹색정의당 0.5% 순으로 조사됐다. 기타 정당은 3.1%, 없음은 16.8%, 잘 모름은 1.3%였다. 경기 성남중원 유권자들의 비례대표 투표의향에서도 더불어민주연합(아래 민주연합)이 32.2%로 가장 높게 나왔다. 국민의미래가 26.9%였고, 조국혁신당은 16.5%였다. 자유통일당 2.0%, 개혁신당 1.9%, 새로운미래 1.4%, 녹색정의당 1.0% 순이었다. 기타 정당은 1.3%, 없음은 14.7%였으며, 잘 모름은 2.0%로 나왔다.

민주연합과 조국혁신당의 두 정당의 지지도를 더하면 48.7%였다. 성남중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구에 비해 민주당 지지층의 민주연합 결집도가 높았다. 민주당 지지자 중 64.6%, 이수진 민주당 후보 지지자의 60.2%가 비례대표 투표에서 민주연합을 택했다. 조국혁신당을 선택한 응답은 민주당 지지층에서 29.8%, 이수진 후보 지지층 중 32.8%로 나왔다. 국민의미래의 경우 국민의힘 지지층 83.2%, 윤용근 후보 지지자 77.4%의 선택을 받았다.

비례대표 정당 지지도의 세대별 편차도 뚜렷했다. 만 18세에서 29세의 경우 민주연합 지지가 33.2%인 반면, 조국혁신당은 3.4%에 불과했다. '없음'은 43.0%에 달했다. 30대도 민주연합이 41.3%의 지지를 모았으나, 조국혁신당은 5.7%에 그쳤다. 40대에서는 민주연합(39.3%)과 조국혁신당(30.7%)의 격차가 많이 줄었고, 50대에서는 27.1%대 36.5%로 조국혁신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높았다. 

국민의미래는 60대(37.6%)와 70세 이상(47.9%)에서 다른 정당들보다 확고한 우세를 보였다. 50대에서는 28.0%로, 27.1%의 민주연합과 비등했다. 만 18세부터 29세(16.9%), 30대(15.2%)와 40대(18.9%)에서는 모두 10%대 지지에 그치며 다소 열세였다.

사전투표, 진보 55.6%-중도 47.2%-보수 38.1%

투표 의향이 있는 유권자들 사이에선 사전투표와 본투표 비중은 거의 비슷했다. 사전투표에 나서겠다고 응답한 이들은 44.5%였고, 본투표에 참여하겠다고 나선 이들은 44.7%로 불과 0.2%p차였다. 아직 정하지 못한 이들은 10.6%, '모름/무응답'은 0.1%였다.

이념성향별로 사전투표와 본투표 의향이 엇갈리는 경향은 이 지역구에서도 확인됐다. 보수층에서 사전투표 의향을 밝힌 이들은 38.1%로, 본투표 참석 의향을 내비친 48.7%에 비해 적었다. 보수층의 13.2%는 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투표일을 아직 정하지 못했다.

반면, 투표의향을 밝힌 진보층은 55.6%가 사전투표하겠다고 나섰고, 본투표를 택한 응답은 36.8%였다. '아직 정하지 못했다'라는 응답은 7.6%였다. 중도층에서는 사전투표 47.2%, 본투표 43.5%였다. 투표일을 고르지 못한 중도층은 8.9%였다.

이번 여론조사의 자세한 결과는 KSOI 혹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수진 #윤용근 #성남중원 #여론조사 #410총선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4. 4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