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갯벌에 쓰레기 파묻은 조선소... 현장 발굴 '충격' 공유수면을 불법 매립해 국유화조치 논란을 겪고 있는 보령의 (주)대형조선소가 이번에는 토양이 유해 중금속에 심각하게 오염돼 있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 김봉덕

관련영상보기

 
공유수면을 불법 매립해 국유화조치 논란을 겪고 있는 충남 보령의 (주)대형조선소가 이번에는 토양이 유해 중금속에 심각하게 오염돼 있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대형조선소 주민대책위는 19일 이 조선소가 위치한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6월21일 환경운동연합 산하 (사)시민환경연구소에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 내용에 따르면 (사)시민환경연구소는 대형조선소 일대의 토양시료 16개, 지하수 3개, 침출수 1개, 페인트 및 선박 슬러지 6개, 생물시료 2개 등 28개 시료의 성분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토양시료 16개중 10개가 오염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소 일대 토양(갯벌)에서 채취된 토양시료에서 ㎏당 616㎎의 납이 검출돼 토양오염 우려기준치의 6배를 넘었으며, 구리는 ㎏당 2천830㎎이 나와 우려기준치를 14배 이상 초과했다.

 

이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이 농사를 짓고 있는 매립지 주변의 고추밭 등 농경지 토양사료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카드뮴(Cd)과 구리(Cu)가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더욱 충격적인 결과는 이날 발표된 토양 오염조사 결과에 이은 불법폐기물 매장 여부 조사였다.

 

주민대책위와 민주노동당 충남도당, 충남환경운동연합은 보령시 입회하에 불법 폐기물이 매립돼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몇 개의 지점에 대해 현장에서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선박건조시 녹을 제거하는 샌딩작업 후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는 녹슨 철가루를 비롯 FRP 잔해, 페인트 찌거기 등이 곳곳에서 발견됐다.

 

지난 2004년부터 공유수면 불법매립으로 수차례 고발과 함께 원상회복 명령까지 받고, 검찰에 사업자인 이아무개씨가 구속되는 등의 과정 속에서 지역민들의 끊이지 환경피해가 눈으로 확인된 것.

 

이에 대해 이날 현장에 참여한 한 지역민은 “우리가 끊임없이 요구한 환경문제가 방송사의 카메라와 여기에 모인 사람들의 눈으로 직접 확인된 것이다”면서 “왜 이제야 그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관계당국이 반성해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장조사에 참석한 보령시 관계자도 “선박제조 공정중에 샌딩작업하고 나온 폐기물이 맞으며 이것은 이곳에 매립할 대상물이 아니고 불법매립된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불법 매립량을 파악 후 관련법에 따라 조치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관련 지자체인 보령시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날 불법폐기물 매장 여부 조사도 지난 11일 지역민들의 민원이 지속되자 해양수산부가 관련기관인 충남도와 보령시, 주민대책위, 대형조선측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진 가운제 제시된 것.

 

즉각적인 불법매립지 원상복구와 조선소 사업면허 취소 및 토지 임대 금지 등을 내세우고 있는 지역주민, 그리고 이 사안에 대해 국정감사 추진 및 대정부 차원의 강력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는 민주노동당이 요구사항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대형조선(주)의 불법매립 사태가 앞으로 어떻게 해결될 지 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영상뉴스 www.cnnews.co.kr 에도 게재됩니다


태그:#불법조선소, #보령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