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4월 29일자 1면. 중앙에 흰부분이 로버슨 부부의 사건을 다룬 기사. 법원의 보석 결정으로 제임스씨가 두 경관의 부축을 받아 나오는 사진이 보인다.
ⓒ 달라스모닝뉴스
지난 25일(화) 오전 10시경 미국 달라스의 한 주택에서 할머니가 총에 맞아 숨졌다. 피살자는 메리 로버슨(83)씨.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들은 남편 제임스 로버슨씨가 범행에 사용한 권총을 발견했고, 그에 의한 부인의 '안락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출입문에 남겨진 쪽지에 의하면, 제임스씨는 아내를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할 계획을 세웠다. 아내를 먼저 겨눈 방아쇠는 자신에게도 향했지만 권총이 고장나 미수에 그쳤다. 이웃 주민들에 의하면 부인 메리씨는 91년부터 중풍으로 몸을 전혀 가누지 못하는 상태였고, 제임스씨마저 말기 암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의 이웃이자 훌륭한 부부

이 충격적인 소식이 알려지자 사람들은 경악했다. 50년 이상 이 부부를 알고 지내왔던 한 이웃은 그의 인내심과 그가 택한 방식에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이웃들의 반응도 비슷하다. 비보에 충격을 받았지만 제임스씨를 동정하는 분위기다.

경찰들은 이 사건의 동기에 대해 "제임스씨가 자신이 죽은 후 부인이 요양원으로 보내지는 것을 원치 않았거나 아니면 자신의 도움이 없는 상황에서 부인 혼자 살아가는 상황을 원치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추측은 딸인 샐리씨의 견해와도 일치한다. 그녀는 "아버지는 평소에 내가 어머니를 돌볼 수 없을 것과 그가 죽고 나면 어머니는 결국 요양원에 들어가게 될 것을 원치 않으셨다"고 말했다.

끝나지 않은 문제

제임스씨의 행동은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고 엄청난 법적·윤리적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존엄한 죽음(death with dignity)'대 '생명의 신성함(sanctity of life)'이라는 주제가 사랑을 매개로 맞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출처 : "아내를 향해 방아쇠를 당긴 남편"기사 원문 보기)

이번 기사로 다음과 같은 교육자료를 만들었습니다.

1. 주제는 ‘안락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가치 갈등’입니다.

2. 통합교과 영역은 도덕, 사회문화, 윤리, 철학입니다.

3. 학년별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2.3-철학/윤리-서양윤리
고2.3-사회문화-가치관과 사회 발전
중3-도덕-인간의 삶과 가치 갈등
중1-도덕-인간다운 삶의 자세
초5-도덕-서로 다른 주장 / 천선채


함께 생각해봅시다

▲ 교과서 그림
ⓒ 고등학교 법과 사회 교과서 (교학사)
세계적으로 안락사 허용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시아보' 사건과 의사 '케보키언' 사건이 좋은 예다. 시아보 사건은 15년간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아내 '시아보'의 급식 튜브를 남편이 제거하기를 원하면서 남편과 생명존중 단체들 사이에 안락사 논쟁을 일으킨 사건이다.
(관련 기사 :"갈팡질팡 미 '식물인간 튜브 제거' 논쟁"기사 원문 보기)

또 미국의 의사 케보키언은 약 50∼200여명의 환자를 안락사시키면서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안락사 논쟁의 불을 지폈다. 그는 현재 2급 살인죄를 선고받고 미시간주에서 복역 중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는 '자비로운 천사'나 '죽음의 악마'로 극단적으로 갈리고 있다.

이처럼 안락사 허용 여부에 대한 문제는 오늘날 우리가 겪는 가치 갈등의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다. 혹자는 어떠한 경우든 사람의 생명을 인간이 결정할 수 없다는 생명의 존엄성을 주장하고, 또 한쪽에서는 고통의 중지와 품위 있는 죽음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에서의 가치관의 갈등은 개인과 개인간에, 개인과 집단간에 그리고 집단과 집단 사이에서 점점 더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안락사에 대한 시각을 정리하면서 가치관의 갈등에 따른 교육 자료를 구성해 본다.

1. 다음 자료를 참고하여 안락사(安樂死, euthanasia)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무엇이 문제인지를 간단히 정리하시오.

▲ 백과사전과 교과서의 안락사에 대한 개념 정리
ⓒ 백과사전. '법과사회(교학사)
2. 가치 갈등이 일어나는 원인은, 사회에는 가치관과 사고방식이 다른 많은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기 때문이다. 안락사 문제는 개인 내부의 갈등일 수도 있고, 개인과 종교 집단 간의 갈등일 수도 있다. 최근 자신이 직접 겪었거나 보고 들은 가치 갈등의 예(언론의 월드컵 보도 태도. 양심적 병역 거부 등)를 발표해 보자(초5-도덕-서로 다른 주장/중1-도덕-인간다운 삶의 자세/중3-도덕-인간의 삶과 가치 갈등/고2.3-사회문화-가치관과 사회 발전).

3. 다음은 고등학교 교과서 ‘윤리와 사상’에 나오는 칸트와 벤담의 윤리관을 정리한 글이다. 두 사람의 관점 중 하나를 논리의 기준으로 삼아 제임스 로버슨씨의 행동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글을 800자 내외로 쓰시오(고2.3-철학/윤리-서양윤리).

▲ 공리주의와 칸트의 윤리관
ⓒ 천선채

한글 기사로 영어 공부까지
스키마 영어 (고)

한글기사의 배경지식(Schema)을 영어 공부로 이어갑니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은 훨씬 이해가 잘 되는 법이지요. 한글기사와 위 문제풀이 과정에서 얻은 <안락사>와 <가치갈등>에 관한 여러 지식을 영어 공부에 적용하세요. / 천선채








Euthanasia is either painlessly putting to death or failing to prevent death from natural causes in cases of terminal illness or irreversible coma. The term comes from the Greek expression for "good death." Technological advances in medicine have made it possible to prolong life in patients with no hope of recovery.
Much debate has arisen in the United States among physicians, religious leaders, lawyers, and the general public over the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actively causing death and what constitutes merely allowing death to occur naturally.
Popular movements about euthanasia have supported the legalization of the living will. The living will is the legal document written by a patient that expresses in advance a wish to refuse artificial means to sustain life during terminal illness.
In 1993, the Netherlands decriminalized, under a set of restricted conditions, voluntary positive euthanasia (essentially, physician-assisted suicide) for the terminally ill, and in 2002 the country legalized physician-assisted suicide if voluntarily requested by seriously ill patients who face ongoing suffering.
The dilemma, which to choose ‘death with dignity’ or 'sanctity of life', continues among the persons concerned and still gives rise to much controversy.

1. 위 영문 글을 잘 읽고 euthanasia의 의미를 정리해 쓰세요.

2. 위 영문 글을 잘 읽고 living will이 무엇인지 정리해 쓰세요.

3. 네덜란드가 안락사에 대해 취해온 법률적 조치를 정리해 쓰세요.

4. euthanasia를 놓고 벌어지는 dilemma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쓰시오.

지문에 나오는 영단어

put to death:죽게하다. 죽음에 이르게 하다. fail to-:-하지 않다. prevent:막다. 금지하다. terminal illness:
irreversible:회복 불가능한, 뒤집을 수 없는 terminally illness:(의학) 말기의 병 coma:의식불명 상태 term:용어, 말 prolong:연장하다. constitute:구성하다.-을 성립시키다. what constitutes actively causing death:무엇이 적극적으로 죽음을 유발시키는 구성(법률적, 의학적측면의) 요소인가 what constitutes merely allowing death to occur naturally:무엇이 그저 죽음이 자연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요소인가 legalization:합법화, 법률화 in advance:미리 artificial:인위적인, 인공적인 sustain:유지(지탱)하다. give rise to-:-을 일으키다. controversy:논쟁 decriminalize:범죄화하지 않다. 처벌대상에서 제외하다. restricted:제한된 positive euthanasia:적극적 안락사 physician-assisted suicide:내과의사의 도움 하에 이루어진 자살 suffering:괴로움, 고통 concerned:관계자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과거에는 선택 받았던 일부 계층들만 발표의 기회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제는 누구나 표현과 발표의 기회를 갖게 된 세상입니다.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의 발전을 확신합니다. 오마이뉴스 시민기자제를 응원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