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최동단 독도의 딸!

독도주민 김성도씨 차녀 김진희씨

검토 완료

정승화(hongikin21)등록 2018.04.06 17:53

독도의 딸 독도 주민 김성도씨 차녀 김진희씨 ⓒ 정승화


몸은 육지에 있어도 마음은 늘 바다건너 한반도의 최동단에서 손짓하는 독도로 향하는 사람. 한반도의 막내섬, 괭이갈매기와 민들레, 곰솔이 어우러진 외로운 섬 독도를 고향으로 둔 이가 있다.

독도의 유일한 주민 김성도씨 부부의 둘째딸 김진희씨(46). 독도를 고향으로 둔 그녀의 뿌리 깊은 독도사랑은 남다르다.

"태생적이라고 할까요. 어쩌면 운명일지도 모르죠. 독도의 유일한 주민 아버지의 딸로 태어난 숙명적 인연이 제 삶에서 독도를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세 아이의 엄마로 포항에서 가정주부로 살아가면서도 그녀의 독도지킴이 활동은 변함이 없다. 부친 김성도씨의 1남2녀중 차녀로 태어난 그녀는 지난 1991년부터 부모님이 독도로 주민등록을 옮긴 이후 자연스럽게 독도의 딸이 되었다.

"어린 시절 울릉초등학교와 울릉중학교를 다니면서도 주말이나 방학 때만 되면 독도로 들어갔어요. 섬이 좁아 괭이부리갈매기들이 길가 곳곳에 알을 놓아 둔 것이 참 신기했어요. 동생과 함께 섬 일대를 샅샅이 누비며 뛰어놀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코흘리개 아이들이 한반도 최동단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것은 언뜻 낭만적으로 보이지만 독도만큼이나 외로운 시간들을 보낸 흔적이 그녀의 온몸에서 묻어난다.

"먹고살기 위해 힘든 어부의 길을 선택한 아버지가 밉기도 했지만 독도유일의 주민이라는 자부심을 성장하면서 깨닫게 됐어요. 언론에 너무 노출돼 가족들이 힘든 적도 많았지만 아무도 하지 않는 애국의 길을 실천한다는 자체가 자랑스러웠어요."

독도 동도와 서도 ⓒ 정승화


지금 그녀는 '독도의 딸' 답게 독도지킴이 민간대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연로하신 부모님을 도와 독도사진이 그려진 셔츠 등 기념품 판매 업무에 매진하고 있는 것. 또 '독도사랑카페'와 밴드 등 SNS를 통한 독도사랑운동을 펼쳐나가는 것도 가정주부인 그녀가 할 수 있는 독도사랑운동이다.

"지난 2013년부터 독도기념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수익은 적어요. 그래도 아버지가 독도1호 사업자가 되면서 세금을 내게 돼 독도가 대한민국 땅임을 대내외에 알리는 선언적인 의미가 있어 자긍심을 갖게 됩니다."

거친 동해의 세찬 바람을 온몸으로 맞으며 외롭게 서 있는 독도의 곰솔처럼 그녀도 이제 팔순의 부모님을 돕기 위해 오는 4월부터 독도로 들어갈 채비를 한다고 말했다.

"부모님들이 팔순의 나이가 되니까 거동이 불편하고 자꾸 건강이 나빠져 자식으로서 걱정이 됩니다. 몸이 편찮으실 때는 포항에 있는 저희 집으로 모셔와 병원을 다니고 있는데 그럴 때는 독도의 집이 비어 있어 제가 들어가기로 했어요. 누군가는 지켜야 하니까요. 저의 운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여자의 몸으로, 세 아이의 엄마로 살아가는 그녀가 외로운 섬 독도를 지키기 위해 고향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시인 정호승이 쓴 <수선화에게>란 시처럼, 외로움을 찾아가는 그녀의 선택이 정작 외롭지 않은 사람의 길임을 말해주는 듯 묘한 여운을 남긴다.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 견디는 일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내리면 눈길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속을 걸어라
갈대 숲 속에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가끔씩 하느님도 눈물을 흘리신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산 그림자도 외로움에 겨워 한 번씩은 마을로 향하며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서 우는 것도
그대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그대 울지 마라

- 정호승 <수선화에게>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경북뉴스통신에도 실렸습니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