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 #1] "남의 차를 파손했는데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어쩌지?"


▲ 차 앞 유리에 남긴 메모지
ⓒ 정도길
아침 출근길에 자기 차량이 파손되어 있는 걸 본다면, 여러분은 어떤 기분이 들겠습니까?

제가 지난주에 겪은 일입니다. 먼 길을 출장을 가야 했기에 새벽 4시에 일어나 준비를 했습니다. 자동차에 올라 시동을 거는 순간 유리창에 붙어 있는 종이를 발견했습니다.

"차주님 저희 아저씨 부주의로 본의 아니게 차를 박았습니다. 연락을 드렸지만 받질 않아 메모 남깁니다. 찌그러진 부분 저희가 잘못했으니 연락 주세요! 정말 너무 죄송해요!"

메모지를 보고 자동차의 이곳저곳을 살펴보니 앞 범퍼와 바퀴 흙 받이 부분이 찌그러지고 백미러는 꼼짝도 하지 않았습니다. 순간 화가 났습니다. 올해 초 10년 넘게 탄 차를 팔고 큰맘 먹고 새로 구입한지 다섯 달도 되지 않은 차였기 때문입니다.

출발하기에 앞서 메모지에 적힌 번호로 전화를 하려다가 아직 새벽녘이라 잠을 잘 것이라는 생각에 그냥 말았습니다. 출발하고 한동안 운전만 열심히 했습니다. 차츰 마음이 편안해지고 차를 파손한 그 사람이 누구일지 궁금해졌습니다. 요즘 같이 각박한 세상에 그냥 모른 체 도망가지 않고, 메모지를 남긴 이런 사람이 또 있을까 싶었습니다.

7시간 만에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메모지에 담긴 연락처로 전화를 하니 차를 파손한 사람의 아내가 전화를 받았습니다. 수리비는 전적으로 부담하겠다는 말과 함께 연신 미안하다는 말을 했습니다. 오히려 제가 미안함이 들 정도였습니다.

정비공장에 차를 맡기고 수리비 문제로 다시 연락을 했습니다. 차를 파손한 사람과 한참 통화를 하는데 저쪽에서 "혹시, 정 선생님 아니십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렇다고 하니 "저 모르겠습니까, 저 OO입니다"라며 소개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오래 전에 알았던 동생뻘 되는 사람이었습니다.

"내 차인 줄 알았냐?"고 물으니 몰랐다고 합니다. 그래서 "야 임마! 그냥 도망가지, 너같이 양심 있는 사람이 아직도 있냐?"며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대화를 마무리했습니다. 이제 며칠 동안 버스를 타고 출퇴근해야 할 것 같습니다. 불편하지만 참을만합니다. 양심 있는 사람 때문에 기분이 좋아졌기 때문입니다.

(출처 : 정도길 기자의 "너같이 양심 있는 사람이 아직도 있냐?" ☞기사 원문 보기)

이번 기사로 다음과 같은 교육자료를 만들었습니다

1. 주제는 '사회 규범'입니다.

2. 통합교과 영역은 도덕, 사회, 윤리, 법과 사회입니다.

3. 학년별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3학년 : 법과 사회-사회 규범과 사회 생활
고등학교 2학년, 3학년 : 윤리-인간의 삶과 자아실현
중학교 3학년 : 도덕-도덕적 갈등 상황
중학교 2학년 : 사회-법의 지배와 정의
중학교 2학년 : 도덕-현대 사회의 전통 도덕
중학교 1학년 : 도덕-양심과 도덕
초등학교 5학년 : 도덕-정직한 행동 / 천선채


▲ 마음속의 선과 악의 갈등 <초5 도덕 교과서>
ⓒ 교육부
1. 이 글이 글쓴이나 우리에게 흐뭇한 미소를 전해주는 것은 글쓴이의 표현대로 차를 파손한 사람이 '그냥 모른 체 도망가지 않고, 메모지를 남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자신이라면 메모지를 남길 때 어떤 마음의 갈등을 겪게 될지 발표해 보세요. (중1:도덕-양심과 도덕/중2:도덕-현대 사회의 전통 도덕/중3:도덕-도덕적 갈등 상황)

2. 한 사회의 질서를 바르게 유지하는 사회적 규범에는 법이나 예절, 도덕, 관습 등이 있습니다. 위 기사에서 양심과 가장 관련이 깊은 도덕규범을 실천하고 있는 대목은 어느 부분인지 다음 글에서 찾아 밑줄을 그어 보세요. (중1:덕-관습, 법, 예절, 도덕의 관계/고2·3:법과 사회-사회 규범과 사회생활)

ⓒ 천선채

3. 법이나 예절, 도덕 등과 같은 사회적 규범들 중 알맞은 말을 다음 글의 빈 칸에 써 넣으세요. (초5:도덕-정직한 행동/중1:도덕-관습, 법, 예절, 도덕의 관계/중2:도덕-현대 사회의 전통 도덕/고2·3:법과 사회-사회 규범과 사회생활)

ⓒ 천선채

4. '법은 도덕의 최소한이다'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쓰세요. (중1:도덕-관습, 법, 예절, 도덕의 관계/중2:사회-법의 지배와 정의/고2·3:법과 사회-사회 규범과 사회생활)




5. 다음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어떤 믿음에 관한 글입니다. 이 글 속의 '삼각형'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200자 내외의 글을 쓰세요.

ⓒ 천선채
6. 차를 파손한 사람에게 전하는 답장 메모지를 하나 작성해 보세요.

▲ 답장 메모지
ⓒ 천선채

한글 기사로 영어 공부까지
스키마 영어 (고)

한글기사의 배경지식(Schema)을 영어 공부로 이어갑니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은 훨씬 이해가 잘 되는 법이지요. 한글기사와 위 문제풀이 과정에서 얻은 <사회 규범>들에 관한 지식을 영어 공부에 적용하세요. / 천선채


Law(법), Morality(도덕), Etiquette(예절) 등은 사회 공동체를 온전하게 영위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의 동의에 의해 마련된 사회 규범들입니다. 또한 Conscience(양심)는 모든 사회 규범들에 관여하는 내면의 목소리(voice within)입니다. 다음 영어 글은 이들 중 어떤 사회 규범을 설명하고 있는지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써 넣으세요.

1. (____________) is typically administered through a system of courts in which judges hear disputes between parties, and apply a set of rules in order to provide an outcome that is just and fair.

2. (____________) deals with that which is regarded as right or wrong.

3. (____________) is a moral faculty that leads to feelings of remorse when we do things that go against our inbuilt moral precepts.

4. (____________), also known as decorum, is the code that governs the expectations of social behavior, the conventional norm.


지문에 나오는 영단어

administer:시행(집행)하다, dispute:분쟁·쟁의·논쟁, apply:적용하다, outcome:결론·결과
just, fair:올바른·공정한·공평한·편견 없는, deal with-:-을 다루다·처리하다 right or wrong:옳거나 그름, faculty:(지적·정신적)능력, lead to-:-을 일으키다·발생시키다, remorse:양심의 가책·죄책감·후회, inbuilt=built-in:타고난·고유의·본래의, precept:(도덕적) 가르침·교훈, govern:-의 기준(선례)가 되다·(원칙, 법칙을) 지배하다·통치하다, conventional:전통적인·관습적인, norm:규범·모범·표준·기준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과거에는 선택 받았던 일부 계층들만 발표의 기회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제는 누구나 표현과 발표의 기회를 갖게 된 세상입니다.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의 발전을 확신합니다. 오마이뉴스 시민기자제를 응원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