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가보훈부는 오는 11월 17일,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워싱턴 회의'를 앞두고 만세 시위를 이끈 양일석 선생,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일본의 천황제와 식민 통치를 정면 비판한 민병구 선생, 조선총독부의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옥중 순국한 최인규 선생 등 6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

양일석 선생은 1921년 11월, 전남 목포에서 사립 영흥학교 재학 중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비 축소 관련 국제회의인 '워싱턴 회의'가 열리자 한국 독립 문제의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법정에서 '독립운동은 평소 소신'이라고 당당히 밝혀 한인 청년의 넘치는 기개와 독립운동에 대한 변함없는 확신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매일신보> 1921년 12월 24일자 중 양일석 선생 관련 부분. 선생이 법정에서 판사의 심문에 “피고는 조선 청년으로 독립을 희망하는 마음은 이전부터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매일신보> 1921년 12월 24일자 중 양일석 선생 관련 부분. 선생이 법정에서 판사의 심문에 “피고는 조선 청년으로 독립을 희망하는 마음은 이전부터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 국가보훈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민병구 선생은 1933년 부산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조선총독부의 민족 차별적 학교 교육에 반대하는 동맹휴교에 참여하다 무기정학을 받았고, 1939년 일본 야마구치 고등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여우회') 활동으로 체포되는 등 식민지하의 억압적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학생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최인규 선생은 1940년, 강원 삼척군에서 천곡교회 권사로 재직 중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고 옥중 순국하였다. 특히, 국가보훈부는 일제 말기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옥중 순국한 분에 대해 포상기준을 새롭게 마련하였으며, 최인규 선생은 이에 따른 첫 번째 서훈 사례이다.

또, 신문 배달로 생계와 학업을 이어가면서도 동료 유학생들에게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 실현 방안을 협의한 강재은 선생(애족장), 영‧호남을 누비며 의병운동을 확산시킨 이양호 선생(건국포장), 예산군 3.1운동의 단초를 제공한 전혁규 선생(대통령표창), 고령에도 임시정부를 돕고자 발로 뛰며 군자금을 모집한 안청숙 선생(대통령표창) 등도 독립유공자 포상이 이뤄진다.

이번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1명(애족장), 건국포장 3명, 대통령표창 53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7명이다.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후손에게 수여된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포상된 1949년부터 이번 순국선열의 날까지 1만 7,915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되며, 이 중 건국훈장 1만 1,721명, 건국포장 1,519명, 대통령표창 4,675명이고, 여성은 660명이다.
   

태그:#독립유공자, #국가보훈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