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지를 팔아먹지 마라 결코 팔아먹지 마라
혼절 속에 들려오던 아버님 말씀 새기던 나날

광야의 육사도 그렇게 외롭게 죽어 갔으리
뼈 삭는 아픔
숯 검댕이 영혼 부여잡으면서도
그러나 결코 비굴치 않았으리라

먼데 불빛처럼 들려오는 첫 닭 우는 소리를
어찌 육사 혼자 들었으랴.
                         - 이병희(1918.~2012) 애국지사 시 가운데-


동포들아 자유가 죽음보다 낫다
목숨을 구걸치 말고 만세 부르자
졸업장 뿌리치고 교문 밖 뛰쳐나온
열일곱 소녀

무안거리 가득 메운 피 끓는 심장소리
뉘라서 총칼 겁내 멈춰 서랴

항구의 봄바람
머지않아 불어오리니
삼천리 금수강산에 불어오리니
                       -김귀남(1904~1990) 애국지사 시 가운데-


의성 김 씨 김진린의 귀한 딸 시집와서
남편 이중업과 두 아들 동흠 중흠 사위마저
왜놈 칼 맞고 비명에 보낸 세월
쉰일곱 늘그막에 기미년 안동 예안 만세운동 나간 것이
무슨 그리 큰 죄런가

갖은 고문으로 두 눈 찔려 봉사 된 몸
두 번이나 끊으려 한 모진 목숨 11년 세월
그 누가 있어 한 맺힌 양가(兩家)의 한을 풀까?
                         -김락(1863-1929) 애국지사 시 가운데-


이 시들은 필자가 지난 십수 년 동안 여성독립운동가들을 기리며 쓴 시 가운데 일부다. 2019년 3.1만세운동 100돌이 되는 해 필자는 200명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삶과 그들의 독립운동과 관련한 이야기를 시로 풀어낸 시집 <서간도에 들꽃 피다>(전10권)을 낸 바 있다. 말이 시집이지 이 책은 여성독립운동가 한분 한분의 삶을 조명한 역사책에 가깝다. '한 편의 시로 여성독립운동가 한 분 한 분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이 작업이 날개를 달게 된 것은 한국화 작가 이무성 화백을 만나고 나서부터다. 그는 필자의 시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화폭에 섬섬옥수로 그림을 그렸다.
 
엄마를 따라온 아이들이 여성독립운동가 시화를 보고 있다.
▲ 아이들과 시화 엄마를 따라온 아이들이 여성독립운동가 시화를 보고 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이 시화를 감상할 수 있는 뜻깊은 전시회가 어제(2월 29일, 목) 서울역 3층 전시장에서 개막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이무성 화백이 그린 시화 40여 점을 선보이는 것으로 모두 족자 형태다. 전시는 국가보훈부 서울지방보훈청 주최로 3월 6일까지 서울역 3층 대합실 전시장에서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시화를 그린 이무성 화백은 어제 전시장에서 만난 필자에서 이렇게 말했다.

"시화를 통해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삶이 더 많은 사람에게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자라나는 학생들의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는 학교 등지에서 전시회를 꾸준히 이어갔으면 합니다." 
  
서울역 3층 전시장에는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시화 족자가 나란히 걸려있다.
▲ 시화전 전시장 서울역 3층 전시장에는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시화 족자가 나란히 걸려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시화전을 알리는 배너, 배너 그림도 이무성 확백이 직접 디자인했다.
▲ 시화전 배너 시화전을 알리는 배너, 배너 그림도 이무성 확백이 직접 디자인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이번 시화전을 기획한 국가보훈부 서울지방보훈청 노상현 보훈과장은 아래와 같이 말했다.

"이번 전시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헌신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삶과 업적을 널리 알리고, 그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여성독립운동가의 삶을 재조명하고 기록하며 헌시를 써온 이윤옥 시인의 시에 한국화 화가 이무성 화백의 그림을 넣는 방식으로 시화전이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편안하게 그림과 시를 감상하고 여성독립운동을 마음에 새길 수 있습니다."

사실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삶을 한 편의 시에 녹아내리는 작업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그것은 평전 한 권을 쓰는 만큼의 고통이 따르는 작업이다. 또한 그림 역시 그에 못지않은 노작(勞作)의 결과다. 이러한 시화(詩畫)가 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전시라는 형태를 띄지 않으면 일반인들에게 다가설 수 없다. 그러한 뜻에서 이번에 서울지방보훈청이 기획한 '여성독립운동가 전(展)'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동안 필자와 이무성 화백은 서로의 가벼운 주머니를 털어 시화전을 열어왔다.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전시까지 작가들이 호주머니를 털어 전시를 해야 하는 것이 '독립운동가를 알리기 위한 작가들의 현주소'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이러한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일을 멈추지 않고 해왔는가? 답은 하나다.

그 까닭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을 밝은 해 아래로 불러내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수많은 제2, 제3의 유관순 열사들의 이름 석 자를 알리고 싶은 열정 때문이다. 우리가 이들의 이름을 불러주지 않는 한, 국난의 시기에 불굴의 투지를 살려 남성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필사적인 독립에의 열정은 영원히 음지에서 잠잘 수밖에 없다. 그런 사정이 안타까워 여성독립운동가의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고자 필자는 펜을 들었고, 이무성 화백은 붓을 들었다.
 
이무성 화백이 그린 3월의 독립운동가들,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이사벨라 멘지스, 데이지 호킹 (왼쪽부터)
▲ 호주의 독립운동가들 이무성 화백이 그린 3월의 독립운동가들,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이사벨라 멘지스, 데이지 호킹 (왼쪽부터)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이번에 의미 있는 전시를 기획한 서울지방보훈청 노상현 과장, 이무성 화백, 필자(오른쪽부터)
▲ 노상현, 이무성, 이윤옥 이번에 의미 있는 전시를 기획한 서울지방보훈청 노상현 과장, 이무성 화백, 필자(오른쪽부터)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아이들과 함께 시화를 관람하던 전상미(41)씨는 "친정집에 가기 위해 KTX를 타고 서울역에 도착했는데 마침 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이 있다고 해서 보러왔다. 시화 한 작품 한 작품에 여성독립운동가의 혼이 고스란히 녹아 있음을 느낀다. 우리 아이들이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해 내게 질문을 하면서 감격스러워했다. 3.1절에 그 어떤 행사보다도 큰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어제(29일), 서울역 3층 전시장에 전시된 그림들을 둘러보면서 또다시 눈시울이 뜨거워짐을 느껴본다. 3.1절 105돌을 맞아 많은 이들이 전시장을 찾아 '조국독립을 위해 숭고한 삶을 살다 간 여성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전시 안내>
서울역 3층 대합실 전시장 / 3월 6일(수)까지
주최: 국가보훈부 서울지방보훈청 /02–2125-0830
 

덧붙이는 글 | 우리문화신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 #서울보훈청, #이윤옥, #이무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