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한 가운데 일부 신문이 독자를 혼란시킬 수 있는 제목을 달거나 유권자들의 정치적 냉소를 부추기는 보도를 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3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상임대표 최민희) 선거보도모니터단은 7개 중앙일간지 선거보도에 대한 세번째 주간 보고서(5월 15일~20일)를 발표하고 신문들에게 '옥석 가릴 수 있는 후보자 정보 제공'을 당부했다.

지방선거 등록과 관련 각 신문들은 등록 후보자들의 재산·병역·전과 등과 관련된 기사를 실었다. 민언련 모니터단은 이 가운데 <한국일보>와 <조선일보> 보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후보자 정보, 옥석 가릴 수 있어야

18일 <한국일보>는 재산·납세·병역·전과 등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5·31 출마자 신상내역 뜯어보니... 10명중 8명이 '미달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5개 기준에 하나라도 미달하는 후보가 전체의 80%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한국일보>는 상당수 출마자들의 재산이 평균 한국인 재산(가구당 2억 7912만원)과 납세액(5년 평균 624만원)에 미달한다며 그 이유로 ▲'정치낭인'들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을 가능성 ▲노동계·시민운동계 출신이 늘어난 점 ▲광역·기초 의원의 유급화로 인한 생계형 출마자 증가 등을 들었다.

민언련은 "소득이 적은 노동계·시민단체 인사들의 출마와 '생계형 출마'가 늘어 '재산 미달이'가 생기는 것을 다른 경우와 뭉뚱그려 '미달이 많다'고 부정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일보>가 후보의 '전과기록'과 관련해 시국사범과 파렴치범 등을 분리해서 소개하지 않은 것에 대해 "후보자에 대한 유권자들의 정확한 판단을 돕는다는 측면에서 '전과의 내용'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기사가 "평균 미달 후보들이 대거 뛰어든다는 것은 곧 우리나라 지방정치가 수준 미달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라는 분석을 내놓은 데 대해 민언련은 "그렇지 않아도 유권자들의 관심이 낮은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거 무관심과 냉소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선일보>는 17일 5면에 '열린우리 시도지사 평균 23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기사는 후보로 등록한 정당별 전체 지방선거후보의 평균 재산신고액이 한나라당, 국민중심당, 열린우리당 순으로 많았다고 전했다. 그런데도 이 기사는 '열린우리당 광역단체장 출마자의 평균'을 내서 그 결과를 제목으로 뽑았다.

민언련은 후보등록 마감 이후 전체 후보들·광역후보들의 재산신고액 가운데 한나라당 후보들의 평균 재산이 가장 많다고 분석하고 <조선일보>가 굳이 16일까지 등록한 광역단체장 후보만을 대상으로 평균 재산신고액을 계산해 이를 제목으로 뽑은 것은 "최종 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내용을 부각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 <조선일보> 5월 16일 류근일 칼럼
ⓒ 조선일보 PDF
특정 세대 편견 드러낸 류근일 칼럼

한편 <조선일보> 16일자 류근일 칼럼 '2007년, 20대에 달렸다'는 특정 유권자 계층에 대한 편견을 드러내고 여러 정당들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듯한 주장으로 비판을 받았다.

이 칼럼에서 류씨는 최근 20대 정치 성향이 변화되고 있다며 그에 대한 나름의 해석과 함께 "2002년에 노무현 후보를 찍은 것으로 알려진 20대의 선택은 오랜 사회적 기성세력에 대한 반항이었을 것"이라고 규정했다. 또 "20대가 달리 나아갈 방향이 뚜렷이 떠올라 있는 것도 아니다"며 "그것(한나라당)밖에 다른 야당이 또하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20대는 지금 한나라당을 새삼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쓰기도 했다.

민언련은 "선거를 앞두고 다양한 유권자 층의 지지도 변화를 분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는 기사를 실을 수는 있다"면서도 "이같은 기사는 최소한의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써야 하며, 특정 세대나 지역·성별에 대한 편견을 부추기거나 폄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반면 민언련은 대부분의 신문들이 ▲선거일정 ▲3장씩 2차례에 나눠 기표하는 투표방식 ▲19세 ▲외국인 첫 투표권 부여 ▲불법선거운동 종류 등 "바뀐 선거제도에 관한 내용을 대체로 충실히 다뤘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앙일보>는 지난달 19일부터 바뀐 선거제도 내용과 개정입법의 취지를 문답 형식으로 설명한 기사를 실어 "유권자들이 바뀐 선거제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덧붙이는 글 | 조영수 기자는 민언련 활동가입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