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윗대가리만 잘하면 세계 일등 국가 '혜양사'

[섬에서 함께 놀자] 경남 거제도 노자산 혜양사

검토 완료

임현철(limhyunc)등록 2016.07.26 11:29

경남 거제도 노자산 혜양사 관음전입니다. ⓒ 임현철


종입니다. 금수저님들, 도열 스님의 시조 '종'을 통해 한 수 배우시기 바랍니다. ⓒ 임현철


"이 세상에 내 것이 어디 있나 사용하다 버리고 갈뿐이다!" -구인사 대조사 설법 중에서-

맞습니다, 맞고요. 그런데 마치 모든 게 제 것인 마냥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안하무인' 금수저죠. 이런 삶은 처절한 고행이 필요합니다. 철드는 것도 인연 닿아야 가능하지만 그래야 비로소 철이 들어 '겸손한' 금수저가 되지요. 금수저, 말로는 "국민의 종이다!"면서 실상은 국민 위에 군림하는 황제. 여보시게, 금수저들. 시조 읽고 '종'의 참뜻 새기시게.

       종
                           도열스님(거제 혜양사 주지)

   언제나 내 곁에는 몽둥이가 누워있고
   나 보고 어쩌라고 이렇게 치는 건지
   도움이 되신다면은 백 번 맞아 죽으리다

   오늘도 매 맞으며 울고 서 있지 않소
   이 몸이 떨고 떨어 갈기갈기 찢어져도
   임들이 성불한다면 그 뿐인가 하리다

   여명이 빗장 끌러 해돋이가 뜰 때면
   새들은 좋다고 서 하늘 높이 날건만
   목매여 달려있느라 풀어야 할 실마리

어느 절집이 이렇게 친절히 안내할까? '혜양사'

노자산 혜양사 산신각으로 가는 길에 핀 수국. 7월의 거제도는 수국 천지입니다. ⓒ 임현철


거제도 노자산 혜양사의 산신각, 독성각, 용왕각은 바다 속 용궁 아닌 산 속 용궁 같다는... ⓒ 임현철


거제도 노자산 혜양사. 어쩌다 발걸음이 머물렀을까. 단지 인연에 따랐을 뿐입니다. 다른 절집에선 느끼지 못한 신선함이 있습니다. 절집 입구에서부터 뭔지 모를 묘한 설레임. 근본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그냥 가슴이 콩닥콩닥 뛰었습니다. 꼭 첫사랑과 대면하는 느낌. 왜 그랬을까?

"옥을 가는 그 마음으로 시 한수를 읽으면 얻는 것은 여의주로 저 하늘의 별 따리"

노자산 혜양사와 만다라화 시(詩) 공원을 알리는 안내판 글귀입니다. 이런 마음으로 살면 누구든 생불(生佛) 되겠지요. 노자산(老子山, 565m)은 "불로초 산삼이 있는 절경지에 살기 때문에 늙지 아니하고 신선이 된다 해 생긴 이름"입니다. 또한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 원목이 모두 이곳 후박나무와 자작나무다"고 하네요. 절집 입구에서 괜히 설레였던 게 아니었습니다.

"소망스런 여의주를 구하시렵니까/ 저마다의 뜻을 이뤄보시게/ 산신각 독성각 용왕각으로 가는 길/ 그대가 오시기를 기다리실 겁니다."

절집으로 가는 곳곳에 안내판이 있더군요. 어느 절집에서 이렇게 친절히 대하며 안내할까? 주지스님이 시인이라더니 달라도 한참 달랐습니다. 안내대로 대웅전 가기 전에 산신각, 독성각, 용왕각부터 들렀습니다. 가는 길, 수국이 피었습니다. 거제의 7월은 수국 천지입니다.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립니다. 건물 세 채가 옹기종기 모였습니다. 이 무슨 역설일까. 바다 속 용궁 아닌 산 속 용궁 같다는.

나무 서만 있어도 '덕'이 좔좔, 우리네 인간은…

거제도 혜양사 만다라화 시 공원에는 주지스님이 쓴 시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 임현철


나무, 그 자리에 서만 있어도 덕입니다. 우리네 인간은... ⓒ 임현철


대웅전 가는 길, 안내판처럼 보이는 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 이 뭘꼬? 찬찬히 들여다봅니다. 만다라화 시(詩) 공원이 있다더니 그것 같습니다. 읊조리는 투를 보니 시조 운율입니다. 자신의 마음을 투영한 작품 중, 그의 수행 정도를 가늠할 시조를 읽습니다.

       수   도
                       도열스님(거제 혜양사 주지)

   속 때를 씻으며 마음을 갈고 닦아
   술고담 안 드시는 청정한 몸과 마음
   탐진치 다 비우시니 티 없는 백옥일세

   벌 속의 진탕에도 물 안 드는 연꽃처럼
   금욕을 낙을 삼아 하늘을 바라보며
   인고로 수행하심은 별 중에 달일까

   지혜등불 켜들고 무명 속에 헤어나
   고통 받는 저 산 아래 빛의 손길 내리시어
   어둡고 메마른 중생 고해바다 배가 되리
                         <주 : 술고담 - 술, 고기, 담배의 준말. 시조 운율 상 글자 수 줄임>

'어쭈구리~'를 넘어 주옥같이 번뜩입니다. "번뇌는 별빛이라~"던 만해 한용운 스님을 떠올립니다. 이쯤이면 작가 스님 얼굴 뵙는 게 예의지요. 이에 앞서 관음전에 듭니다. 중생이 숨 쉬는 법당 공간에서 삼배 예를 차립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무량수전으로 향합니다. 많은 적송 덕분에 눈이 호강합니다. 나무는 아무렇지 않게 서 있어도 '덕'이 좔좔 흐릅니다. 우리네 인간은….

대한민국은 윗대가리만 잘하면 세계 일등 국가

거제도 혜양사 도열 스님입니다. ⓒ 임현철


깨우침, 별 거 아닌데 참 별 겁니다. 인연법에 따라 다 들통날 줄 모르고 기고만장이라니... ⓒ 임현철


"아무리 주인이 없다 해도 그렇지. 어떻게 그렇게 드러 내놓고 해먹을 수 있는지. 주인이 있다면 그렇게 못해 먹을 거야."

10여 년 전, 금수저들의 못된 행태를 지켜보던 이가 참다못해 넋두리 하듯 내뱉은 말입니다. 조선업의 본고장 거제도를 구조조정 태풍 속으로 들이민 일등공신 대우해양조선. 그들은 분식회계로 한바탕 자기들만의 성대한 파티를 열었습니다. 직원부터 대표까지 수조원에 이르는 액수를 꿀꺽했더군요. 마치 제 것인 듯. 이를 감시하고 또 감시해야 할 국책은행마저 뒷짐 지고 있었다니 어처구니없습니다. 세상, 내 것이 없거늘….

요즘 화젯거리는 단연 해먹은 소식입니다. 검사, 기업가, 권력 등 끼리끼리 잘도 해쳐먹었습니다. 국민들은 알면서 모른 체 할 뿐. 녀석들은 요걸 모르대요. 대한민국은 윗대가리들만 잘하면 세계 일등 국가지 말입니다. '님하, 저 불쌍한 중생들을 굽어 살피소서!' 못난 금수저들에게 바랍니다. 절대자가 '왜?' 인간에게 한계를 줬는지, 함 살펴봅시다.

       유한 속에 살다
                              최도열 스님

   놀고먹으려 할까 봐 충만치 않게
   과욕을 부릴까 봐 유한 속에 살게
   영생도 추구하지만 생사가 있게

   출몰하는 해 달 속에 오가는 뜬 구름산
   자연의 섭리온데 막을 자가 있을까
   바람은 요동치느라 뒤흔드는 바닷물

절집, 무량수전에 앉아 비 소리 가슴으로 듣다!

경남 거제도 혜양사 무량수전 측면의 단청과 문 등이 참 단아합니다. 이렇게 단아하게 살았으면... ⓒ 임현철


거제 혜양사 무량수전에 모신 부처입니다. ⓒ 임현철


무량수전을 기웃거렸습니다. 정면 기둥에, 먼저 읽었던 시조 행들이 쓰였습니다. 무량수전 오르는 계단에는 신발 두 켤레가 위아래로 가지런히 놓였습니다. 무량수전을 좌측으로 돌아들어 벽면을 봅니다. 단청, 탱화에 입이 쩍 벌어집니다. 드나드는 문까지 단청과 탱화와 잘 어울립니다. 참 단아합니다. 정결하고 곱디고운 아낙이 쓰는 정갈한 반짇고리 같은 느낌이랄까. 입구와 시조에 이어 또 벅차오릅니다. 도란도란 말소리가 들립니다.

"처음 오셨어요? 제가 안내 하지요."

인연이었을까. 그가 나섰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안내지만 받기로 했습니다. 굳이 베풀겠다는 호의를 마다할 필요 없으니까. 스님, 뭐라 열심히 말씀하십니다. 허나, 전혀 기억 없습니다. 아마도 부처님이 귀를 막으셨나 봅니다. 스님과 마주앉았습니다. 고요한 절집, 무량수전에 앉아, 비 내리는 소리를 가슴으로 듣습니다. 그가 시집을 선물합니다. 눈에 들어오는 시조 하나. 제목만 봐도 얼굴이 화끈합니다. 내용은 그게 아니지 말입니다.

       나    체
                        최도열 스님

   섬 바위에 저 물새는 그 무엇을 생각할까
   창파에 고기들은 왜 저리도 뛰 솟을까
   바람에 물결이인 양 너울거린 실안개

   그 뭣을 보이려고 나체로 홀딱 벗고
   곱상스레 짝 뻗고서 저렇게도 누웠는지
   해초도 가리지 않고 맨송해진 해안선

   가공을 하연 듯이 천조로운 수평선은
   천상에 은하수로 칸막이를 하였거늘
   가뭇히 뚫어 본다고 내 가슴이 트이랴

세상에 내 것은 어디 있을꼬? 세상, 오늘도 헤매고 있습니다. 무릇, 중생이란?

혜양사 무량수전에 도열 스님과 마주 앉아 비 소리 듣습니다. ⓒ 임현철


덧붙이는 글 제 SNS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